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8

Windows: 142.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7

Windows: 143.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9

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98

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807

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경고!!!!!!!
이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diskpart.exe를 이용해 파티션 삭제 등의 작업을 할 때는 정말, 정말, 정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자칫 실수로 작업 파티션을 날리면 하드 디스크 복구 업체를 통하지 않고는 데이터 복원이 안되는 사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가상 디스크(VHD, VHDX)의 용량이 모자라서 늘리긴 했는데, 다음과 같이 복구 파티션이 중간에 끼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move_recovery_partition_1.png

이 때문에 "볼륨 확장(Extend volume)" 명령을 사용할 수가 없는데, 해결책은 다음의 글에서 이미 설명했습니다.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9

단순히 삭제 후 새롭게 만들어 주면 되지만 그럴 경우 winre.wim 파일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그냥 단순하게 기존의 복구 파티션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따라서 Recovery Partition에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고,

C:\WINDOWS\system32> 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10.0.14393.0

Copyright (C) 1999-2013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ESTPC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Disk 0    Online           45 GB    11 GB
  Disk 1    Online           16 GB  1024 KB
  Disk 2    Online            8 GB  1024 KB

DISKPART> select disk 0

Disk 0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list part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Partition 1    Primary            100 MB  1024 KB
  Partition 2    Primary             33 GB   101 MB
  Partition 3    Recovery           450 MB    33 GB

DISKPART> sel part 3

Partition 3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assign letter=k

DiskPart successfully assigned the drive letter or mount point.

다음과 같이 robocopy를 이용해 백업해 둡니다.

C:\WINDOWS\system32> robocopy k:\ d:\temp\Kdrive\ /S

이제 복구 파티션을 삭제하고,

C:\WINDOWS\system32> 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10.0.14393.0

Copyright (C) 1999-2013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ESTPC

DISKPART> sel disk 0

DISKPART> sel part 3

Partition 3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delete part override

DiskPart successfully deleted the selected partition.

아래와 같이 450MB 공간이 남도록 파티션을 재조정합니다.

move_recovery_partition_2.png

그다음, 다시 기존 백업해 두었던 내용을 새로운 드라이브에 복사해 준 후,

robocopy d:\temp\Kdrive\ f:\ /S /XF tracking.log

Recovery 파티션으로써 동작하도록 설정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F:\> reagentc /setreimage /path f:\recovery\WindowsRE\Winre.wim
Directory set to: \\?\GLOBALROOT\device\harddisk0\partition3\recovery\WindowsRE

REAGENTC.EXE: Operation Successful.


F:\> reagentc /enable
REAGENTC.EXE: Operation Successful.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여기까지 하면 복구 파티션으로의 동작은 합니다. 다만 이전과 동일하게 보이지 않도록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복구 파티션임을 명시하는 작업을 추가합니다.

F:\> 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10.0.14393.0

Copyright (C) 1999-2013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ESTPC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Disk 0    Online           45 GB  1024 KB
  Disk 1    Online           16 GB  1024 KB
  Disk 2    Online            8 GB  1024 KB

DISKPART> sel disk 0

Disk 0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list part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Partition 1    Primary            100 MB  1024 KB
  Partition 2    Primary             44 GB   101 MB
  Partition 3    Primary            462 MB    44 GB

DISKPART> sel part 3

Partition 3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GPT 파티션인 경우에는 다음의 명령어로,

DISKPART> set id=de94bba4-06d1-4d40-a16a-bfd50179d6ac

DiskPart successfully set the partition ID.


DISKPART>  GPT attributes=0x8000000000000001

DiskPart successfully assigned the attributes to the selected GPT partition.

DISKPART> detail part

Partition 3
Type    : de94bba4-06d1-4d40-a16a-bfd50179d6ac
Hidden  : Yes
Required: Yes
Attrib  : 0X8000000000000001
Offset in Bytes: 106688413696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 Volume 3     F   New Volume   NTFS   Partition    462 MB  Healthy    Hidden

MBR 파티션인 경우에는 다음의 명령어로,

DISKPART> set id=27 override

DiskPart successfully set the partition ID.

수행한 후, 마지막으로 (취향에 따라) 기존에 할당한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합니다.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804




그렇다면, 다음에도 디스크 용량이 부족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연히 위와 같은 작업을 또 해줘야 합니다. 이쯤에서, 왜??? 복구 파티션이 언제나 앞에 있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

참고로, 여타의 파티션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 작업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단지,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유료이거나 믿을 수 없는(untrusted) 소스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이어서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직접 작업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11-14 07시46분
[궁금해요] 후미에 생성된 복구파티션을 맨 앞으로 옮기는 방법은 없나요..?
[guest]
2019-11-14 08시25분
넵 없습니다. 그렇긴 한데, 제가 알기로는 상용 파티션 도구들은 그런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있는 듯합니다.
정성태
2019-11-14 10시23분
[궁금해요] 그렇군요..답변 감사합니다.
[guest]
2021-01-24 08시51분
[마냥] 사용중인 PC에 복구 파티션 때문에 C 드라이브 크기 조절을 못하고 있었는데 이 글 덕분에 해결했습니다. 고맙습니다^^
[gu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72정성태5/19/201627559Math: 16. C# - 갈루아 필드 GF(2) 연산 [3]파일 다운로드1
10971정성태5/19/201620448오류 유형: 334. Visual Studio - 빌드 시 경고 warning MSB3884: Could not find rule set file "...". [2]
10970정성태5/19/201624850오류 유형: 333. OxyPlot 라이브러리의 컨트롤을 Toolbox에 등록 시 오류 [2]
10969정성태5/18/201624154.NET Framework: 586.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3) - "Open with" 목록에 등록파일 다운로드1
10968정성태5/18/201619133오류 유형: 332. Visual Studio - 단위 테스트 생성 시 "Design time expression evaluation" 오류 메시지
10967정성태5/12/201624295.NET Framework: 585.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10966정성태5/12/201631930.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1]파일 다운로드1
10965정성태5/12/201623956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10964정성태5/12/201622524오류 유형: 331. ASP.NET에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10963정성태5/11/201624760VS.NET IDE: 107.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2
10962정성태5/11/201624930오류 유형: 330.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시 DisconnectedContext 예외 발생
10961정성태5/11/201624735.NET Framework: 583.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파일 다운로드1
10960정성태5/10/201622113오류 유형: 329. ATL 메서드 추가 마법사 창에서 8ce0000b 오류 발생
10959정성태5/9/201624787.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파일 다운로드1
10958정성태5/6/201651785개발 환경 구성: 284.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3]
10957정성태5/3/201627071오류 유형: 328.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두 번째 이야기 [1]
10956정성태5/3/201622550Windows: 117. BitLocker - This device can't use a Trusted Platform Module.
10955정성태5/3/201629233.NET Framework: 581. C# - 순열(Permutation)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2
10954정성태5/3/201630173.NET Framework: 580.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0953정성태5/2/201619774.NET Framework: 579.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파일 다운로드1
10952정성태5/2/201621868.NET Framework: 578. 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가 비-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0951정성태5/2/201619784.NET Framework: 577. CLR Profiler로 살펴보는 SharedDomain의 모듈 로드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950정성태5/2/201626248.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2]파일 다운로드2
10949정성태4/28/201619805.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948정성태4/28/201623715.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파일 다운로드1
10947정성태4/27/201621580.NET Framework: 573. .NET CLR4 보안 모델 - 4. CLR4 보안 모델에서의 조건부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