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7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48

.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
; https://www.sysnet.pe.kr/2/0/1857

.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860

.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 https://www.sysnet.pe.kr/2/0/2894

.NET Framework: 510. 제네릭(Generic) 인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확인
; https://www.sysnet.pe.kr/2/0/2907

.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 https://www.sysnet.pe.kr/2/0/11943

.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379

.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03

.NET Framework: 1174.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98




C# - 박싱과 언박싱

일반적으로 박싱을 값 형식의 인스턴스를 참조 형식의 인스턴스로 변환하는 것이고, 그 반대를 언박싱이라 설명합니다. 그런데 "CLR via C#" 책을 보면 언박싱에 대해 좀 더 엄밀하게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Chapter 5: 130page

Unboxing is not the exact opposite of boxing. The unboxing operation is much less costly than boxing. Unboxing is really just the operation of obtaining a pointer to the raw value type (data fields) contained within an object. In effect, the pointer refers to the unboxed portion in the boxed instance. So, unlike boxing, unboxing doesn’t involve the copying of any bytes in memory. Having made this important clarific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n unboxing operation is typically followed by copying the fields.


설명과는 달리, C# 코드만 보면 언박싱은 정확히 박싱의 반대 과정이나 다름없습니다.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n1;
    public int n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ms = new MyStruct();

        // 박싱
        object obj = ms;

        // 언박싱
        MyStruct t1 = (MyStruct)obj;
    }
}

하지만 이것을 IL 코드로 살펴보면 C#의 언박싱 코드가 실은 2개의 명령어로 나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maxstack 1
    .locals init (
        [0] valuetype MyStruct struct2,
        [1] object obj2,
        [2] valuetype MyStruct struct3)
    L_0000: nop 
    L_0001: ldloca.s struct2
    L_0003: initobj MyStruct
    L_0009: ldloc.0 
    L_000a: box MyStruct // 박싱
    L_000f: stloc.1 
    L_0010: ldloc.1 
    L_0011: unbox.any MyStruct // 언박싱
    L_0016: stloc.2  // 값 복사는 로컬 변수에 값을 대입하는 과정에서 발생
    L_0017: ret 
}

이에 대해서는 unbox 명령어에서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OpCodes.Unbox Fiel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reflection.emit.opcodes.unbox?view=netframework-4.8

The unbox instruction converts the object reference (type O), the boxed representation of a value type, to a value type pointer (a managed pointer, type &), its unboxed form. The supplied value type (valType) is a metadata token indicating the type of value type contained within the boxed object.
Unlike Box, which is required to make a copy of a value type for use in the object, unbox is not required to copy the value type from the object. Typically it simply computes the address of the value type that is already present inside of the boxed object.


즉 unbox 연산자는 관리 힙에 있는 개체를 가리키는 "관리 포인터"를 구하는 작업만을 담당하며, 그렇게 구한 관리 포인터로부터 스택에 값을 복사하는 과정은 "stloc" 명령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입니다. C# 코드로 이 과정을 재현해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n1;
    public int n2;
}

public class MyClass
{
    public MyStruct st;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ms = new MyStruct();

        // box 연산자는 아래의 2과정을 수행
        MyClass mc = new MyClass(); // 컴파일을 위해 MyClass 타입을 만든 것일 뿐!
        mc.st = ms;                 // 중요한 것은, 관리 힙에 객체가 들어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 unbox 연산자는 관리 포인터만 얻어오고,
        ref MyStruct t = ref mc.st;

        // unbox 이후의 stloc에 의해 스택에 위치한 로컬 변수로 값 복사가 발생
        MyStruct temp = t;
    }
}

따라서 박싱 연산은 관리 힙 할당과 값 복사라는 부하가 있지만 언박싱 연산은 타입 정보로부터 관리 포인터만을 얻는 것이므로 부하가 거의 없습니다. 단지, 당연하게 따라오는 로컬 변수로의 대입으로 인해 값 복사 부하가 어쩔 수 없이 발생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7-01 01시00분
[Jayce] 감사합니다 . 정말많은 지식들이있네요..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30정성태2/5/201422811개발 환경 구성: 216. Hyper-V에 올려진 윈도우 XP VM에서 24bit 컬러 및 ClearType 활성화하는 방법
1629정성태2/5/201432630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1628정성태2/4/201433952Windows: 87. 윈도우 8.1에서 .NET 3.5 설치가 안된다면? [2]
1627정성태2/4/201429012개발 환경 구성: 214.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를 이용해 간단한 리포트 제작하는 방법
1626정성태2/4/201421022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194.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807.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546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9015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849.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662.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397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3105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224.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899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851.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802.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796.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571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984.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916.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956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249.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168.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274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120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