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DLL에도 EXE처럼 Main 메서드를 넣어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

이 글은 다음의 Q&A를 정리한 것에 불과합니다.

Can a C# .dll assembly contain an entry point?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577567/can-a-c-sharp-dll-assembly-contain-an-entry-point




기본적으로는, DLL에 Main 메서드를 구현했다고 해서 PE 포맷의 Entry Point에 값이 기록되지는 않습니다. 해당 값을 기록하려면 어쨌든 컴파일 자체는 "Library" 유형이 아닌 "Console Application" 등의 유형으로 바꿔야 합니다. 직접 해볼까요? ^^

예를 들어 "Class Library" 타입의 프로젝트를 생성 후,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Output type"을 "Class Library"에서 "Console Application"으로 변경한 후, 다음과 같이 Main 메서드를 추가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namespace ClassLibrary2
{
    public class Class1
    {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Console.WriteLine("ClassLibrary2.Program.Main");
    }
}

빌드하면 (당연히 Console Application으로 변경했으므로) ClassLibrary2.exe가 생성됩니다. 이게 좀 모양이 빠지죠. ^^ 이 부분은 그냥 간단하게 빌드 결과물의 확장자를 바꾸도록 .csproj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설정만 추가하는 것으로 DLL 확장자를 고수할 수 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15.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Import Project="$(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Condition="Exists('$(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
  ...[생략]...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Debug|AnyCPU' ">
    <TargetExt>.dll</TargetExt>
    <DebugSymbols>true</DebugSymbols>
    <DebugType>full</DebugType>
    <Optimize>false</Optimize>
    <OutputPath>bin\Debug\</OutputPath>
    <DefineConstants>DEBUG;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Release|AnyCPU' ">
    <TargetExt>.dll</TargetExt>
    <DebugType>pdbonly</DebugType>
    <Optimize>true</Optimize>
    <OutputPath>bin\Release\</OutputPath>
    <DefineConstants>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ropertyGroup>
  ...[생략]...
</Project>

이렇게 설정한 DLL 프로젝트를 별도의 Console Application에서 참조하면 다음과 같이 EntryPoint를 이용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byte [] buf = File.ReadAllBytes(@"ClassLibrary1.dll");
Assembly asm = Assembly.Load(buf);
asm.EntryPoint.Invoke(null, null); // Console Application으로 빌드했으므로 EntryPoint가 null이 아님

// 출력 결과
ClassLibrary2.Program.Main

또는 AppDomain.ExecuteAssembly 메서드를 이용해 간단하게 호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AppDomain.CurrentDomain.ExecuteAssembly("ClassLibrary2.dll");

// 출력 결과
ClassLibrary2.Program.Main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307.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286.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757.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471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53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272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36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555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128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363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55.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31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19.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36.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800.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665.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11.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17.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193.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68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36.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12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694.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672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13.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191.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