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리눅스 환경

예전에 윈도우 환경에서 프로파일러 예제를 빌드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4

이번에는 리눅스(우분투) 환경으로 다뤄보겠습니다. ^^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git, clang 구성 요소를 설치하고,

$sudo apt install git clang

CoreCLR 소스코드(헤더 파일)가 필요하기 때문에 dotnet/coreclr repo를 로컬에 다운로드합니다. (빌드할 필요는 없습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dotnet/coreclr.git

이제 프로파일러 예제를 clone합니다.

Microsoft/clr-samples 
; https://github.com/Microsoft/clr-samples
; https://github.com/Microsoft/clr-samples/tree/master/ProfilingAPI/ReJITEnterLeaveHooks

$git clone http://github.com/Microsoft/clr-samples
$cd clr-samples/ProfilingAPI/ReJITEnterLeaveHooks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이 환경 변수 설정을 하고 build.sh 파일을 실행해 주면 끝!

$export CORECLR_PATH=~/coreclr
$export BuildOS=Linux
$export BuildArch=x64
$export BuildType=Debug
$export Output=CorProfiler.so

$./build.sh




빌드는 완료되었고 생성된 CorProfiler.so를 테스트해야죠. ^^ 이를 위해 CorProfiler.so를 로드하도록 다음과 같이 환경 설정을 하고,

$export CORECLR_PROFILER={cf0d821e-299b-5307-a3d8-b283c03916dd}
$export CORECLR_ENABLE_PROFILING=1
$export CORECLR_PROFILER_PATH=~/clr-samples/ProfilingAPI/ReJITEnterLeaveHooks/CorProfiler.so

(아무거나 예제 프로젝트를 만들어) 닷넷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dotnet webapp.dll

실행하자마자 Enter/Leave 로그가 무수히 많이 찍히는 것으로 CorProfiler.so 파일이 정상적으로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dotnet 프로세스의 id를 알면 다음과 같이 프로세스에 로드된 모듈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 lsof (List Open Files)

$ lsof -p 20007 | grep Pro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run/user/121/gvfs
      Output information may be incomplete.
dotnet  20007 testusr  mem  REG  8,1   117536  405697 ~/clr-samples/ProfilingAPI/ReJITEnterLeaveHooks/CorProfiler.so
dotnet  20007 testusr   35r REG  8,1    17904 1989716 ~/coreapp/Microsoft.Extensions.FileProviders.Abstractions.dll
dotnet  20007 testusr   65r REG  8,1    31216 1989719 ~/coreapp/Microsoft.Extensions.FileProviders.Physical.dll
dotnet  20007 testusr  155r REG  8,1   151024 1989623 ~/coreapp/Microsoft.AspNetCore.DataProtection.dll
dotnet  20007 testusr  162r REG  8,1    23544 1989621 ~/coreapp/Microsoft.AspNetCore.DataProtection.Abstractions.dll
dotnet  20007 testusr  201r REG  8,1    17392 1989717 ~/coreapp/Microsoft.Extensions.FileProviders.Composite.dl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3-26 12시13분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 http://www.sysnet.pe.kr/2/0/11856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70정성태8/28/201825217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69정성태8/24/201824018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11668정성태8/24/201835373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
11667정성태8/24/201820033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
11666정성태8/22/201820086사물인터넷: 37. 아두이노 - 코딩으로 대신하는 오실레이터 회로의 소리 출력파일 다운로드1
11665정성태8/22/201824458사물인터넷: 36. 오실레이터 회로 동작을 아두이노의 코딩으로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64정성태8/22/201823675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1]
11663정성태8/22/201826862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11662정성태8/21/201818595사물인터넷: 35. 병렬 회로에서의 커패시터파일 다운로드1
11661정성태8/21/201821736사물인터넷: 34. 트랜지스터 동작 - 컬렉터-이미터 간의 저항 측정파일 다운로드1
11660정성태8/19/201821465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1659정성태8/19/201821509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8정성태8/18/201824891사물인터넷: 31. 커패시터와 RC 회로파일 다운로드3
11657정성태8/18/201823103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파일 다운로드3
11656정성태8/16/201817498사물인터넷: 29.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5정성태8/16/201820390사물인터넷: 28. 저항과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4정성태8/15/201821669사물인터넷: 27. 병렬 회로의 저항, 전압 및 전류파일 다운로드1
11653정성태8/14/201822078사물인터넷: 26. 입력 전압에 따른 LED의 전압/저항 변화 [1]파일 다운로드1
11652정성태8/14/201819510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1정성태8/14/201825594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파일 다운로드3
11650정성태8/14/201819528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파일 다운로드1
11649정성태8/12/201821031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48정성태8/12/201822372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4272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8580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21632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