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351 .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 ; https://www.sysnet.pe.kr/2/0/11414 .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5 .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417 .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56 .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84 .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1850 닷넷: 2138.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3421 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4 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5 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888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 c# 의 async 에서 메서드 인자제한에 의문점이... ; https://throwbug.com/524/c%23-%EC%9D%98-async-%EC%97%90%EC%84%9C-%EB%A9%94%EC%84%9C%EB%93%9C-%EC%9D%B8%EC%9E%90%EC%A0%9C%ED%95%9C%EC%97%90-%EC%9D%98%EB%AC%B8%EC%A0%90%EC%9D%B4?show=525#a525 그동안 제 글을 ^^ 잘 읽어보신 분이 있다면 아마 저 해답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설명이 이어지는지 한번 찾아볼까요? ^^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async 메서드를 C#이 풀이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적어두었습니다.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351 따라서 C# async 메서드에 지정한 out 또는 ref (또는 C# 7.2의 in) 인자는 IAsyncStateMachin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상태 머신 클래스에 필드로 정의되어야 합니다. 문제는, out/ref/in 유형의 필드는 다음과 같이 ref 예약어가 붙는 식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private async Task<string> GetFileContents(out int length) { return await new TaskFactory().StartNew(() => { return "test"; }); } class CallAsync_StateMachine : IAsyncStateMachine { ref int _length; // out으로 반환될 인자 값 string _text; // 반환 값 //...[생략]... } 여기서 다시 문제는, 저런 닷넷의 관리 포인터가 클래스의 필드로는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이고 이것을 다음의 글에서 설명했습니다. 닷넷의 관리 포인터(Managed Pointer)와 System.TypedReference ; https://www.sysnet.pe.kr/2/0/11529 결국, 1차적으로는 async 메서드에 out/ref/in을 지원하지 못하는 것은 C# 컴파일러의 문제지만 사실 "닷넷의 관리 포인터(Managed Pointer)와 System.TypedReference" 글에도 썼듯이 이것은 .NET CLR에 현재 구현된 GC의 제약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Fields and array elements are not permitted to have & types. & cannot be boxed either. These restrictions are a bit artificial. It just makes the job of GC easier if & themselves are never on the hea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이전 글] .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연관 글] .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 [최초 등록일: 3/18/2019] [최종 수정일: 3/18/201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86정성태12/20/202114662스크립트: 37. 파이썬 - uwsgi의 --enable-threads 옵션 [2]12885정성태12/20/202115694오류 유형: 776.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ySQLdb 사용 환경12884정성태12/20/202114609개발 환경 구성: 620.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12883정성태12/19/202115063오류 유형: 775.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jango'" 오류 발생12882정성태12/18/202114540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12881정성태12/17/202114149개발 환경 구성: 618.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2)12880정성태12/16/202115144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12879정성태12/16/202121684오류 유형: 774. Windows Server 2022 + docker desktop 설치 시 WSL 2로 선택한 경우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 오류 발생12878정성태12/15/202115945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12877정성태12/15/202115262스크립트: 36. 파이썬 - pymysql 기본 예제 코드12876정성태12/14/202115114개발 환경 구성: 616. Custom Sources를 이용한 Azure Monitor Metric 만들기12875정성태12/13/202113988스크립트: 35. python - time.sleep(...) 호출 시 hang이 걸리는 듯한 문제12874정성태12/13/202113844오류 유형: 773. shell script 실행 시 "$'\r': command not found" 오류12873정성태12/12/202115213오류 유형: 772. 리눅스 - PATH에 등록했는데도 "command not found"가 나온다면?12872정성태12/12/202115619개발 환경 구성: 615. GoLang과 Python 빌드가 모두 가능한 docker 이미지 만들기12871정성태12/12/202114661오류 유형: 771.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12870정성태12/9/202113725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12869정성태12/8/202116436개발 환경 구성: 613. git clone 실행 시 fingerprint 묻는 단계를 생략하는 방법12868정성태12/7/202114799오류 유형: 770. twine 업로드 시 "HTTPError: 400 Bad Request ..." 오류 [1]12867정성태12/7/202114570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12866정성태12/7/202121468오류 유형: 769. "docker build ..." 시 "failed to solve with frontend dockerfile.v0: failed to read dockerfile ..." 오류12865정성태12/6/202114812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12864정성태12/6/202112500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12863정성태12/4/202114686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12862정성태12/3/202112623오류 유형: 768. Golang - 빌드 시 "cmd/go: unsupported GOOS/GOARCH pair linux /amd64" 오류12861정성태12/3/202116470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