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OpenGL.NET 예제 실행 시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 발생

이상하군요, OpenGL.NET 예제를 만들다 보니 Gl.BindVertexArray, Gl.GenBuffer 등의 호출에서 자꾸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Message=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 'A callback was made on a garbage collected delegate of type 'OpenGL.Net!OpenGL.Gl+DebugProc::Invoke'. This may cause application crashes, corruption and data loss. When passing delegates to unmanaged code, they must be kept alive by the managed application until it is guaranteed that they will never be called.'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HResult=0x80004003
  Message=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Source=<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ource>
  StackTrace:
<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tack trace>

OpenGL.NET이 결국 opengl native DLL에 대한 래핑이기 때문에 저런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너무 많습니다. 그래도 검색해 보면 관련 오류가 없는 걸로 봐서는 OpenGL.NET 자체에는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가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해,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 https://www.sysnet.pe.kr/2/0/710

다시 예제 코드를 천천히 뜯어 보면 다음과 같이 직접 delegate를 넘겨주는 코드가 있습니다.

public class DisplayManager
{
    // ...[생략]...

    public void createDisplay(GlControl glControl)
    {
        _glControl = glControl;

        if (Gl.CurrentExtensions != null && Gl.CurrentExtensions.DebugOutput_ARB)
        {
            Gl.DebugMessageCallback(GLDebugMessageCallbackProc, IntPtr.Zero);
            Gl.DebugMessageControl(Gl.DebugSource.DontCare, Gl.DebugType.DontCare, Gl.DebugSeverity.DontCare, 0, null, true);
        }

        if (Gl.CurrentVersion != null && Gl.CurrentVersion.Api == KhronosVersion.ApiGl && glControl.MultisampleBits > 0)
        {
            Gl.Enable(EnableCap.Multisample);
        }
    }

    // ...[생략]...
}

그렇습니다. 저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야만 합니다.

public class DisplayManager
{
    // ...[생략]...

    Gl.DebugProc _debugProc;

    public void createDisplay(GlControl glControl)
    {
        _debugProc = GLDebugMessageCallbackProc;
        _glControl = glControl;

        if (Gl.CurrentExtensions != null && Gl.CurrentExtensions.DebugOutput_ARB)
        {
            Gl.DebugMessageCallback(_debugProc, IntPtr.Zero);
            Gl.DebugMessageControl(Gl.DebugSource.DontCare, Gl.DebugType.DontCare, Gl.DebugSeverity.DontCare, 0, null, true);
        }

        if (Gl.CurrentVersion != null && Gl.CurrentVersion.Api == KhronosVersion.ApiGl && glControl.MultisampleBits > 0)
        {
            Gl.Enable(EnableCap.Multisample);
        }
    }

    // ...[생략]...
}

문제는 저 코드가 OpenGL.NET의 Sample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이상하군요... OpenGL.NET 사용하는 분들이 많이 겪었을 것 같은데, 아무런 이야기가 없는 걸로 봐서는 OpenGL.NET 사용자 층이 많지 않다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9/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90정성태5/19/200739590오류 유형: 33. error MSB6003: SxS DLL 로딩 오류 [2]
489정성태5/14/200727363.NET Framework: 87. .NET 2.0에서 C# 3.0 기능 사용하기
488정성태5/14/200725574Windows: 25. Multiple Input Queues
487정성태4/24/200731476VC++: 32. VC++에서 bool이 가지는 의미 [3]
486정성태3/22/200730228Windows: 24. DreamScene과 DWM(Desktop Window Manager)의 관계 [1]
485정성태3/17/200725422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484정성태3/17/200724407오류 유형: 31. SQL Compact Edition 설치 후 오류
483정성태3/17/200745942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
482정성태3/17/200735537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
481정성태3/17/200729414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
480정성태3/14/200727934.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31656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31284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40786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5842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30190.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8269.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5519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34153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23642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35256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6831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6685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8496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7303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464정성태2/25/200728749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