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https://www.sysnet.pe.kr/2/0/11940

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9

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3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Visual Studio가 없는 빌드 머신에서 리눅스 프로젝트를 빌드하려는 경우,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원격 빌드 머신이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msbuild TestApp.vcxproj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15.9.21+g9802d43bc3 for .NET Framework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19-06-12 오후 2:22:46.
Project "c:\temp\TestApp.vcxproj" on node 1 (default targets).
InitializeBuildStatus:
Touching "c:\temp\TestApp\obj\x86\Debug\TestApp.tlog\unsuccessfulbuil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VC\VCTargets\Application Type\Linux\1.0\Linux.targets(100,5): error : There are not remote machines configured for remote builds. Please configure a machine using Tools | Options | Cross Platform | Connection Manager. [c:\temp\TestApp.vcxproj] Done Building Project "c:\temp\TestApp.vcxproj" (default targets) -- FAILED.

...[생략]...


해결을 위해서는 Visual Studio를 실행해야 하는데 ^^; 빌드 머신에 설치하기는 좀 그렇죠. 검색해 보면 다행히 해결책이 있습니다.

Is there any way to add connections to cross platform connection manager programatically?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content/problem/540405/is-there-any-way-to-add-connections-to-cross-platf.html

정리해 보면,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는 연결 정보를 다음의 파일에 보관합니다.

%LOCALAPPDATA%\Microsoft\Linux\User Data\3.0\store.xml

임의로 편집할 수 있다면 빌드 머신에 해당 XML을 생성해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겠지만 아쉽게도 "hash" 값이 담겨 있으므로 그럴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다음의 DLL을 참조 추가하면,

[Visual Studio 2017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Visual Studio 2019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Visual Studio 2022 Enterpris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현재 store.xml에 등록된 연결 정보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열람할 수 있고,

ConnectionInfoStore store = new ConnectionInfoStore();

foreach (var item in store.Connections)
{
    Console.WriteLine($"ID: {item.Id}");
    Console.WriteLine($"LastUpdated: {item.LastUpdated}");
    Console.WriteLine($"PersistenceMode: {item.PersistenceMode}");
    foreach (string propKey in item.Properties)
    {
        Console.WriteLine($"{propKey}: {item.Properties[propKey]}");
    }
    Console.WriteLine();
}

대략 다음과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ID: 409410665
LastUpdated: 2019-06-13 오전 10:06:21
PersistenceMode: Disk
SystemId: Ubuntu
Platform: x64
IsWsl: False
Sysroot: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409410665
SysrootUpdate: 132048615813208963
SysrootEnabled: true
HomeDirectory: /home/testusr

ID: 1356110592
LastUpdated: 2019-06-12 오후 2:42:19
PersistenceMode: Disk
SystemId: Ubuntu
Platform: x64
IsWsl: False
Sysroot: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56110592
SysrootUpdate: 132030508772785837
SysrootEnabled: true
HomeDirectory: /home/testusr

새로운 연결도 등록해 볼까요? ^^

private static void AddConnectionInfo(ConnectionInfoStore store, string hostNameOrAddress, string userId, string userPassword)
{
    SecureString ss = new SecureString();
    foreach (char ch in userPassword)
    {
        ss.AppendChar(ch);
    }

    liblinux.PasswordConnectionInfo pci = new liblinux.PasswordConnectionInfo(hostNameOrAddress, userId, ss);
    store.Add(pci);
    store.Save();
}

등록 후 다시 열람을 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게 됩니다.

ID: 409410665
LastUpdated: 0001-01-01 오전 12:00:00
PersistenceMode: Disk

결과를 보면 "Properties"에 있는 항목들이 전혀 열람이 안 된 것인데요, 사실 연결 정보만 구성하고 헤더 파일 자동 구성 작업이 비주얼 스튜디오에 의해 이뤄지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만 store.xml에 등록되기 때문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ore hash="51970831b3fef09afccf5...[생략]...927cf8848375f08fb7f27620e">
  <entries>
    <entry id="409410665">
      <hostname>192.168.100.50</hostname>
      <port>22</port>
      <dateAdded>목-13-6 2019 10:50:22</dateAdded>
      <credentials>
        <lastsuccessful>월-1-1 0001 00:00:00</lastsuccessful>
        <lastfailed>월-1-1 0001 00:00:00</lastfailed>
        <lastupdated>월-1-1 0001 00:00:00</lastupdated>
        <username>testusr</username>
        <authenticationMethod>Password</authenticationMethod>
        <password>AQAAANCMn...[생략]...xWSNYXloQqXTA==</password>
      </credentials>
      <properties />
    </entry>
  </entries>
</store>

상관없습니다. 어쨌든 저렇게 등록되었다는 것만으로 비주얼 스튜디오는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시 정상적으로 SSH 연결을 해 빌드를 수행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9정성태8/15/201128264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1098정성태8/15/201150343웹: 24. 네이버는 어떻게 로그인 처리를 할까요? [2]
1097정성태8/15/201121640.NET Framework: 235. 메서드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으로 클래스를 찾아내는 방법
1096정성태8/15/201125778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1095정성태8/14/201126163디버깅 기술: 41. Windbg - 비정상 종료된 닷넷 프로그램의 StackTrace에서 보이는 offset 값 의미
1094정성태8/14/201130608오류 유형: 131. Fiddler가 강제 종료된 경우, 웹 사이트 방문이 안되는 현상
1093정성태7/27/201124188오류 유형: 130. Unable to connect to the Microsoft Visual Studio Remote Debugging Monitor ... Access is denied.
1092정성태7/22/201126625Team Foundation Server: 46. 코드 이외의 파일에 대해 소스 제어에서 제외시키는 방법
1091정성태7/21/201125660개발 환경 구성: 128. WP7 Emulator 실행 시 audiodg.exe의 CPU 소모율 증가 [2]
1089정성태7/18/201131236.NET Framework: 234. 왜? Button 컨트롤에는 MouseDown/MouseUp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8정성태7/16/201124257.NET Framework: 233. Entity Framework 4.1 - 윈도우 폰 7에서의 CodeFirst 순환 참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87정성태7/15/201127002.NET Framework: 232.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6정성태7/14/201128379.NET Framework: 231.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정성태7/14/201128890.NET Framework: 230.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4정성태7/11/201134160.NET Framework: 229. SQL 서버 - DB 테이블의 데이터 변경에 대한 알림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1083정성태7/11/201128211.NET Framework: 228.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1082정성태7/10/201127749.NET Framework: 227. basicHttpBinding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081정성태7/9/201127079VC++: 53. Windows 7에서 gcc.exe 실행 시 Access denied 오류 [2]
1080정성태7/8/201125588웹: 23.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79정성태7/6/201130009오류 유형: 129. Hyper-V + Realtek 랜카드가 설치된 시스템의 BSOD 현상 [2]
1078정성태7/5/201137482VC++: 52.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2]
1077정성태6/24/201135108.NET Framework: 226. HttpWebRequest 타입의 HaveRespons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76정성태6/23/201129310오류 유형: 128. SQL Express - User Instance 옵션을 사용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유형 2가지
1075정성태6/21/201124867VS.NET IDE: 69. 윈폰 프로젝트에서 WCF 서비스 참조할 때 Reference.cs 파일이 비어있는 경우
1074정성태6/20/201124995.NET Framework: 225. 닷넷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의 트레이스 기능파일 다운로드1
1073정성태6/20/201127218오류 유형: 127. Visual Studio에서 WCF 서비스의 이름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