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https://www.sysnet.pe.kr/2/0/11940

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9

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3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Visual Studio가 없는 빌드 머신에서 리눅스 프로젝트를 빌드하려는 경우,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원격 빌드 머신이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msbuild TestApp.vcxproj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15.9.21+g9802d43bc3 for .NET Framework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19-06-12 오후 2:22:46.
Project "c:\temp\TestApp.vcxproj" on node 1 (default targets).
InitializeBuildStatus:
Touching "c:\temp\TestApp\obj\x86\Debug\TestApp.tlog\unsuccessfulbuil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VC\VCTargets\Application Type\Linux\1.0\Linux.targets(100,5): error : There are not remote machines configured for remote builds. Please configure a machine using Tools | Options | Cross Platform | Connection Manager. [c:\temp\TestApp.vcxproj] Done Building Project "c:\temp\TestApp.vcxproj" (default targets) -- FAILED.

...[생략]...


해결을 위해서는 Visual Studio를 실행해야 하는데 ^^; 빌드 머신에 설치하기는 좀 그렇죠. 검색해 보면 다행히 해결책이 있습니다.

Is there any way to add connections to cross platform connection manager programatically?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content/problem/540405/is-there-any-way-to-add-connections-to-cross-platf.html

정리해 보면,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는 연결 정보를 다음의 파일에 보관합니다.

%LOCALAPPDATA%\Microsoft\Linux\User Data\3.0\store.xml

임의로 편집할 수 있다면 빌드 머신에 해당 XML을 생성해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겠지만 아쉽게도 "hash" 값이 담겨 있으므로 그럴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다음의 DLL을 참조 추가하면,

[Visual Studio 2017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Visual Studio 2019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Visual Studio 2022 Enterpris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Common7\IDE\PrivateAssemblies\liblinux.dll

현재 store.xml에 등록된 연결 정보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열람할 수 있고,

ConnectionInfoStore store = new ConnectionInfoStore();

foreach (var item in store.Connections)
{
    Console.WriteLine($"ID: {item.Id}");
    Console.WriteLine($"LastUpdated: {item.LastUpdated}");
    Console.WriteLine($"PersistenceMode: {item.PersistenceMode}");
    foreach (string propKey in item.Properties)
    {
        Console.WriteLine($"{propKey}: {item.Properties[propKey]}");
    }
    Console.WriteLine();
}

대략 다음과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ID: 409410665
LastUpdated: 2019-06-13 오전 10:06:21
PersistenceMode: Disk
SystemId: Ubuntu
Platform: x64
IsWsl: False
Sysroot: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409410665
SysrootUpdate: 132048615813208963
SysrootEnabled: true
HomeDirectory: /home/testusr

ID: 1356110592
LastUpdated: 2019-06-12 오후 2:42:19
PersistenceMode: Disk
SystemId: Ubuntu
Platform: x64
IsWsl: False
Sysroot: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56110592
SysrootUpdate: 132030508772785837
SysrootEnabled: true
HomeDirectory: /home/testusr

새로운 연결도 등록해 볼까요? ^^

private static void AddConnectionInfo(ConnectionInfoStore store, string hostNameOrAddress, string userId, string userPassword)
{
    SecureString ss = new SecureString();
    foreach (char ch in userPassword)
    {
        ss.AppendChar(ch);
    }

    liblinux.PasswordConnectionInfo pci = new liblinux.PasswordConnectionInfo(hostNameOrAddress, userId, ss);
    store.Add(pci);
    store.Save();
}

등록 후 다시 열람을 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게 됩니다.

ID: 409410665
LastUpdated: 0001-01-01 오전 12:00:00
PersistenceMode: Disk

결과를 보면 "Properties"에 있는 항목들이 전혀 열람이 안 된 것인데요, 사실 연결 정보만 구성하고 헤더 파일 자동 구성 작업이 비주얼 스튜디오에 의해 이뤄지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만 store.xml에 등록되기 때문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ore hash="51970831b3fef09afccf5...[생략]...927cf8848375f08fb7f27620e">
  <entries>
    <entry id="409410665">
      <hostname>192.168.100.50</hostname>
      <port>22</port>
      <dateAdded>목-13-6 2019 10:50:22</dateAdded>
      <credentials>
        <lastsuccessful>월-1-1 0001 00:00:00</lastsuccessful>
        <lastfailed>월-1-1 0001 00:00:00</lastfailed>
        <lastupdated>월-1-1 0001 00:00:00</lastupdated>
        <username>testusr</username>
        <authenticationMethod>Password</authenticationMethod>
        <password>AQAAANCMn...[생략]...xWSNYXloQqXTA==</password>
      </credentials>
      <properties />
    </entry>
  </entries>
</store>

상관없습니다. 어쨌든 저렇게 등록되었다는 것만으로 비주얼 스튜디오는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시 정상적으로 SSH 연결을 해 빌드를 수행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55정성태6/1/20061721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259정성태6/1/20061634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253정성태6/1/200614691기타: 14. .NET 2.0 이 지원되는 NDoc 2.0 을 배포합니다.
251정성태6/1/200617691오류 유형: 4. [OS 지원 API] SHParseDisplayName과 Windows 2000
252정성태6/1/200617533    답변글 오류 유형: 4.1. NET BCL 에서 제공되는 FolderBrowserDialog [2]
249정성태6/1/200616929.NET Framework: 7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50정성태6/1/200619585    답변글 .NET Framework: 71.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48정성태6/1/200617806기타: 13. Code Center Premium에서 Win32 API 소스 찾기
245정성태6/1/200625408오류 유형: 3. [C# / VC++] error C2146: syntax error : missing ';' before identifier 'GetType'
247정성태5/3/200622670    답변글 .NET Framework: 3.1. Interface를 사용하면. [1]
242정성태6/1/200623149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243정성태6/1/200620585    답변글 오류 유형: 2.1. [COM+] Resolve Partial Assembly failed for Microsoft.VC80.CRT.mui
244정성태6/1/200621912    답변글 오류 유형: 2.2. [COM+] Server object error 'ASP 0178 : 80070005'
240정성태6/1/200619774스크립트: 9. setTimeout 과 jscript/vbscript 혼용 문제
239정성태6/1/200621104COM 개체 관련: 18. Internet Explorer는 Out-of-process COM 개체입니다.
238정성태6/1/200622957개발 환경 구성: 1. batch 파일에서 실행한 exe에서 batch 실행 문맥의 환경 변수 설정 [3]
236정성태6/1/200643733오류 유형: 1. [.NET COM+] UnauthorizedAccessException: 레지스트리 키 HKEY_CLASSES_ROOT\.... 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235정성태6/1/200618381VS.NET IDE: 39. VS.NET 2003/2005에서도 제공되는 VS 6.0 MFC ClassWizard
234정성태4/14/200618058VC++: 24.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233정성태4/13/200617479.NET Framework: 70. Response.ContentType 과 Response.AddHeader( "Content-Type", "..." ) 의 차이
232정성태4/13/200617237.NET Framework: 69. Reusing C# Source Code Across Multiple Assemblies
231정성태4/13/200617670Team Foundation Server: 4. How to rename a Team Foundation Server
229정성태10/17/200619183.NET Framework: 68. Feb CTP 에서 동작하는 "Save XPS Document page(s) to .bmp" 예제 소스
230정성태4/13/200619398    답변글 .NET Framework: 68.1. -01 MSDN Magazine XPS Document 소스를 Feb CTP로 수정한 버전파일 다운로드1
228정성태4/13/200615808Team Foundation Server: 3. MSBUILD : warning : Visual Studio Team System for Software Testers or Visual Studio Team System for Software Developers is required to run tests as part of a Team Build.
227정성태4/13/200617393Team Foundation Server: 2. TFS 빌드 오류 유형 - MSBUILD: warning : Specified cast is not valid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