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빌드해 보고,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4

이것을 Visual Studio의 CMake 프로젝트로 변경도 해봤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42

F5 디버깅이 안 된다는 것은 차라리 리눅스에서 개발하는 것이 나을 정도이므로 별로 효용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를 비주얼 스튜디오의 리눅스 프로젝트로 변경하면,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F5 디버깅이 가능합니다. 변경 과정도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그냥 리눅스 프로젝트 생성 후 위의 글에 설명한 데로 so 프로젝트로 변경하고 빌드에 필요한 dotnet core include 파일들을 포함하면 됩니다. include 파일들은 vcxproj 파일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일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ItemGroup>
    <ClInclude Include=".\cor\**\*.h" />
</ItemGroup>

일일이 추가해도 상관없습니다. 그다음 리눅스 측에서 빌드할 때 cor 폴더의 header 파일들을 찾을 수 있도록 "C/C++" / "General"의 "Additional Include Directories"에 다음의 4개 폴더를 등록합니다.

./cor/src/inc
./cor/src/pal/inc/rt
./cor/src/pal/inc
./cor/src/pal/prebuilt/inc

실제로 dotnet core 헤더 파일들에는 하위 폴더들이 많은데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로는 저 4개의 폴더만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C/C++" / "Preprocessor"의 "Preprocessor Definitions"에 "BIT64;PAL_STDCPP_COMPAT;PLATFORM_UNIX" 매크로 상수도 추가한 후 경고를 없애기 위해 "C/C++"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에 다음의 옵션도 넣어줍니다.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ms-extensions -Wno-conversion -Wno-pragma-pack -Wno-unused-variable

마지막으로, "C/C++" / "General"의 "C++ Compiler"를 clang++로 변경하면 끝!

(첨부 파일은 이렇게 변경한 프로젝트 파일입니다.)




그럼 F5 디버깅을 해봐야 할 텐데요. 이를 위해 /etc/profile에 CORECLR 관련 환경 변수를 등록하든가,

$ sudo nano /etc/profile
 
export CORECLR_PROFILER={cf0d821e-299b-5307-a3d8-b283c03916dd}
export CORECLR_ENABLE_PROFILING=1
export CORECLR_PROFILER_PATH=~/projects/corprofiler/bin/x64/Debug/libcorprofiler.so

$ sudo source /etc/profile

아니면 프로젝트 속성 창의 "Debugging"에 "Pre-Launch Command"로 다음과 같이 환경 변수를 등록하면 됩니다.

export CORECLR_ENABLE_PROFILING=1; export CORECLR_PROFILER={cf0d821e-299b-5307-a3d8-b283c03916dd};export CORECLR_PROFILER_PATH=libcorprofiler.so;

(위에서는 CORECLR_PROFILER_PATH에 경로를 생략했는데 이렇게 하려면 /etc/ld.so.conf에 경로를 등록해야 합니다.)

그다음 실행 파일을 /usr/bin/dotnet으로, 인자로 닷넷 예제 프로젝트의 빌드된 DLL을 주면,

Program: /usr/bin/dotnet
Program Arguments: webapp.dll
Working Directory: ~/coreapp

이후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F5 키를 눌러 원격 디버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오~~~ 이제야 개발할 맛이 납니다. ^^




참고로, 기본 프로파일러 예제는 의존성이 많은데요,

$ ldd ~/projects/corprofiler/bin/x64/Debug/libcorprofiler.so
        linux-vdso.so.1 (0x00007ffda3b38000)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a7b5cda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a7b5ac2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a7b56d1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a7b5333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a7b627b000)

다음의 글에 따라 어느 정도 줄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11845

export된 symbol을 보면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요.

$ nm ~/projects/corprofiler/bin/x64/Debug/libcorprofiler.so
0000000000011380 V CLSID_CLR_v1_MetaData
0000000000011390 V CLSID_CLR_v2_MetaData
0000000000011470 V CLSID_Cor
0000000000011480 V CLSID_CorMetaDataDispenser
0000000000011490 V CLSID_CorMetaDataDispenserReg
0000000000011330 V CLSID_CorMetaDataDispenserRuntime
00000000000114a0 V CLSID_CorMetaDataReg
0000000000217008 d DW.ref.__gxx_personality_v0
000000000000e410 T DecoderGetOnDiskSize
000000000000e290 T DecoderInit
000000000000e240 T DllCanUnloadNow
000000000000e170 T DllGetClassObject
0000000000217018 D EnterMethodAddress
000000000001419c r GCC_except_table1
...[생략]...

저렇게 윈도우에서의 프로파일러와 유사한 COM 접근 방식을 리눅스에서도 그대로 흉내 내고 있습니다. ^^ 실제로 소스코드를 봐도 vtable 기반 하의 COM 접근 방식을 동일하게 구현하고 있습니다.




dotnet core의 헤더 파일들을 모두 포함시키면 다음과 같은 식의 빌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Task "MultiToolTask" skipped, due to false condition; ('%(Midl.ExcludedFromBuild)'!='true' and '$(UseMultiToolTask)' == 'true') was evaluated as (''!='true' and '' == 'true').
1>  Using "MIDL" task from assembly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Microsoft\VC\v160\Microsoft.Build.CppTasks.Common.dll".
1>  Task "MIDL"
1>    midl.exe  cor\src\inc\clrdata.idl
1>    Tracking command: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Current\Bin\Tracker.exe /d "C:\Program Files (x86)\MSBuild\15.0\FileTracker\FileTracker32.dll" /r C:\BUILD_VS_CLR_SAMPLES\CORPROFILER\CORPROFILER\COR\SRC\INC\CLRDATA.IDL /b MSBuildConsole_CancelEvent9ebc403f3abc41d38c14e3110ec31c70  /c midl.exe   cor\src\inc\clrdata.idl
1>    TRACKER : error TRK0005: Failed to locate: "midl.exe".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

왜냐하면, 포함된 폴더에는 헤더 파일뿐만 아니라 idl, rc, cpp 등의 파일도 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그 파일들은 빌드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Microsoft\VC\v160\Application Type\Linux\1.0\Linux.targets(151,5): error : Current project architecture 'ARM' is incompatible with the remote system architecture 'x64' ('x64'). Please switch the project architecture to 'x64' in Configuration Manager.

현재 비주얼 스튜디오의 빌드 타겟이 ARM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x64로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6/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5-21 03시22분
How to debug .net core 2 app on linux server via visual studio 2017 on windows? [Music no 4]
; http://tomaszjarzynski.pl/how-debug-net-core-2-app-linux-server-via-visual-studio-2017-windows-music-4/

Debugging ASP Core on Linux with Visual Studio 2017
; https://blogs.msdn.microsoft.com/premier_developer/2017/11/10/debugging-asp-core-on-linux-with-visual-studio-2017/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41정성태9/23/202010046.NET Framework: 944. C#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340정성태9/23/20209770.NET Framework: 943. WPF - WindowsFormsHost를 담은 윈도우 생성 시 메모리 누수
12339정성태9/21/20209780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
12338정성태9/21/20209328오류 유형: 654.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12337정성태9/21/202010648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2336정성태9/21/202013164.NET Framework: 942. C# - WOL(Wake On Lan) 구현
12335정성태9/21/202022532Linux: 31. 우분투 20.04 초기 설정 - 고정 IP 및 SSH 설치
12334정성태9/21/20207943오류 유형: 652.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12333정성태9/20/20208391.NET Framework: 941.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
12332정성태9/18/202010471.NET Framework: 940. C# - Windows Forms ListView와 DataGridView의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331정성태9/18/20209600오류 유형: 651. repadmin /syncall - 0x80090322 The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12330정성태9/18/202010653.NET Framework: 939.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2329정성태9/16/202012555오류 유형: 650.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12328정성태9/16/202012780VS.NET IDE: 150. TFS의 이력에서 "Get This Version"과 같은 기능을 Git으로 처리한다면?
12327정성태9/12/202010362.NET Framework: 938. C# -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제어파일 다운로드1
12326정성태9/12/20209856개발 환경 구성: 516. Azure VM의 Network Adapter를 실수로 비활성화한 경우
12325정성태9/12/20209434개발 환경 구성: 515. OpenVPN - 재부팅 후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기능이 동작 안하는 문제
12324정성태9/11/202010708개발 환경 구성: 514. smigdeploy.exe를 이용한 Windows Server 2016에서 2019로 마이그레이션 방법
12323정성태9/11/20209567오류 유형: 649. Copy Database Wizard - The job failed. Check the event log on the destination server for details.
12322정성태9/11/202010665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1]
12321정성태9/11/20208895오류 유형: 648. netsh http add urlacl - Error: 183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12320정성태9/11/202010072개발 환경 구성: 512. RDP(원격 데스크톱) 접속 시 비밀 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야 하는 경우
12319정성태9/10/20209821오류 유형: 647. smigdeploy.exe를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할 때 .NET Framework 미설치 오류 발생
12318정성태9/9/20209309오류 유형: 646. OpenVPN - "TAP-Windows Adapter V9" 어댑터의 "Network cable unplugged" 현상
12317정성태9/9/202011636개발 환경 구성: 511. Beats용 Kibana 기본 대시 보드 구성 방법
12316정성태9/8/202010074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