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https://www.sysnet.pe.kr/2/0/11940

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9

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3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Visual Studio가 없는 빌드 머신에서 리눅스 프로젝트를 빌드하려는 경우,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원격 빌드 머신이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msbuild TestApp.vcxproj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15.9.21+g9802d43bc3 for .NET Framework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19-06-12 오후 2:22:46.
Project "c:\temp\TestApp.vcxproj" on node 1 (default targets).
InitializeBuildStatus:
Touching "c:\temp\TestApp\obj\x86\Debug\TestApp.tlog\unsuccessfulbuil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VC\VCTargets\Application Type\Linux\1.0\Linux.targets(100,5): error : There are not remote machines configured for remote builds. Please configure a machine using Tools | Options | Cross Platform | Connection Manager. [c:\temp\TestApp.vcxproj] Done Building Project "c:\temp\TestApp.vcxproj" (default targets) -- FAILED.

...[생략]...


해결을 위해서는 Visual Studio를 실행해야 하는데 ^^; 빌드 머신에 설치하기는 좀 그렇죠. 검색해 보면 다행히 해결책이 있습니다.

Is there any way to add connections to cross platform connection manager programatically?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content/problem/540405/is-there-any-way-to-add-connections-to-cross-platf.html

정리해 보면,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는 연결 정보를 다음의 파일에 보관합니다.

%LOCALAPPDATA%\Microsoft\Linux\User Data\3.0\store.xml

임의로 편집할 수 있다면 빌드 머신에 해당 XML을 생성해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겠지만 아쉽게도 "hash" 값이 담겨 있으므로 그럴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다음의 DLL을 참조 추가하면,

[Visual Studio 2017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Visual Studio 2019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Visual Studio 2022 Enterpris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현재 store.xml에 등록된 연결 정보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열람할 수 있고,

ConnectionInfoStore store = new ConnectionInfoStore();

foreach (var item in store.Connections)
{
    Console.WriteLine($"ID: {item.Id}");
    Console.WriteLine($"LastUpdated: {item.LastUpdated}");
    Console.WriteLine($"PersistenceMode: {item.PersistenceMode}");
    foreach (string propKey in item.Properties)
    {
        Console.WriteLine($"{propKey}: {item.Properties[propKey]}");
    }
    Console.WriteLine();
}

대략 다음과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ID: 409410665
LastUpdated: 2019-06-13 오전 10:06:21
PersistenceMode: Disk
SystemId: Ubuntu
Platform: x64
IsWsl: False
Sysroot: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409410665
SysrootUpdate: 132048615813208963
SysrootEnabled: true
HomeDirectory: /home/testusr

ID: 1356110592
LastUpdated: 2019-06-12 오후 2:42:19
PersistenceMode: Disk
SystemId: Ubuntu
Platform: x64
IsWsl: False
Sysroot: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56110592
SysrootUpdate: 132030508772785837
SysrootEnabled: true
HomeDirectory: /home/testusr

새로운 연결도 등록해 볼까요? ^^

private static void AddConnectionInfo(ConnectionInfoStore store, string hostNameOrAddress, string userId, string userPassword)
{
    SecureString ss = new SecureString();
    foreach (char ch in userPassword)
    {
        ss.AppendChar(ch);
    }

    liblinux.PasswordConnectionInfo pci = new liblinux.PasswordConnectionInfo(hostNameOrAddress, userId, ss);
    store.Add(pci);
    store.Save();
}

등록 후 다시 열람을 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게 됩니다.

ID: 409410665
LastUpdated: 0001-01-01 오전 12:00:00
PersistenceMode: Disk

결과를 보면 "Properties"에 있는 항목들이 전혀 열람이 안 된 것인데요, 사실 연결 정보만 구성하고 헤더 파일 자동 구성 작업이 비주얼 스튜디오에 의해 이뤄지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만 store.xml에 등록되기 때문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ore hash="51970831b3fef09afccf5...[생략]...927cf8848375f08fb7f27620e">
  <entries>
    <entry id="409410665">
      <hostname>192.168.100.50</hostname>
      <port>22</port>
      <dateAdded>목-13-6 2019 10:50:22</dateAdded>
      <credentials>
        <lastsuccessful>월-1-1 0001 00:00:00</lastsuccessful>
        <lastfailed>월-1-1 0001 00:00:00</lastfailed>
        <lastupdated>월-1-1 0001 00:00:00</lastupdated>
        <username>testusr</username>
        <authenticationMethod>Password</authenticationMethod>
        <password>AQAAANCMn...[생략]...xWSNYXloQqXTA==</password>
      </credentials>
      <properties />
    </entry>
  </entries>
</store>

상관없습니다. 어쨌든 저렇게 등록되었다는 것만으로 비주얼 스튜디오는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시 정상적으로 SSH 연결을 해 빌드를 수행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4정성태1/4/201727746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256.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719.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591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464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161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5925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200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145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083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136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032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204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699.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338.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320.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200.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085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243.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586.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094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067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099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1955.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689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0621.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