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Math: 51. MathNET + OxyPlo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Histogram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90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MathNET + OxyPlo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Histogram

MathNET Numerics 라이브러리의,

C# - MathNet.Numerics의 Matrix(행렬) 연산
; https://www.sysnet.pe.kr/2/0/11910

통계 관련한 간단한 사용법을 볼까요? ^^ 우선, 다양한 평균에 대한 메서드입니다.

int [] heightInfo = LoadData("data.txt");

double [] dblHeights = (from elem in heightInfo
                    select (double)elem).ToArray();

Console.WriteLine($"Mean: {Statistics.Mean(dblHeights)}"); // 산술평균
Console.WriteLine($"GeometricMean: {Statistics.GeometricMean(dblHeights)}"); // 기하평균
Console.WriteLine($"HarmonicMean: {Statistics.HarmonicMean(dblHeights)}"); // 조화평균
Console.WriteLine($"RootMeanSquare: {Statistics.RootMeanSquare(dblHeights)}"); // 제곱평균

자동 히스토그램은 구간 수만 정해 주면 됩니다.

Histogram hist = new Histogram(dblHeights, 6);

또는, 상/하위 구간을 지정해 줄 수도 있습니다.

Histogram hist = new Histogram(dblHeights, 6, 141, 170);

아니면, 구간 자체를 사용자 정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Histogram hist = new Histogram();

hist.AddBucket(new Bucket(141, 145));
hist.AddBucket(new Bucket(145, 150));
hist.AddBucket(new Bucket(150, 155));
hist.AddBucket(new Bucket(155, 160));
hist.AddBucket(new Bucket(160, 165));
hist.AddBucket(new Bucket(165, 170));

hist.AddData(dblHeights);

보는 바와 같이 계급 구간을 Bucket 타입으로 지정하는데,

public Bucket(double lowerBound, double upperBound);

상/하한 기준 값이 double이라는 점과 데이터 비교 기준이 다음과 같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lowerBound, upperBound]

lowerBound < x <= upperBound

따라서 145 값을 주면 0번 Bucket에 계산되지만, 145.1을 주면 1번 Bucket에 계산됩니다.

상/하한 기준 값이 double이라는 점 때문에 계급값을 범용적으로 계산하는 것도 좀 이상해지긴 하지만, 그런 탓인지 Bucket 타입에는 계급값에 대한 속성이 없습니다. 또한, Histogram의 경우 계급값과 상대도수를 이용한 평균을 내주는 기능도 없으므로 이런 부분들은 임의로 여러분들이 다음과 같은 확장 메서드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public static class BucketExtension
{
    public static double GetClassMark(this Bucket bucket)
    {
        return Math.Round((bucket.LowerBound + bucket.UpperBound) / 2, MidpointRounding.AwayFromZero);
    }

    public static double GetRelativeFrequency(this Bucket bucket, Histogram histogram)
    {
        return bucket.Count / histogram.DataCount;
    }
}

public static class HistogramExtension
{
    public static void Output(this Histogram histogram)
    {
        for (int i = 0; i < histogram.BucketCount; i++)
        {
            Console.WriteLine($"{histogram[i].GetClassMark()} == {histogram[i].Count}");
        }
    }

    public static double Mean(this Histogram histogram)
    {
        double mean = 0.0;

        for (int i = 0; i < histogram.BucketCount; i++)
        {
            Bucket bucket = histogram[i];

            double classMark = bucket.GetClassMark();
            double relativeFrequency = bucket.GetRelativeFrequency(histogram);

            mean += (classMark * relativeFrequency);
        }

        return mean;
    }
}

그래서 다음과 같은 정도로 사용해 줄 수 있습니다.

Histogram hist = new Histogram();

hist.AddBucket(new Bucket(141, 145));
hist.AddBucket(new Bucket(145, 150));
hist.AddBucket(new Bucket(150, 155));
hist.AddBucket(new Bucket(155, 160));
hist.AddBucket(new Bucket(160, 165));
hist.AddBucket(new Bucket(165, 170));

hist.AddData(dblHeights);
hist.Output();
Console.WriteLine($"Mean of histogram: {hist.GetMean()}");

/*
출력 결과:
143 == 1
148 == 6
153 == 19
158 == 30
163 == 18
168 == 6
Mean of histogram: 157.75
*/




그래도 히스토그램은 역시 그래프로 봐야 제맛이죠? ^^

OxyPlot을 이용해,

C# Plotting 라이브러리 OxyPlot
; https://www.sysnet.pe.kr/2/0/10973

C# - OxyPlot 라이브러리로 복소수 표현
; https://www.sysnet.pe.kr/2/0/10974

Docs / Model / Series
; http://docs.oxyplot.org/en/latest/models/series/index.html

다음과 같은 정도로 그려낼 수 있습니다.

Histogram hist = GetHistogram(dblHeights);
plotView1.Model = GetHistogramModel(hist);

public PlotModel GetHistogramModel(Histogram hist)
{
    PlotModel model = new PlotModel();

    CategoryAxis xaxis = new CategoryAxis();
    xaxis.Position = AxisPosition.Bottom;
    xaxis.MajorGridlineStyle = LineStyle.Solid;
    xaxis.MinorGridlineStyle = LineStyle.Dot;

    for (int i = 0; i < hist.BucketCount; i++)
    {
        xaxis.Labels.Add(hist[i].GetClassMark().ToString());
    }

    LinearAxis yaxis = new LinearAxis();
    yaxis.Position = AxisPosition.Left;
    yaxis.MajorGridlineStyle = LineStyle.Dot;
    xaxis.MinorGridlineStyle = LineStyle.Dot;

    ColumnSeries series = new ColumnSeries();
    series.IsStacked = true;
    series.LabelPlacement = LabelPlacement.Base;
    series.LabelFormatString = "{0}";

    for (int i = 0; i < hist.BucketCount; i++)
    {
        ColumnItem item = new ColumnItem(hist[i].Count);
        series.Items.Add(item);
    }

    model = new PlotModel();
    model.Title = "Histogram";

    model.Axes.Add(xaxis);
    model.Axes.Add(yaxis);
    model.Series.Add(series);

    return model;
}

plotview_1.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소스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4/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82정성태9/5/201817624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0331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2503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0493.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18921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16693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11676정성태8/29/201827521.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11675정성태8/29/201817720오류 유형: 481. The located assembly's manifest definition does not match the assembly reference.
11674정성태8/29/201819696Phone: 12. Xamarin - 기존 리모컨 기능을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으로 구현파일 다운로드1
11673정성태8/28/201816968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11672정성태8/28/201817391오류 유형: 479. 윈도우 - 시스템 설정에서 도메인 참가를 위한 "Change" 버튼이 비활성화된 경우
11671정성태8/28/201823787사물인터넷: 39.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1670정성태8/28/201822005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69정성태8/24/201820789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11668정성태8/24/201831822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
11667정성태8/24/201818615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
11666정성태8/22/201818517사물인터넷: 37. 아두이노 - 코딩으로 대신하는 오실레이터 회로의 소리 출력파일 다운로드1
11665정성태8/22/201821199사물인터넷: 36. 오실레이터 회로 동작을 아두이노의 코딩으로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64정성태8/22/201820825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1]
11663정성태8/22/201823536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11662정성태8/21/201817219사물인터넷: 35. 병렬 회로에서의 커패시터파일 다운로드1
11661정성태8/21/201819538사물인터넷: 34. 트랜지스터 동작 - 컬렉터-이미터 간의 저항 측정파일 다운로드1
11660정성태8/19/201818614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1659정성태8/19/201818387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8정성태8/18/201821900사물인터넷: 31. 커패시터와 RC 회로파일 다운로드3
11657정성태8/18/201819893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파일 다운로드3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