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 https://www.sysnet.pe.kr/2/0/1173

.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74

.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5

.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76

.NET Framework: 401. windbg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559

.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2486

.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87

.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017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사실, 원래는 StringBuilder에서 OutOfMemoryException의 원인만 밝히려고 했는데 쓰다 보니 궁금함이 꼬리를 물어서 이렇게 이야기가 길어졌군요. ^^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71

windbg - 힙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2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 https://www.sysnet.pe.kr/2/0/1173

일반 참조형의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74

그런데, 여기서 옛날에 읽었던 글이 하나 더 생각나는 바람에... ^^;

Safe Thread Synchroniza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3/january/net-column-safe-thread-synchronization

위의 글에 보면, Managed Heap에서의 개체 메모리에 대한 정의가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yncblock_index_1.png

이에 비춰서 지난번에 개체들의 메모리를 살펴봤을 때의 덤프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볼까요?

=== ConsoleApplication1.Program 인스턴스의 메모리 덤프 ===

0:004> dd 026cbf90 
026cbf90  0029381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26cbfa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그림과 매치시켜 보면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데요.

00293810 == MethodTable Pointer
00000000 == SyncBlock Index
00000000 == Object Fields

실제로는 3개의 공간이긴 해도 저런 식이 아니고 -4(64비트에서는 -8)바이트 위치에서 3개의 공간이 점유되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됩니다.

0:004> dd 026CBF8C 
026CBF8C  00000000 00293810 00000000 00000000
026CBF9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 Object Header (SyncBlock Index)
00293810 == MethodTable Pointer
00000000 == 핃드가 없어도 최소 1개의 공간을 점유

그리고 Object Header가 담고 있는 SyncBlock Index의 개념은 다음의 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Drill Into .NET Framework Internals to See How the CLR Creates Runtime Objects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5/may/net-framework-internals-how-the-clr-creates-runtime-objects

syncblock_index_2.png

재미있는 것은, SyncBlock Index의 기본값이 아마도 CLR 버전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
Safe Thread Synchronization"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lock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1 값으로 채워져 있다는 설명을 포함하고 있는데,

"
On the other hand, ObjectB's SyncBlockIndex field is set to -1 indicating that ObjectB doesn't have a SyncBlock associated with it for its use
"


"Drill Into .NET Framework Internals to See How the CLR Creates Runtime Objects" 글에서는 0 값으로 채워져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
For most object instances, there will be no storage allocated for the actual SyncBlock and the syncblk number will be zero
"


현재 버전에서 어느 쪽이 맞는지, 한번 확인을 해볼까요? ^^

비교를 위해 lock이 걸린 object와 그렇지 않았을 때의 메모리 구조를 확인해야 할 텐데요. 분석을 쉽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딩을 하고,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gList = new Program[0];
            Thread.Sleep(-1);
        }
    }
}

windbg로 메모리를 덤프해 보면,

// 이전 글들의 예제에서 많이 포함했으므로, 이전 단계는 생략합니다.

0:000> !do 0228bf90 
Name:        System.Object[]
MethodTable: 72f86ba8
EEClass:     72d09688
Size:        16(0x10) bytes
Array:       Rank 1, Number of elements 0, Type CLASS
Element Type:ConsoleApplication1.Program
Fields:
None

0:000> dd 0228bf8c (0x0228bf90 - 4 == 0228bf8c)
0228bf8c  00000000 72f86ba8 00000000 00163810
0228bf9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228bfa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덤프된 결과를 각각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

00000000 == SyncBlock Index
72f86ba8 == MethodTable (System.Object [])
00000000 == 배열의 수
00163810 == 배열 요소의 Type에 대한 MethodTable

아하... 사용되지 않는 SyncBlock Index의 값은 0이 맞군요. ^^ (각각의 글이 씌여진 시점에 따라 .NET의 버전 차이라고 의심되었으나, .NET 1.1/2.0/4.0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한 결과값을 얻었습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이제 해당 object 에 대해 lock을 걸어서 컴파일 한 다음,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gList = new Program[0];
            lock (pgList)
            {
                Thread.Sleep(-1);
            }
        }
    }
}

windbg로 메모리를 덤프해 보면,

0:000> !do 026dbf90 
Name:        System.Object[]
MethodTable: 72f86ba8
EEClass:     72d09688
Size:        16(0x10) bytes
Array:       Rank 1, Number of elements 0, Type CLASS
Element Type:ConsoleApplication1.Program
Fields:
None
ThinLock owner 1 (0077e0a8), Recursive 0


0:000> dd 026dbf8c (026dbf90 - 4 == 026dbf8c)
026dbf8c  00000001 72f86ba8 00000000 00283810
026dbf9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26dbfa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이제는 SyncBlock Index 값이 1로 설정되어 있고 !DumpObject의 결과에는 "ThinLock owner 1 (0077e0a8), Recursive 0"이라는 출력 결과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00001 == SyncBlock Index
72f86ba8 == MethodTable (System.Object [])
00000000 == 배열의 수
00283810 == 배열 요소의 Type에 대한 MethodTable




'참조형'의 값은 모두 이렇게 데이터 구조에 "Object Header"를 가지고 있는 반면, 스택에 생성되는 '값형식'에서는 "Object Header"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참조값에 대해서만 닷넷에서 lock 구문(Monitor.Enter 메서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object lockInstance = new object();

lock (lockInstance) // 이 시점에 Object Header로 SyncBlock Index 값이 설정되고,
{
} // 이 시점에 SyncBlock == 0x00000000으로 해제됨.

try 
{
    Monitor.Enter(lockInstance); // 이 시점에 Object Header로 SyncBlock Index 값이 설정되고,
} 
finally
{
    Monitor.Exit(lockInstance); // 이 시점에 SyncBlockIndex == 0x00000000으로 해제됨.
}

int errorLock = 5;

lock (errorLock)  // 컴파일 오류: 'int' is not a reference type as required by the lock statement
{
}

때로는 문서에서만 읽었던 이런 내용들을, 직접 확인해 보는 것도 그런대로 재미가 있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7-22 05시51분
C# 클래스 객체는 어떻게 Managed Heap에 표현되는가?
; http://www.csharpstudy.com/network/DevNote/Article/5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36정성태10/12/201818417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35정성태10/12/201824184VS.NET IDE: 129. Visual Studio - 특정 문자(열)를 개행 문자로 바꾸는 방법
11734정성태10/10/201818557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33정성태10/10/201821301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11732정성태10/10/201821010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731정성태10/9/201820535개발 환경 구성: 409.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웹 앱 확장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30정성태10/9/201819799개발 환경 구성: 408.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파일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29정성태10/9/201822267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728정성태10/9/201820051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21309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26정성태10/7/201823992사물인터넷: 49.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24정성태10/5/201823665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파일 다운로드1
11723정성태10/4/201817516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1211.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1515.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3057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3674.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18858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1458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2027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0806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0047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2457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7650.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3095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2044.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