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빌드해 보고,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4

이것을 Visual Studio의 CMake 프로젝트로 변경도 해봤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42

F5 디버깅이 안 된다는 것은 차라리 리눅스에서 개발하는 것이 나을 정도이므로 별로 효용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를 비주얼 스튜디오의 리눅스 프로젝트로 변경하면,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F5 디버깅이 가능합니다. 변경 과정도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그냥 리눅스 프로젝트 생성 후 위의 글에 설명한 데로 so 프로젝트로 변경하고 빌드에 필요한 dotnet core include 파일들을 포함하면 됩니다. include 파일들은 vcxproj 파일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일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ItemGroup>
    <ClInclude Include=".\cor\**\*.h" />
</ItemGroup>

일일이 추가해도 상관없습니다. 그다음 리눅스 측에서 빌드할 때 cor 폴더의 header 파일들을 찾을 수 있도록 "C/C++" / "General"의 "Additional Include Directories"에 다음의 4개 폴더를 등록합니다.

./cor/src/inc
./cor/src/pal/inc/rt
./cor/src/pal/inc
./cor/src/pal/prebuilt/inc

실제로 dotnet core 헤더 파일들에는 하위 폴더들이 많은데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로는 저 4개의 폴더만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C/C++" / "Preprocessor"의 "Preprocessor Definitions"에 "BIT64;PAL_STDCPP_COMPAT;PLATFORM_UNIX" 매크로 상수도 추가한 후 경고를 없애기 위해 "C/C++"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에 다음의 옵션도 넣어줍니다.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ms-extensions -Wno-conversion -Wno-pragma-pack -Wno-unused-variable

마지막으로, "C/C++" / "General"의 "C++ Compiler"를 clang++로 변경하면 끝!

(첨부 파일은 이렇게 변경한 프로젝트 파일입니다.)




그럼 F5 디버깅을 해봐야 할 텐데요. 이를 위해 /etc/profile에 CORECLR 관련 환경 변수를 등록하든가,

$ sudo nano /etc/profile
 
export CORECLR_PROFILER={cf0d821e-299b-5307-a3d8-b283c03916dd}
export CORECLR_ENABLE_PROFILING=1
export CORECLR_PROFILER_PATH=~/projects/corprofiler/bin/x64/Debug/libcorprofiler.so

$ sudo source /etc/profile

아니면 프로젝트 속성 창의 "Debugging"에 "Pre-Launch Command"로 다음과 같이 환경 변수를 등록하면 됩니다.

export CORECLR_ENABLE_PROFILING=1; export CORECLR_PROFILER={cf0d821e-299b-5307-a3d8-b283c03916dd};export CORECLR_PROFILER_PATH=libcorprofiler.so;

(위에서는 CORECLR_PROFILER_PATH에 경로를 생략했는데 이렇게 하려면 /etc/ld.so.conf에 경로를 등록해야 합니다.)

그다음 실행 파일을 /usr/bin/dotnet으로, 인자로 닷넷 예제 프로젝트의 빌드된 DLL을 주면,

Program: /usr/bin/dotnet
Program Arguments: webapp.dll
Working Directory: ~/coreapp

이후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F5 키를 눌러 원격 디버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오~~~ 이제야 개발할 맛이 납니다. ^^




참고로, 기본 프로파일러 예제는 의존성이 많은데요,

$ ldd ~/projects/corprofiler/bin/x64/Debug/libcorprofiler.so
        linux-vdso.so.1 (0x00007ffda3b38000)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a7b5cda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a7b5ac2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a7b56d1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a7b5333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a7b627b000)

다음의 글에 따라 어느 정도 줄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11845

export된 symbol을 보면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요.

$ nm ~/projects/corprofiler/bin/x64/Debug/libcorprofiler.so
0000000000011380 V CLSID_CLR_v1_MetaData
0000000000011390 V CLSID_CLR_v2_MetaData
0000000000011470 V CLSID_Cor
0000000000011480 V CLSID_CorMetaDataDispenser
0000000000011490 V CLSID_CorMetaDataDispenserReg
0000000000011330 V CLSID_CorMetaDataDispenserRuntime
00000000000114a0 V CLSID_CorMetaDataReg
0000000000217008 d DW.ref.__gxx_personality_v0
000000000000e410 T DecoderGetOnDiskSize
000000000000e290 T DecoderInit
000000000000e240 T DllCanUnloadNow
000000000000e170 T DllGetClassObject
0000000000217018 D EnterMethodAddress
000000000001419c r GCC_except_table1
...[생략]...

저렇게 윈도우에서의 프로파일러와 유사한 COM 접근 방식을 리눅스에서도 그대로 흉내 내고 있습니다. ^^ 실제로 소스코드를 봐도 vtable 기반 하의 COM 접근 방식을 동일하게 구현하고 있습니다.




dotnet core의 헤더 파일들을 모두 포함시키면 다음과 같은 식의 빌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Task "MultiToolTask" skipped, due to false condition; ('%(Midl.ExcludedFromBuild)'!='true' and '$(UseMultiToolTask)' == 'true') was evaluated as (''!='true' and '' == 'true').
1>  Using "MIDL" task from assembly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Microsoft\VC\v160\Microsoft.Build.CppTasks.Common.dll".
1>  Task "MIDL"
1>    midl.exe  cor\src\inc\clrdata.idl
1>    Tracking command: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Current\Bin\Tracker.exe /d "C:\Program Files (x86)\MSBuild\15.0\FileTracker\FileTracker32.dll" /r C:\BUILD_VS_CLR_SAMPLES\CORPROFILER\CORPROFILER\COR\SRC\INC\CLRDATA.IDL /b MSBuildConsole_CancelEvent9ebc403f3abc41d38c14e3110ec31c70  /c midl.exe   cor\src\inc\clrdata.idl
1>    TRACKER : error TRK0005: Failed to locate: "midl.exe".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

왜냐하면, 포함된 폴더에는 헤더 파일뿐만 아니라 idl, rc, cpp 등의 파일도 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그 파일들은 빌드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Microsoft\VC\v160\Application Type\Linux\1.0\Linux.targets(151,5): error : Current project architecture 'ARM' is incompatible with the remote system architecture 'x64' ('x64'). Please switch the project architecture to 'x64' in Configuration Manager.

현재 비주얼 스튜디오의 빌드 타겟이 ARM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x64로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6/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5-21 03시22분
How to debug .net core 2 app on linux server via visual studio 2017 on windows? [Music no 4]
; http://tomaszjarzynski.pl/how-debug-net-core-2-app-linux-server-via-visual-studio-2017-windows-music-4/

Debugging ASP Core on Linux with Visual Studio 2017
; https://blogs.msdn.microsoft.com/premier_developer/2017/11/10/debugging-asp-core-on-linux-with-visual-studio-2017/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42정성태6/13/201917632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0960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0907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9968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11595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18064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936정성태6/10/201911313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11935정성태6/9/201912004.NET Framework: 843. C# - PLplot 출력을 파일이 아닌 Window 화면으로 변경
11934정성태6/7/201913189VC++: 133. typedef struct와 타입 전방 선언으로 인한 C2371 오류파일 다운로드1
11933정성태6/7/201913218VC++: 132. enum 정의를 C++11의 enum class로 바꿀 때 유의할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932정성태6/7/201911810오류 유형: 544. C++ - fatal error C1017: invalid integer constant expression파일 다운로드1
11931정성태6/6/201911914개발 환경 구성: 441. C# - CairoSharp/GtkSharp 사용을 위한 프로젝트 구성 방법
11930정성태6/5/201912505.NET Framework: 842. .NET Reflection을 대체할 System.Reflection.Metadata 소개 [1]
11929정성태6/5/201912219.NET Framework: 841. Windows Forms/C# - 클립보드에 RTF 텍스트를 복사 및 확인하는 방법 [1]
11928정성태6/5/201910853오류 유형: 543. PowerShell 확장 설치 시 "Catalog file '[...].cat' is not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module" 오류 발생
11927정성태6/5/201911831스크립트: 15. PowerShell ISE의 스크립트를 복사 후 PPT/Word에 붙여 넣으면 한글이 깨지는 문제 [1]
11926정성태6/4/201913251오류 유형: 542. Visual Studio - pointer to incomplete class type is not allowed
11925정성태6/4/201912058VC++: 131. Visual C++ - uuid 확장 속성과 __uuidof 확장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1924정성태5/30/201913838Math: 57. C# - 해석학적 방법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 [1]파일 다운로드1
11923정성태5/30/201913470Math: 56. C# -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경사 하강법의 최소/최댓값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922정성태5/29/201911546.NET Framework: 840. ML.NET 데이터 정규화파일 다운로드1
11921정성태5/28/201916447Math: 55. C# - 다항식을 위한 최소 자승법(Least Squares Method)파일 다운로드1
11920정성태5/28/201910041.NET Framework: 839. C# - PLplot 색상 제어
11919정성태5/27/201913163Math: 54. C# - 최소 자승법의 1차 함수에 대한 매개변수를 단순 for 문으로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918정성태5/25/201914357Math: 53. C# - 행렬식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LSM: Least Square Method)파일 다운로드1
11917정성태5/24/201914466Math: 52. MathNe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분산/표준편차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