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89

개발 환경 구성: 439.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890

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902

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 https://www.sysnet.pe.kr/2/0/12044

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045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지난 글에서,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분명히 Enterprise 버전인데도 제품키를 입력해야만 mstest.exe가 동작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했습니다. 아무래도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버그 같은데 아쉽게도 최근 비주얼 스튜디오의 새 프로젝트 창을 보면,

mstest_loadtest_1.png

"Deprecated"라고 나온 걸로 봐서 관련 테스트 프로젝트를 더 이상 신경 쓰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저 동작이 수정될 가능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입니다.




혹시 그럼, 저 동작을 우회할 수는 없을까요? 이를 위해 해당 라이선스 체크가 발생하는 코드를 추적해 보면,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890

결국 다음의 코드에서 IsLicenseGood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UpdateLicensingInformation(IVsClientRights clientRights)
{
    if (clientRights == null)
    {
        WebTestLoadTrace.Error("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unable to fetch clientRights ");
    }
    else if (!clientRights.IsLicenseGood)
    {
        WebTestLoadTrace.Error("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clientrights' license is not valid.");
    }
    else
    {
        this.AvailableFeatures = 4;
        _VSLicenseType licenseType = (_VSLicenseType) clientRights.LicenseType;
        this.IsLicensedForAllLoadTestFeatures = ((this.IsLicensedForLoadTest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UNKNOWN))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TrialPID)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VSExtensionTrial)))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PrereleaseTrialPID);
        WebTestLoadTrace.Verbose("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licenseType: " + licenseType);
        if (this.IsLicensedForAllLoadTestFeatures)
        {
            this.AvailableFeatures |= 8;
            this.AvailableFeatures |= 0x20;
        }
    }
}

그렇다면 이 코드를 profiler 기술을 이용해,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 https://www.sysnet.pe.kr/2/0/1046

다음과 같은 식으로 IsLicenseGood의 IL 코드를 무조건 1을 반환하도록 변경하면 됩니다.

vector<BYTE> ilCodes;

ilCodes.push_back(CEE_LDC_I4_1);
ilCodes.push_back(CEE_RET);

IMAGE_COR_ILMETHOD ilHeader;
ilHeader.Tiny.Flags_CodeSize = (BYTE)((ilCodes.size() << 2) | CorILMethod_TinyFormat);

size_t allocationSize = ilCodes.size() + sizeof(ilHeader.Tiny);

BYTE* pAllocated = (BYTE*)pMalloc->Alloc((ULONG)allocationSize);

BYTE* pBytes = pAllocated;
memcpy(pBytes, &ilHeader.Tiny, sizeof(ilHeader.Tiny));
pBytes += sizeof(ilHeader.Tiny);

memcpy(pBytes, ilCodes.data(), ilCodes.size());
pBytes += ilCodes.size();

m_pICorProfilerInfo->SetILFunctionBody(moduleId, methodToken, (LPCBYTE)pAllocated);

이후, 비교를 위해 예전 그대로 실행해 보면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가 발생하지만,

C:\temp> mstest /testcontainer:loadtest1.loadtest
Microsoft (R) Test Execution Command Line Tool Version 16.0.28326.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oading loadtest1.loadtest...
Starting execution...

Results               Top Level Tests
-------               ---------------
Error                 loadtest1.loadtest
0/1 test(s) Passed, 1 Error

Summary
-------
Test Run Warning.
  Error  1
  --------
  Total  1
Results file:  C:\temp\TestResults\%USERNAME%_TESTPC 2019-05-23 23_30_15.trx
Test Settings: Default Test Settings

Run has the following issue(s):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V, 11892, 1, 2019/05/23, 08:54:16.573, TESTPC\mstest, WebLoadTestAdapter: LicenseHandler.InitializeLoadTestLicenseInfo(): skuEdition: VSEDITION_Ultimate
E, 11892, 1, 2019/05/23, 08:54:16.990, TESTPC\mstest, WebLoadTestAdapter: 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clientrights' license is not valid.

profiler를 등록한 다음,

C:\temp> SET COR_ENABLE_PROFILING=1
C:\temp> SET COR_PROFILER={...}

다시 실행해 보면 정상적으로 loadtest에 대한 시나리오를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혹시나, 저 동작이 마이크로소프트의 버그가 아니라 의도된 라이선스 수행 과정일 수 있으므로 이 글에 대한 바이너리나 전체 소스 코드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7/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08정성태9/30/201822453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3817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0002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0818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4875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19619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6825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2573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0657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19131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0302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19239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0171.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25293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19547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2712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3039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19994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2935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2221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17565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19448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18509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11685정성태9/6/201818469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84정성태9/6/201821096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1683정성태9/5/201818715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