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기타: 58. Outlook에 설정한 SMTP/POP3(예:천리안 메일) 계정 암호를 잊어버린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010

기타: 59. outlook.live.com 메일 서비스의 아웃룩 POP3 설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11

.NET Framework: 761. C# - SmtpClient로 SMTP + SSL/TL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7

개발 환경 구성: 454.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94

.NET Framework: 848. C# - smtp.daum.net 서비스(Implicit SSL)를 이용해 메일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95

오류 유형: 757. 구글 메일 - 아웃룩에서 메일 전송 시 Sending' reported error (0x800CCC0F, 0x800CCC92)
; https://www.sysnet.pe.kr/2/0/12784

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3908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

SMTP를 이용한 메일 전송 프로그램을 - 예를 들어 천리안, Outlook(Office365)과 Gmail의 경우 -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Mai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mtpClient smtp = new SmtpClient();

        SetProfile(smtp, SmtpProfile.Chollian);

        MailAddress from = new MailAddress("from@test.com");
        MailAddress to = new MailAddress("to@test.com");

        MailMessage msg = new MailMessage(from, to);
        msg.Body = "Test is good";
        msg.Subject = "Test mail";

        smtp.Send(msg);
    }

    private static void SetProfile(SmtpClient smtp, SmtpProfile profile)
    {
        switch (profile)
        {
            case SmtpProfile.Chollian:
                smtp.Host = "mail.chol.com";
                smtp.Port = 25;
                smtp.EnableSsl = false;
                smtp.DeliveryMethod = SmtpDeliveryMethod.Network;
                smtp.Credentials = new NetworkCredential("...", "...");
                break;

            case SmtpProfile.Gmail:
                smtp.Host = "smtp.gmail.com";
                // smtp.Port = 465;
                smtp.Port = 587;
                smtp.EnableSsl = true;
                smtp.Credentials = new NetworkCredential("...", "...");
                break;

            case SmtpProfile.Office365:
                smtp.Host = "smtp.office365.com";
                smtp.Port = 587;
                smtp.EnableSsl = true;
                smtp.Credentials = new NetworkCredential("...", "...");
                break;
        }
    }
}

public enum SmtpProfile
{
    Chollian,
    Gmail,
    Office365,
}

이 프로그램을 Azure 가상 머신에서 천리안을 대상으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Failure sending mail. ---> System.Net.WebException: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 connection attempt failed because the connected party did not properly respond after a period of time, or established connection failed because connected host has failed to respond 203.252.1.111:25
   at System.Net.Sockets.Socket.DoConnect(EndPoint endPointSnapshot, SocketAddress socketAddress)
   at System.Net.ServicePoint.ConnectSocketInternal(Boolean connectFailure, Socket s4, Socket s6, Socket& socket, IPAddress& address, ConnectSocketState state, IAsyncResult asyncResult, Exception& exception)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Net.ServicePoint.GetConnection(PooledStream PooledStream, Object owner, Boolean async, IPAddress& address, Socket& abortSocket, Socket& abortSocket6)
   at System.Net.PooledStream.Activate(Object owningObject, Boolean async, GeneralAsyncDelegate asyncCallback)
   at System.Net.ConnectionPool.GetConnection(Object owningObject, GeneralAsyncDelegate asyncCallback, Int32 creationTimeout)
   at System.Net.Mail.SmtpConnection.GetConnection(ServicePoint servicePoint)
   at System.Net.Mail.SmtpClient.GetConnection()
   at System.Net.Mail.SmtpClient.Send(MailMessage message)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Net.Mail.SmtpClient.Send(MailMessage message)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25

예전에 Azure에서 SMTP 사용 관련 글을 썼었는데,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443

덧글에 언급된 내용대로 Azure에서 SMTP 사용이 (Azure 구독 유형에 따라) 막혔습니다.

Troubleshoot outbound SMTP connectivity issues in Az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virtual-network/troubleshoot-outbound-smtp-connectivity

잘 보면, 막힌 것은 SMTP 25번 포트라고 하며 실제로 telnet 등으로 Azure VM으로부터 외부 서버에 25번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면 실패하게 됩니다.

C:\temp> telnet mail.chol.com 25
Connecting To mail.chol.com...Could not open connection to the host, on port 25: Connect failed

따라서, Outlook과 Gmail처럼 587 포트로 바뀌게 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sendgrid 같은 외부 메일 서비스를 소개하는 글이 종종 눈에 띄는데, 한 달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후 결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기타, 오류 메시지 상황을 보면 계정 정보가 틀린 경우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FailedRecipientException: Mailbox unavailable. The server response was: 5.7.1 You(ip:221.155.83.250) are NOT allowed to RELAY (receiver:test@test.com).
   at System.Net.Mail.SmtpTransport.SendMail(MailAddress sender, MailAddressCollection recipients, String deliveryNotify, Boolean allowUnicode, SmtpFailedRecipientException& exception)
   at System.Net.Mail.SmtpClient.Send(MailMessage message)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26

또는 Gmail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면?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Failure sending mail. ---> System.IO.IOException: Unable to read data from the transport connection: net_io_connectionclosed.
   at System.Net.Mail.SmtpReplyReaderFactory.ProcessRead(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read, Boolean readLine)
   at System.Net.Mail.SmtpReplyReaderFactory.ReadLines(SmtpReplyReader caller, Boolean oneLine)
   at System.Net.Mail.SmtpReplyReaderFactory.ReadLine(SmtpReplyReader caller)
   at System.Net.Mail.SmtpConnection.GetConnection(ServicePoint servicePoint)
   at System.Net.Mail.SmtpClient.GetConnection()
   at System.Net.Mail.SmtpClient.Send(MailMessage message)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Net.Mail.SmtpClient.Send(MailMessage message)

설정한 포트를 확인해 465라면 587번으로 바꾸면 됩니다.

// smtp.Port = 465;
smtp.Port = 587;

또는, Outlook(Office365)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Unhandled Exception: System.Web.HttpException: The message could not be sent to the SMTP server. The transport error code was 0x800ccc6c. The server response was 452 Check your E-mail Address
 ---> System.Reflection.TargetInvocationException: Exception has been thrown by the target of an invocation. --->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The message could not be sent to the SMTP server. The transport error code was 0x800ccc6c. The server response was 452 Check your E-mail Address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RuntimeType.InvokeDispMethod(String name, BindingFlags invokeAttr, Object target, Object[] args, Boolean[] byrefModifiers, Int32 culture, String[] namedParameters)
   at System.RuntimeType.InvokeMember(String name, BindingFlags bindingFlags, Binder binder, Object target, Object[] providedArgs, ParameterModifier[] modifiers, CultureInfo culture, String[] namedParams)
   at System.Web.Mail.SmtpMail.LateBoundAccessHelper.CallMethod(Object obj, String methodName, Object[] args)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Web.Mail.SmtpMail.LateBoundAccessHelper.CallMethod(Object obj, String methodName, Object[] args)
   at System.Web.Mail.SmtpMail.CdoSysHelper.Send(MailMessage message)
   at System.Web.Mail.SmtpMail.Send(MailMessage message)
   at ConsoleApp2.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2\Program.cs:line 3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경우 보안이 엄격해서 전혀 다른 (IP 대역의) 장소에서 서비스를 사용하면 일단 차단을 하고 사용자 계정의 이메일로 허용 여부를 묻는 메일이 날아옵니다. 그 메일에서 명시적인 "허용"을 해야만 그 이후부터 Azure VM에서 정상적인 메일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10정성태4/30/201821740.NET Framework: 742. windbg로 확인하는 Finalizer를 가진 객체의 GC 과정파일 다운로드1
11509정성태4/28/201820041.NET Framework: 741.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11508정성태4/23/201821632개발 환경 구성: 373. MSBuild를 이용해 프로젝트 배포 후 결과물을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7정성태4/20/201821550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11506정성태4/20/201825813.NET Framework: 740.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두 번째 이야기 [7]파일 다운로드1
11505정성태4/19/201818587개발 환경 구성: 37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Simple WebSite Extension
11504정성태4/19/201820079오류 유형: 465. Azure Web App 확장 - Extplorer File manager 적용 시 오류
11503정성태4/19/201819909오류 유형: 464. PowerShell - Start-Service 명령 오류 (Service 'xxx' cannot be started)
11502정성태4/17/201821759개발 환경 구성: 370. Azure VM/App Services(Web Apps)에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 적용 방법 [3]
11501정성태4/17/201818716개발 환경 구성: 369. New-AzureRmADServicePrincipal로 생성한 계정의 clientSecret, key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0정성태4/17/201819658개발 환경 구성: 368. PowerShell로 접근하는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9정성태4/17/201818221개발 환경 구성: 367. Azure - New-AzureRmADServicePrincipal / New-AzureRmRoleAssignment 명령어
11498정성태4/17/201818350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Microsoft Enfra ID)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11497정성태4/17/201816370개발 환경 구성: 365. Azure 리소스의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별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할당하는 방법 [2]
11496정성태4/17/201816825개발 환경 구성: 364. Azure Portal에서 구독(Subscriptions)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495정성태4/16/201819101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4정성태4/16/201815614개발 환경 구성: 362. Azure Web Apps(App Services)에 사용자 DNS를 지정하는 방법
11493정성태4/16/201817400개발 환경 구성: 361. Azure Web App(App Service)의 HTTP/2 프로토콜 지원
11492정성태4/13/201815382개발 환경 구성: 360.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11491정성태4/13/201818537개발 환경 구성: 359. Azure 가상 머신에 Web Application을 배포하는 방법
11490정성태4/12/201817589.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1]파일 다운로드1
11489정성태4/12/201815225오류 유형: 463. 윈도우 백업 오류 - a Volume Shadow Copy Service operation failed.
11488정성태4/12/201818293오류 유형: 462. Unhandled Exception in Managed Code Snap-in - FX:{811FD892-5EB4-4E73-A147-F1E079E36C4E}
11487정성태4/12/201817359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1486정성태4/11/201816455오류 유형: 461. Error MSB4064 The "ComputeOutputOnly" parameter is not supported by the "VsTsc" task
11485정성태4/11/201823706.NET Framework: 738. C# - Console 프로그램이 Ctrl+C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