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81.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96

.NET Framework: 282.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197

.NET Framework: 285.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3) - 텍스처 매핑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06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


지난번 글에 이어서.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96

이번에는 다음의 글에 실려 있는 Visual C++ 소스 코드를 XNA 프로젝트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포프의 쉐이더 입문강좌] 02. 진짜 쉬운 빨강쉐이더 Part 1
; http://kblog.popekim.com/2011/12/02-part-1.html

[포프의 쉐이더 입문강좌] 02. 진짜 쉬운 빨강쉐이더 Part 2
; http://kblog.popekim.com/2011/12/02-part-2.html

실습을 위해 저도 RenderMonkey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했는데요.

RenderMonkey™ Toolsuite 
; http://developer.amd.com/archive/gpu/rendermonkey/pages/default.aspx

RenderMonkey 1.82를 실행하자마자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되는 현상이 Vista/Win7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C:\Program Files (x86)\AMD\RenderMonkey 1.82" 폴더에 "Error.txt" 파일을 추가하고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설정해 주시면 그런 현상은 사라집니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코드 변환을 해볼까요? ^^

우선, 본문에 나온 #define 상수 먼저 C#에서 다음과 같이 추가해 줍니다.

public const float PI = 3.14159265f;
public const float FOV = (PI / 4.0f);
public readonly float ASPECT_RATIO;
public const int NEAR_PLANE = 1;
public const int FAR_PLANE = 10000;


public Game1()
{
    graphics = new GraphicsDeviceManager(this);
    Content.RootDirectory = "Content";

    this.graphics.PreferredBackBufferWidth = 800;
    this.graphics.PreferredBackBufferHeight = 600;

    ASPECT_RATIO = (this.graphics.PreferredBackBufferWidth / (float)this.graphics.PreferredBackBufferHeight);
}

그다음은 Sphere.x와 ColorShader.fx 파일을 로드해야 하는데요. 이 부분은 도움을 받아야겠습니다. ^^

Working with Shaders in XNA 
; http://rbwhitaker.wikidot.com/shaders-in-xna

위의 글을 읽으니 대강 감이 오는 군요.

2개의 파일을 WindowsGame1Content 프로젝트에 추가시키면, Visual Studio가 파일 확장자에 따라 .fx인 경우 "Effect - XNA Framework"으로, .x인 경우 "Model - XNA Framework"으로 알아서 "Content Processor"에 대응시켜줍니다.

그다음은 코드에서 이를 활용해야 할 텐데요. 복잡한 Visual C++ 소스 코드와는 달리 XNA에서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끝납니다.

Model _modelSphere;
Effect _colorShader;

protected override void LoadContent()
{
    spriteBatch = new SpriteBatch(GraphicsDevice);

    _spriteFont = Content.Load<SpriteFont>("Font");
    _modelSphere = Content.Load<Model>("Sphere");
    _colorShader = Content.Load<Effect>("ColorShader");
}

Shader를 로드했으니, 이제 Shader 내부의 전역 변수에 값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 부분은 Visual C++과 어느 정도 대응되는 면이 있습니다.

=== Visual C++ ===
D3DXMATRIXA16 matView;
D3DXVECTOR3 vEyePt(     0.0f, 0.0f, -200.0f );
D3DXVECTOR3 vLookatPt(  0.0f, 0.0f, 0.0f);
D3DXVECTOR3 vUpVec(     0.0f, 1.0f, 0.0f);
D3DXMatrixLookAtLH(&matView, &vEyePt, &vLookatPt, &vUpVec);

D3DXMATRIXA16 matProjection;
D3DXMatrixPerspectiveFovLH(&matProjection, FOV, ASPECT_RATIO, NEAR_PLANE, FAR_PLANE);

D3DXMATRIXA16 matWorld;
D3DXMatrixIdentity(&matWorld);

gpColorShader->SetMatrix("gWorldMatrix", &matWorld);
gpColorShader->SetMatrix("gViewMatrix", &matView);
gpColorShader->SetMatrix("gProjectionMatrix", &matProjection);


=== Visual C# ===
_matView = Matrix.CreateLookAt(new Vector3(0, 0, -200), new Vector3(0, 0, 0), new Vector3(0, 1, 0));
_matProjection = Matrix.CreatePerspectiveFieldOfView(FOV, ASPECT_RATIO, NEAR_PLANE, FAR_PLANE);
_matWorld = Matrix.Identity;
            
_colorShader.Parameters["gWorldMatrix"].SetValue(_matWorld);
_colorShader.Parameters["gViewMatrix"].SetValue(_matView);
_colorShader.Parameters["gProjectionMatrix"].SetValue(_matProjection);

마지막으로 Shader를 그려 봐야 하는데요. 사실 이 부분의 작업에 애를 먹긴 했습니다. 처음엔, Effect 타입에서 Begin/End 메서드를 정의해 주는 식으로 Visual C++ 소스 코드와 거의 동일할 거라고 생각해서 나름대로 유사한 함수와 속성을 찾아 보았는데요. 결국 포기하고 ^^ 다음의 글을 검색해서 도움을 받았습니다.

Game Creation with XNA/3D Development/Shaders and Effects
; http://en.wikibooks.org/wiki/Game_Creation_with_XNA/3D_Development/Shaders_and_Effects

아래는 최종 반영된 코드!

foreach (ModelMesh mesh in _modelSphere.Meshes)
{
    foreach (ModelMeshPart part in mesh.MeshParts)
    {
        part.Effect = _colorShader;
    }
                
    mesh.Draw();
}

실행하니, 정말 Visual C++ 소스 코드처럼 동일하게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신기하네요. ^^)

how_to_draw_shader_1.png

참고로, Shader가 XNA 내부적으로도 몇 가지 제공되는 것 같습니다.

가령, "Working with Shaders in XNA" 글에 보면 다음과 같이 BasicEffect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oreach (ModelMesh mesh in _modelSphere.Meshes)
{
    foreach (BasicEffect effect in mesh.Effects)
    {
        effect.EnableDefaultLighting();
        effect.PreferPerPixelLighting = true;
        effect.World = _matWorld * mesh.ParentBone.Transform;
        effect.View = _matView;
        effect.Projection = _matProjection;
    }
}

위와 같이 하면, Sphere.x 모델에다 BasicEffect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렌더링이 됩니다.

how_to_draw_shader_2.png

그나저나... 단순히 '구' 하나 그리는 것도 저렇게 힘든데... Lineage2 / WOW 같은 3D MMORPG를 만드는 게임 프로그래머들은... 3차원 공간에 대해 머릿속에서 수학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회로가 만들어진 천재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첨부 파일:

01_DxFramework.zip: 원 강좌에서 공개된 소스 코드의 Unicode 버전
WindowsGame1.zip: XNA로 변환된 C# 프로젝트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33정성태5/29/200931661.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26662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1676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27201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729정성태5/25/200926892.NET Framework: 138. InternalsVisibleTo와 Public Key 값
728정성태5/23/200937417.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2375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1897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25178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724정성태5/19/200939274.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파일 다운로드2
723정성태5/18/200933240.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1799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27438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24167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25341.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25615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714정성태5/7/200924173Windows: 45. Windows 7 RC와 함께 공개된 Windows Virtual PC 베타
713정성태4/30/200955969오류 유형: 79.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1]
712정성태4/28/200928559오류 유형: 78. Windows Vista/2008에서의 MSXML4.cab 파일 배포 문제
711정성태4/27/200928128개발 환경 구성: 43.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710정성태4/26/200928744.NET Framework: 133.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4]파일 다운로드1
709정성태4/24/200924957개발 환경 구성: 42. Windows Vista SP1에서 사용 가능한 Hyper-V 관리 도구
708정성태4/23/200929833.NET Framework: 132. ClickOnce 배포를 명령행 수작업 구성파일 다운로드1
707정성태4/22/200929452개발 환경 구성: 41. Hyper-V에 Linux 설치 -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1
706정성태4/21/200925318.NET Framework: 131. ClickOnce - 그룹화시켜 다운로드파일 다운로드1
705정성태4/20/200920860개발 환경 구성: 40. TFS2008 SP1의 DBTier에 SQL Server 2008 SP1 설치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