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81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05

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18

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3

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4

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40

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67

개발 환경 구성: 720.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12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Synology는 NAS 장비이지만 스펙만으로 보면 그냥 한 대의 컴퓨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의 "터미널" 탭에서 "SSH 서비스 활성화"를 해주면 일반 리눅스 장비처럼 SSH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윈도우 사용자라면 putty 등을 이용해 ssh 접속을 할 수 있고, root 사용자 권한으로 변경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립니다.

tester@mynas:~$ sudo -i

We trust you have received the usual lecture from the local System
Administrator. It usually boils down to these three things:

    #1) Respect the privacy of others.
    #2) Think before you type.
    #3) With great power comes great responsibility.

Password:
root@mynas:~#

그다음 ipkg 패키지 관리자를 설치합니다.

ipkg package manager installation on Synology NAS 
; http://rescene.wikidot.com/synology-ipkg

위의 글에 따라, 제가 가진 DS216+II 모델은 Intel CPU에 64비트 CPU이므로 다음의 sh 파일을 다운로드해,

wget http://ipkg.nslu2-linux.org/feeds/optware/syno-i686/cross/stable/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chmod +x 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sh 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rm 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 실행 후에는 필요 없으므로 삭제

이후 ipkg 프로그램은 "/opt/bin" 경로에 설치되므로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 /opt/bin/ipkg

// 또는 그냥 ipkg로 실행합니다.

~# ipkg

자, 그럼 이제 ipkg로 가용한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 ipkg update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gcc를 설치하기로 했으니 ^^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 ipkg install gcc

// 또는 gcc를 비롯해 각종 개발 도구를 함께 설치해 주는 optware-devel을 설치

~# ipkg install optware-devel




확인을 해봐야겠죠. ^^ 테스트용 hello world를 만들어,

#include <stdio.h>

int main (void)
{
  printf ("Hello, world!\n");
  return 0;
}

빌드하는데 오류가 발생합니다.

$ gcc hello.c -o hello
Segmentation fault

혹시 이 오류 해결하신 분 계시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저는 이 오류를 해결하지 못해 어쩔 수 없이 ipkg를 포기하고 opkg 패키지 관리자로 갈아타서 해결했습니다.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 https://www.sysnet.pe.kr/2/0/11706

언젠가는 ipkg의 gcc(버전 4.2.1)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에 이 기록을 남겨둡니다.




참고로, optware-devel 도구 설치 시 wget 오류가 다음과 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n error ocurred, return value: 1.
Collected errors:
Cannot find package crosstool-native.
Check the spelling or perhaps run 'ipkg update'
ERROR: The following packages conflict with wget-ssl:
         wget

이런 경우 그냥 wget을 지우고 wget-ssl을 다시 설치하면 됩니다.

ipkg remove wget
ipkg install wget-ssl




저처럼 Visual Studio 사용자라면 ^^ makefile에 익숙지 않을 텐데요, 처음 수작업으로 만들어 본 makefile에서,

test.out: test.o
    gcc -o test.out test.o

test.o: test.c
    gcc -c -o test.o test.c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makefile:2: *** missing separator.  Stop.

간단합니다. makefile이 들여 쓰기를 인식하는데 반드시 탭(\t) 문자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test.out: test.o
    gcc -o test.out test.o   # 이 라인의 시작이 공백이 아닌 탭 문자

test.o: test.c
    gcc -c -o test.o test.c  # 이 라인의 시작이 공백이 아닌 탭 문자

재미있는 것은 탭 문자에 준하는 8개의 공백을 넣어도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makefile:2: *** missing separator (did you mean TAB instead of 8 spaces?).  Stop.

그러니까, 무조건 탭 문자여야 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82정성태7/5/201824619.NET Framework: 784. C# - 제네릭 인자를 가진 타입을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581정성태7/4/201821336Math: 34. GeoGebra 기하 (11) - 3대 작도 불능 문제의 하나인 임의 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80정성태7/4/201818091Math: 33. GeoGebra 기하 (10) - 직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9정성태7/4/201817209Math: 32. GeoGebra 기하 (9) - 임의의 선분을 한 변으로 갖는 정삼각형파일 다운로드1
11578정성태7/3/201817364Math: 31. GeoGebra 기하 (8) - 호(Arc)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7정성태7/3/201817290Math: 30. GeoGebra 기하 (7) - 각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6정성태7/3/201819461Math: 29. GeoGebra 기하 (6) - 대수의 4칙 연산파일 다운로드1
11575정성태7/2/201819897Math: 28. GeoGebra 기하 (5) - 선분을 n 등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4정성태7/2/201818358Math: 27. GeoGebra 기하 (4) - 선분을 n 배 늘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3정성태7/2/201817735Math: 26. GeoGebra 기하 (3) - 평행선
11572정성태7/1/201817089.NET Framework: 783. C#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코드를 컴파일해 테스트하는 방법
11571정성태7/1/201818535.NET Framework: 782. C# - JIRA에 등록된 Project의 Version 항목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0정성태7/1/201818681Math: 25. GeoGebra 기하 (2) - 임의의 선분과 특정 점을 지나는 수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69정성태7/1/201817881Math: 24. GeoGebra 기하 (1) - 수직 이등분선파일 다운로드1
11568정성태7/1/201830121Math: 23. GeoGebra 기하 - 컴퍼스와 자를 이용한 작도 프로그램 [1]
11567정성태6/28/201819400.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파일 다운로드1
11566정성태6/28/201825109.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21959.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20389.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19240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18718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30087.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21346.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28521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22092.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21627.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