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27. ClickOnce로 ActiveX를 같이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92

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7

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 https://www.sysnet.pe.kr/2/0/12160

개발 환경 구성: 717.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9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예전에, 이 주제와 관련해서 아래와 같이 2가지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요.

Registry 등록 없이 COM 개체 사용 
; https://www.sysnet.pe.kr/2/1/262

ClickOnce로 ActiveX를 같이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92

최근에 필요해서 다시 한번 실습해 볼 기회가 있었는데, 2가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COM 개체의 정의를 담고 있는 manifest 파일이 dll과 같은 경로에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COM 프로젝트(예를 들어 결과물이 AtlTest.dll)를 Rebuild하면 대상 프로젝트가 깨끗하게 비워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해당 폴더에 AtlTest.dll.manifest 파일까지 삭제가 되어 버립니다.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COM 프로젝트에 다음과 같은 변경을 해주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AtlTest.dll.manifest 파일을 AtlTest.dll.manifest.bak 파일로 COM 프로젝트에 추가
  • 프로젝트 속성의 "Build Events"에 복사 명령어 추가: copy $(ProjectDir)AtlTest.dll.manifest.bak $(TargetDir)AtlTest.dll.manifest

문제는, 두 번째에 있습니다. 현재 웬일인지 Visual Studio 2010에서 manifest 참조를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오류창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ow_to_use_regfree_com_1.png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ileName].dll.manifest' or one of its dependencies. An attempt was made to load a program with an incorrect format.

This file may not be a managed assembly.
"

(참고로, 위의 메시지는 제 컴퓨터에서만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기능 제공이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프로젝트 파일(csproj)에 다음과 같이 강제로 추가해 주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 ^^;

<ItemGroup>
    <NativeReference Include="AtlTest.dll, Version=1.0.0.1, ProcessorArchitecture=x86, Type=win32">
        <Name>AtlTest.dll.manifest</Name>
        <HintPath>..\AtlTest\Debug\AtlTest.dll.manifest</HintPath>
    </NativeReference>
</ItemGroup>

위의 과정이 처리된 예제 프로젝트(regfree_com_use_1.zip)를 첨부했으니 참고하십시오.




이번엔, 좀 더 다르게 해결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이유는 묻지 마세요. ^^ 복잡합니다.) 예를 들어, AtlTest.dll.manifest 파일을 참조하는 경우, Visual Studio는 자동으로 "Interop.AtlTestLib.dll" 라이브러리 파일을 생성합니다.

혹시, 수작업으로 이 과정을 맞출 수 있지 않을까요? 즉, 우리가 직접 Interop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manifest 파일 정의만 적절하게 따라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우선, COM 개체에 대한 Interop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봐야 하는데요. 주의하셔야 할 것은 일정한 형식이 있다는 점입니다.

D:\...>"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Bin\tlbimp" .\AtlTest\Debug\atltest.dll /out:Interop.AtlTestLib.dll /namespace:AtlTestLib
Microsoft (R) .NET Framework Type Library to Assembly Converter 3.5.30729.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Type library imported to D:\...\bin\x86\Debug\Interop.AtlTestLib.dll

보시는 것처럼, COM 개체의 이름이 "AtlTest"라면, tlbimp.exe의 인자에 다음과 같이 넘겨주어야 합니다.

/out:Interop.[Name].dll
/namespace:[Name]Lib

이제 Interop.AtlTestLib.dll 파일을 C# 프로젝트에서 참조합니다. (.dll.manfest 참조 오류를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다음 manifest 파일을 맞춰주어야 하는데요. 아래와 같이 2개의 파일을 준비해야 합니다.

===== AtlTest.dll.manifest =====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manifestVersion="1.0">

  <assemblyIdentity version="1.0.0.1" processorArchitecture="x86" 
     name="AtlTest.dll" type="win32">
  </assemblyIdentity>
  
  <file name="AtlTest.dll">
    <comClass clsid="{1DC804F4-7587-45F2-92C8-7470FE6C091B}" threadingModel="Apartment">
    </comClass>
    <typelib tlbid="{6ECA849F-8500-4539-9287-CFB9D07208A2}" version="1.0" 
             helpdir="AtlTest 1.0 Type Library">
    </typelib>
  </file>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name="ISimpleObject" 
                                 iid="{9E4A5819-446D-4CEE-ADBB-8D1CE6F1B43A}" 
                                 proxyStubClsid32="{00020424-0000-0000-C000-000000000046}" 
                                 baseInterface="{00000000-0000-0000-C000-000000000046}" 
                                 tlbid="{6ECA849F-8500-4539-9287-CFB9D07208A2}">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assembly>

===== ConsoleApplication1.exe.manifest =====

<?xml version="1.0" encoding="utf-8"?>
<asmv1:assembly manifestVersion="1.0"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xmlns:asmv1="urn:schemas-microsoft-com:asm.v1" xmlns:asmv2="urn:schemas-microsoft-com:asm.v2"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assemblyIdentity version="1.0.0.0" name="MyApplication.app"/>
  <trustInfo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2">
    <security>
      <requestedPrivileges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asInvoker" uiAccess="false" />
      </requestedPrivileges>
    </security>
  </trustInfo>
  
  <compatibility xmlns="urn:schemas-microsoft-com:compatibility.v1">
    <application>
    </application>
  </compatibility>
  
  <dependency>
    <dependentAssembly asmv2:dependencyType="install" asmv2:codebase="AtlTest.dll.manifest" asmv2:size="1007">
      <assemblyIdentity name="AtlTest.dll" version="1.0.0.1" processorArchitecture="x86" type="win32" />
    </dependentAssembly>
  </dependency>

</asmv1:assembly>

2가지 모두 Visual Studio의 속성창에서 "Copy to Output Directory" 값을 "Copy if newer"로 설정해 줍니다.

manifest 파일 참조가 아니라서 아쉬운 점이 있다면 COM 프로젝트의 빌드 결과물이 자동으로 C# 프로젝트의 산출물 폴더에 복사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 문제는 어쩔 수 없이 COM 프로젝트의 "Build Events"에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copy $(TargetPath)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Debug

위와 같은 설정 사항들을 한 화면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ow_to_use_regfree_com_2.png

이제 ConsoleApplication1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실행하면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지 않은 COM 개체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위의 구성을 완료한 예제 프로젝트(regfree_com_use_2.zip)도 첨부하였습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x64 지원을 빼놓을 수 없지요. 위의 두 번째 예제 환경에서 x64 지원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마저 살펴 보겠습니다.

COM 개체가 x86/x64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C# 프로젝트까지도 "AnyCPU"로 둘 수는 없는데다, 이름 관리도 잘 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번 예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름 규칙을 따른다고 가정하겠습니다.

x86 용 COM 개체: AtlTest.dll
x64 용 COM 개체: AtlTest64.dll

x86 용 C# EXE: ConsoleApplication1.exe
x64 용 C# EXE: ConsoleApplication164.exe

이를 위해서는, 컴파일 결과물에 대한 이름을 x64에 대해서 고려를 해주어야 하는데 C/C++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이 해결이 간단하게 되지만,

C/C++ 프로젝트

Platform == x64
   Target Name: $(ProjectName)64

C#의 경우에는 csproj 파일을 직접 열어서 다음과 같이 편집해 주어야 합니다.

===== ConsoleApplication1.csproj =====

<AssemblyName>ConsoleApplication1</AssemblyName>
<AssemblyName Condition="'$(Platform)' == 'x64'">ConsoleApplication164</AssemblyName>

아울러 기존 C# 프로젝트에 포함된 2개의 manifest 파일도 별도로 복사해서 내부의 platform 정보를 수정한 후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 AtlTest64.dll.manifest =====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manifestVersion="1.0">

  <assemblyIdentity version="1.0.0.1" processorArchitecture="amd64" 
     name="AtlTest64.dll" type="win32">
  </assemblyIdentity>
  
  <file name="AtlTest64.dll">
    <comClass clsid="{1DC804F4-7587-45F2-92C8-7470FE6C091B}" threadingModel="Apartment">
    </comClass>
    <typelib tlbid="{6ECA849F-8500-4539-9287-CFB9D07208A2}" version="1.0" 
             helpdir="AtlTest 1.0 Type Library">
    </typelib>
  </file>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name="ISimpleObject" 
                                 iid="{9E4A5819-446D-4CEE-ADBB-8D1CE6F1B43A}" 
                                 proxyStubClsid32="{00020424-0000-0000-C000-000000000046}" 
                                 baseInterface="{00000000-0000-0000-C000-000000000046}" 
                                 tlbid="{6ECA849F-8500-4539-9287-CFB9D07208A2}">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assembly>


===== ConsoleApplication164.exe.manifest =====

<?xml version="1.0" encoding="utf-8"?>
<asmv1:assembly manifestVersion="1.0"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xmlns:asmv1="urn:schemas-microsoft-com:asm.v1" xmlns:asmv2="urn:schemas-microsoft-com:asm.v2"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assemblyIdentity version="1.0.0.0" name="MyApplication.app"/>
  <trustInfo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2">
    <security>
      <requestedPrivileges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asInvoker" uiAccess="false" />
      </requestedPrivileges>
    </security>
  </trustInfo>
  
  <compatibility xmlns="urn:schemas-microsoft-com:compatibility.v1">
    <application>
    </application>
  </compatibility>
  
  <dependency>
    <dependentAssembly asmv2:dependencyType="install" asmv2:codebase="AtlTest64.dll.manifest" asmv2:size="1007">
      <assemblyIdentity name="AtlTest64.dll" version="1.0.0.1" processorArchitecture="amd64" type="win32" />
    </dependentAssembly>
  </dependency>

</asmv1:assembly>
(참고로, processorArchitecture="*"로 설정한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제, 빌드 결과물에서 ConsoleApplication164.exe를 실행하면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지 않은 64비트 COM 개체를 정상적으로 로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 프로젝트(regfree_com_x64_use_2.zip)도 첨부했으니 참고하시고, 설명은 생략했지만 처음의 manifest 참조방식으로 64비트 COM 개체를 사용하는 예제 프로젝트(regfree_com_x64_use_1.zip)도 첨부해 두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1-08 01시43분
[스포너]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guest]
2016-07-11 08시23분
[초보개발자] 안녕하세요. 요번에 ocx룰 사용해야 해서 웹서핑를 하다 여기까지 와서 좋은 정보를 보고 있습니다. 다만 위에 내용을 보다 모르는 부분이 있어 글 남겨요. clsid tlbid 등등 manifest에 입력해야 하는 정보는 어디서 볼수있나요??
[guest]
2016-07-11 08시42분
oleview 도구 등을 통해서 알아내실 수 있습니다. ATL로 만들어진 dll이라면 대개의 경우 리소스로 내장되어 있어 그것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정성태
2025-01-15 05시16분
안녕하세요.
WinForm 앱을 만들면서 OCX 등록하지 않고 하는방법은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WinForm DLL 에 OCX를 참고하여 만들어서 할 경우엔 안되네요.
구성은 WinForm EXE 에서 OCX를 참고하여 만든 WinForm DLL을 Assembly.LoadFile()을 이용하여 로드한후 함수 호출하면 COMException: 클래스가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mt.exe 로 WinForm DLL에 manifest를 합쳐도 해결이 안되네요.
방법이 없을까요?
미디블루
2025-01-15 09시32분
WinForm DLL에 했던 것을 WinForm EXE 측에 하시면 됩니다. (마치 WinForm DLL이 없다고 생각하세요.)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43정성태12/13/20244391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3842정성태12/12/20244536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13841정성태12/11/20244866오류 유형: 937. error MSB4044: The "ValidateValidArchitecture"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RemoteTarget"
13840정성태12/11/20244439오류 유형: 936. msbuild - Your project file doesn't list 'win' as a "RuntimeIdentifier"
13839정성태12/11/20244878오류 유형: 936. msbuild - error CS1617: Invalid option '12.0' for /langversion. Use '/langversion:?' to list supported values.
13838정성태12/4/20244606오류 유형: 935. Windbg - Breakpoint 0's offset expression evaluation failed.
13837정성태12/3/20245073디버깅 기술: 204.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 Windows 10 이상인 경우
13836정성태12/3/20244629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13835정성태12/2/20245071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13834정성태11/29/20245306Windows: 275. C# - CUI 애플리케이션과 Console 윈도우 (Windows 10 미만의 Classic Console 모드인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13833정성태11/29/20244979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4918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4382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5203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5175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4450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5105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5338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5672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4751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5304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5173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5096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5252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4490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5303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