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Bitvise SSH Client의 인증서 모드에서 자동 로그인 방법

다음과 같이 개인키를 이용한 SSH Client로 접속하는 경우,

bitvise_autologin_1.png

반드시 "Passphrase"를 직접, 매번 입력해야만 합니다. 문제는, 저 값이 저장이 안 된다는 점인데요, 음... 그동안 참고 계속 입력했는데 오늘은 문득 너무 귀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그래서 검색한 결과 stnlc.exe가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았습니다.

C:\Program Files (x86)\Bitvise SSH Client> stnlc
Bitvise SSH Client 7.41 - stnlc, a command line SSH tunnel client
Copyright (C) 2000-2018 by Bitvise Limited.

ERROR: Missing host or -profile parameter.

USAGE:
stnlc [username@]host[:port] OR -profile=file [-host=host] [-port=port] [-obfs=y|n] [-obfsKw=keyword] [-spn=SPN]
      [-gkx=y|n] [-gkxDlg=y|n]
      [-user=username] [-gka] [-gma [-krb OR -ntlm] [-gmaDlg]] [-pk=location [-pp=passphrase]] [-pw=password
      [-kbdiFallback=y|n]] [-pwKbdi=password] [-kbdi [-sub=submethods]]
      [-unat=y|n] [-trustLsp=y|n]
      [-encr=list] [-mac=list] [-cmpr=list] [-kex=list] [-hkey=list] [-ka=y|n] [-kre=y|n]
      [-noRegistry OR -baseRegistry=registry-key]
      [-proxy=y|n [-proxyType=type] -proxyServer=server [-proxyPort=port] [-proxyUsername=username
      [-proxyPassword=password]] [-proxyResolveLocally=y|n]]
      [-hostKeyFp=fingerprints] [-hostKeyFile=file]
      [-keypairFile=file [-keypairPassphrase=passphrase]]
      [-traceLog] [-flowDebugFile=file]
      [-title=title]
      [-ftpBridge=y|n] [-ftpListIntf=interface] [-ftpListPort=port] [-ftpPassword=password] [-ftpPasvPortStart=port]
      [-ftpPasvPortEnd=port] [-sftpNewline=auto|crlf|lf|cr] [-sftpStartDir=sftp-path] [-sftpPipelineSize=kbytes]
      [-proxyFwding=y|n] [-proxyListInt=interface] [-proxyListPort=port] [-proxyBindIp4Intf=ip4-interface]
      [-proxyBindIp6Intf=ip6-interface] [-proxyPublicIp4=ip4-address] [-proxyPublicIp6=ip6-address]
      [-c2s=rules OR -c2sFile=file-path] [-c2sAccept=y|n]
      [-s2c=rules OR -s2cFile=file-path] [-s2cAccept=y|n]

To learn more about stnlc, try:
  stnlc -help-params   (display help for parameters in general)
  stnlc -help-<param>  (display help for a particular parameter)
  stnlc -help-examples (display examples)
  stnlc -help-codes    (display return codes)

가령, "c:\temp\ssh_client_profile.tlp" 경로에 저장한 파일의 "Profile 1"로 설정한 경우 passphrase가 0000이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행에서 입력하면 자동으로 로그인까지 이어집니다.

stnlc -profile=c:\temp\ssh_client_profile.tlp -pk="Profile 1" -pp=0000

그런데, 저렇게 대놓고 passphrase를 적어 놓은 것을 사용하려니 너무 허술합니다. Passphrase를 DPAPI를 이용해,

Protected?Data  Class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security.cryptography.protecteddata?view=netframework-4.7.2

암호화해서 파일에 저장한 다음 이를 읽어서 실행해 주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프로그램을 윈도우 레지스트리의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에 등록하는 것이 쪼끔 더 안전할 수 있겠습니다. ^^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IO;
using System.Security.Cryptography;
using System.Text;

namespace BitviseAutoLogin
{
    class Program
    {
        static byte[] entropy = { ...암호화했을 때 사용한 값을 그대로 사용...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passphrase = GetKey();

            string tlpPath = @"c:\temp\ssh_client_profile.tlp";
            string profileKey = "Profile 1";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Arguments =
                string.Format("-profile={0} -pk=\"{1}\" -pp={2}", tlpPath, profileKey, passphrase);
            psi.FileName = @"C:\Program Files (x86)\Bitvise SSH Client\stnlc.exe";
            Process.Start(psi);
        }

        private static string GetKey()
        {
            string text = File.ReadAllText("c:\\temp\\passphrase.txt"); // 현재 사용자에게만 Read 권한이 주어진 파일
            byte [] buf = Convert.FromBase64String(text);
            byte [] decryped = ProtectedData.Unprotect(buf, entropy, DataProtectionScope.CurrentUser);

            return Encoding.Unicode.GetString(decryped);
        }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6/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17정성태12/22/201724592.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21107.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3136.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30206.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5363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7788.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5970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8873.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4634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2782.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7280.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9826.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6337.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32893.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4486.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40316.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7672.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32233.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20405.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9873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2936.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5852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20705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20028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5521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9547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