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2

.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8

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 https://www.sysnet.pe.kr/2/0/12114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커널 구조체들이 운영체제 버전 및 패치에 민감하다 보니 코드에 해당 offset 값들을 하드 코딩하는 게 영 탐탁지 않습니다. 게다가 offset 값들을 알아보는 것도 꽤나 귀찮은 작업인데요, 매번 windbg를 실행해 "dt"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실행해 offset이 맞는지 확인하는 식입니다.

0:001> dt _PEB
ntdll!_PEB
   +0x000 InheritedAddressSpace : UChar
   +0x001 ReadImageFileExecOptions : UChar
   +0x002 BeingDebugged    : UChar
   +0x003 BitField         : UChar
   +0x003 ImageUsesLargePages : Pos 0, 1 Bit
   +0x003 IsProtectedProcess : Pos 1, 1 Bit
...[생략]...
   +0x7b8 LeapSecondData   : Ptr64 _LEAP_SECOND_DATA
   +0x7c0 LeapSecondFlags  : Uint4B
   +0x7c0 SixtySecondEnabled : Pos 0, 1 Bit
   +0x7c0 Reserved         : Pos 1, 31 Bits
   +0x7c4 NtGlobalFlag2    : Uint4B

멋이 좀 덜하긴 하지만, 저 출력 작업만 명령행으로 구할 수 있다면 대강의 문자열 파싱으로 offset 값 구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cdb.exe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DB Command-Line Op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cdb-command-line-options

cdb, ntsd, windbg 등은 모두 같은 디버그 엔진(dbgeng.dll)을 사용하는 래퍼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또한 내부 사용 명령도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데다 cdb.exe의 경우 명령행에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이 커널 구조체의 출력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cdb.exe"

c:\temp> cdb -pn notepad.exe -c "dt _PEB; qd"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10.0.17763.168 AMD6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wait with pending attach
Unable to add extension DLL: ntsdexts
Unable to add extension DLL: uext
Unable to add extension DLL: exts
The call to LoadLibrary(ext) failed, Win32 error 0n2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Please check your debugger configuration and/or network access.
Symbol search path is: srv*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007ff7`d8b60000 00007ff7`d8ba3000   C:\WINDOWS\system32\notepad.exe
ModLoad: 00007ff8`b76f0000 00007ff8`b78dd000   C:\WINDOWS\SYSTEM32\ntdll.dll
...[생략]...
ModLoad: 00007ff8`ade60000 00007ff8`ade9e000   C:\Windows\System32\IME\IMEKR\imkrapi.dll
ModLoad: 00007ff8`add90000 00007ff8`addcf000   C:\Windows\System32\IME\shared\imjkapi.dll
(c3c.17a4):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ll!DbgBreakPoint:
00007ff8`b7793080 cc              int     3
0:001> cdb: Reading initial command 'dt _PEB; qd'
ntdll!_PEB
   +0x000 InheritedAddressSpace : UChar
   +0x001 ReadImageFileExecOptions : UChar
   +0x002 BeingDebugged    : UChar
...[생략]...
   +0x7c0 SixtySecondEnabled : Pos 0, 1 Bit
   +0x7c0 Reserved         : Pos 1, 31 Bits
   +0x7c4 NtGlobalFlag2    : Uint4B
quit:

그럼 이렇게 필터링하는 것도 가능하고,

c:\temp> cdb -pn notepad.exe -c "dt _PEB; qd" | findstr Ldr
   +0x018 Ldr              : Ptr64 _PEB_LDR_DATA

간단하게 저 출력만 분석하면 구조체 필드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cdb.exe를 실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파일은 뭐가 있을까요? 우선, cdb.exe 자체는 여타 다른 의존성이 없습니다. 단지 커널 구조체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DLL(예를 들어 ntdll.dll)의 심벌 파일이 필요한데 cdb.exe만 복사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심벌 로드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0:007> .sympath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DBGHELP: Symbol Search Path: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Symbol search path is: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Expanded Symbol search path is: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 Path validation summary **************
Response                         Time (ms)     Location
Deferred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0:007> .reload /s /f ntdll.dll
DBGHELP: C:\WINDOWS\SYSTEM32\ntdll.pdb - file not found
DBGHELP: ntdll.pdb - file not found
*** ERROR: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for C:\WINDOWS\SYSTEM32\ntdll.dll -
DBGHELP: ntdll - export symbols

************* Symbol Loading Error Summary **************
Module name            Error
ntdll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The SYMSRV client failed to find a file in the UNC store, or there
                                is an invalid UNC store (an invalid path or the pingme.txt file is
                                not present in the root directory), or the file is present in the
                                symbol server exclusion list.

그래서 지난 글에 설명한,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 https://www.sysnet.pe.kr/2/0/12091

내용에 따라 (symchk.exe는 필요 없으니) 다음의 4개 파일만 함께 복사해 주시면 됩니다.

  • cdb.exe
  • dbghelp.dll
  • SymbolCheck.dll
  • symsrv.dl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31정성태1/1/201528535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27579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1829정성태12/16/201431345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2]파일 다운로드1
1828정성태12/15/201427813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4]파일 다운로드1
1827정성태12/12/201424168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1826정성태12/11/201428635.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75805.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25852.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2829.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2정성태12/3/201425459개발 환경 구성: 252. Xamarin 라이선스 관리 [8]
1821정성태12/1/201431892VS.NET IDE: 96. Visual Studio에서 /* ~ */ 주석을 위한 단축키(매크로)
1820정성태11/23/201420619.NET Framework: 485.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819정성태11/22/201420604오류 유형: 264. MSBuild 에러 - warning MSB3052: The parameter to the compiler is invalid,
1818정성태11/22/201423016개발 환경 구성: 251. NUMA 노드 수에 따른 IIS Worker Process(w3wp.exe) 설정 [1]
1817정성태11/22/201426173VS.NET IDE: 95. Macros for Visual Studio 2013 [1]
1816정성태11/20/201420861.NET Framework: 484.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1815정성태11/18/201418859.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2]
1814정성태11/18/201420394오류 유형: 263.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It may not be installed.
1813정성태11/18/201422248오류 유형: 262. Build Events에 robocopy 작업이 있는 경우 "VCEnd exited with code 3" 오류 발생
1812정성태11/17/201419688.NET Framework: 482. ETW 자동 생성 코드의 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811정성태11/16/201421006.NET Framework: 481. Mono 내부의 문자열 처리 방식은 UTF-8
1810정성태11/15/201457695.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4]
1809정성태11/11/201422902.NET Framework: 479. Mono Profiler를 Unity의 Plugin으로 사용하는 방법
1808정성태11/11/201423221.NET Framework: 478.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2]
1807정성태11/10/201429373개발 환경 구성: 250. 서버용 Socket에서 사용하는 포트가 충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806정성태11/10/201425147.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