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
; https://www.sysnet.pe.kr/2/0/11938

Math: 60.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
; https://www.sysnet.pe.kr/2/0/11955

Math: 6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
; https://www.sysnet.pe.kr/2/0/11962

Math: 62. 활성화 함수에 따른 뉴런의 출력을 그리드 맵으로 시각화
; https://www.sysnet.pe.kr/2/0/11966

Math: 63. C# - 3층 구조의 신경망
; https://www.sysnet.pe.kr/2/0/11969

Math: 64. C# - 3층 구조의 신경망(분류)
; https://www.sysnet.pe.kr/2/0/1198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

지난번의 글에서 다룬 소스 코드가,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
; https://www.sysnet.pe.kr/2/0/11955

T * x"의 계산식이 단순한 1차 식을 사용했으므로,

θT * x = θ0 * x0 + θ1 * x1 + θ2 * x2
       = θ0 + θ1 * x1 + θ2 * x2 = 0

선형적인 데이터 분류에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소 자승법에 했던 방식과 유사하게,

C# - 다항식을 위한 최소 자승법(Least Squares Method)
; https://www.sysnet.pe.kr/2/0/11921

2차 함수로 확장시켜주면,

θT * x = θ0 * x0 + θ1 * x1 + θ2 * x2 + θ3 * x1 * x1
       = θ0 + θ1 * x1 + θ2 * x2 + θ3 * x1 * x1 = 0

간단하게 선형 분리 불가능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 변경은 딱 2군데만 해주면 됩니다. 우선 θ 값을 하나 더 늘려주고,

// 매개변수 초기화
Vector<double> theta = Vector<double>.Build.Dense(SystemRandomSource.Default.NextDoubles(4));

데이터의 벡터도 역시 늘려주면 끝입니다.

// ImageRect.cs
public Vector<double> AsVectorX()
{
    return Vector<double>.Build.Dense(new double[] { 1.0, X1, X2, X1 * X1 });
}

이렇게 하고 에서 나온 data3.csv에 대해 분류를 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gistic_regression_non_linear_1.png

(확장 함수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 핵심 소스 코드를,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LContext ctx = new MLContext();

    string inputFileName = "data3.csv";
    IDataView data = ctx.Data.LoadFromTextFile<ImageRect>(inputFileName, separatorChar: ',', hasHeader: true);

    // 매개변수 초기화
    Vector<double> theta = Vector<double>.Build.Dense(SystemRandomSource.Default.NextDoubles(4));

    var dataList = ctx.Data.CreateEnumerable<ImageRect>(data, false);
    var statInfo = dataList.GetStatisticsInfo();

    // 표준화
    var imgList = dataList.NormalizeZscore(statInfo);
    Matrix<double> X = imgList.ToMatrix();
    Vector<double> train_y = imgList.ToVectorY();

    Console.WriteLine(X);

    // 시그모이드 함수
    Func<Matrix<double>, Vector<double>, Vector<double>> f = (x, t) =>
                    1 / (1 + exp(-x * theta));

    // 학습률
    double ETA = 1e-3;

    // 반복 횟수
    int epoch = 5000;

    // 갱신 횟수
    for (int i = 0; i < epoch * 1; i ++)
    {
        theta = theta - ETA * (f(X, theta) - train_y) * X;
        // Console.WriteLine(theta);
    }

    Console.WriteLine($"theta = {theta}");

    OutputChart(imgList, theta);
}

파이썬과 비교해보는 것도 좋겠지요. ^^

wikibook/math-for-ml
; https://github.com/wikibook/math-for-ml/blob/master/classification2_logistic_regression.py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소스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72정성태8/21/201724742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162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0601.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1410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0981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5072.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4856.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3115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3983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19466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18202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0771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18863.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18128.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18892.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19125.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0570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3159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19475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19729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18410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17051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0661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18452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11248정성태7/12/201724900오류 유형: 409. pip install pefile - 'cp949' codec can't decode byte 0xe2 in position 208687: illegal multibyte sequence
11247정성태7/12/201719236오류 유형: 408. SqlConnection 객체 생성 시 무한 대기 문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