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7

.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8

.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

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
; https://www.sysnet.pe.kr/2/0/10797

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097

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 https://www.sysnet.pe.kr/2/0/13842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일반적으로 커널 구조체는 ntdll.dll에 담겨져 있고, x86 process on x86 system, x64 process on x64 system에서는 단순히 "dt _TEB"라고 하면 해당 구조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x86 windbg / x86 debuggee on x86 windows
// x64 windbg / x64 debuggee on x64 windows

0:000> dt _TEB
ntdll!_TEB
   +0x000 NtTib            : _NT_TIB
   +0x038 EnvironmentPointer : Ptr64 Void
   +0x040 ClientId         : _CLIENT_ID
   +0x050 ActiveRpcHandle  : Ptr64 Void
   +0x058 ThreadLocalStoragePointer : Ptr64 Void
   ...[생략]...
   +0x180c WowTebOffset     : Int4B
   +0x1810 ResourceRetValue : Ptr64 Void
   +0x1818 ReservedForWdf   : Ptr64 Void
   +0x1820 ReservedForCrt   : Uint8B
   +0x1828 EffectiveContainerId : _GUID

이런 규칙이 x86 process on x64 system인 경우에는 살짝 달라집니다. 우선, x64 운영체제에서 x86 버전의 windbg로 x86 프로세스에 연결한 후 _TEB 구조체를 보려는 경우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 x64 Windows 10 1909
// x86 windbg / x86 debuggee

0:000> dt _TEB
*************************************************************************
***                                                                   ***
***                                                                   ***
***    Either you specified an unqualified symbol, or your debugger   ***
***    doesn't have full symbol information.  Unqualified symbol      ***
***    resolution is turned off by default. Please either specify a   ***
***    fully qualified symbol module!symbolname, or enable resolution ***
***    of unqualified symbols by typing ".symopt- 100". Note that     ***
***    enabling unqualified symbol resolution with network symbol     ***
***    server shares in the symbol path may cause the debugger to     ***
***    appear to hang for long periods of time when an incorrect      ***
***    symbol name is typed or the network symbol server is down.     ***
***                                                                   ***
***    For some commands to work properly, your symbol path           ***
***    must point to .pdb files that have full type information.      ***
***                                                                   ***
***    Certain .pdb files (such as the public OS symbols) do not      ***
***    contain the required information.  Contact the group that      ***
***    provided you with these symbols if you need this command to    ***
***    work.                                                          ***
***                                                                   ***
***    Type referenced: _TEB                                          ***
***                                                                   ***
*************************************************************************
Symbol _TEB not found.

x86 notepad.exe를 대상으로 테스트해 보면 32비트 _TEB는 다음과 같은 DLL에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0> dt *!_TEB
          combase!_TEB
          wintypes!_TEB
          ole32!_TEB

또한 x64 시스템의 경우 별도로 _TEB32 구조체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 Windows Server 2008 R2
0:000> dt *!_TEB32
          ole32!_TEB32

// Windows Server 2012 이상
0:000> dt *!_TEB32
ntdll!_TEB32
ole32!_TEB32




그다음, x64 운영체제에서 x64 버전의 windbg로 x86 프로세스에 연결한 후 _TEB 구조체를 보려는 경우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이런 경우 "dt _TEB" 명령어가 잘 동작하는 듯하지만,

// x64 Windows 10 1909
// x64 windbg / x86 debuggee

0:000> dt _TEB
ntdll!_TEB
   +0x000 NtTib            : _NT_TIB
   +0x038 EnvironmentPointer : Ptr64 Void
   +0x040 ClientId         : _CLIENT_ID
   +0x050 ActiveRpcHandle  : Ptr64 Void
   +0x058 ThreadLocalStoragePointer : Ptr64 Void
   +0x060 ProcessEnvironmentBlock : Ptr64 _PEB
   +0x068 LastErrorValue   : Uint4B
...[생략]...
   +0x1810 ResourceRetValue : Ptr64 Void
   +0x1818 ReservedForWdf   : Ptr64 Void
   +0x1820 ReservedForCrt   : Uint8B
   +0x1828 EffectiveContainerId : _GUID

아쉽게도 x64 버전의 _TEB 구조체일 뿐 x86 버전이 아니므로, 32비트 버전은 _TEB32로 구해야 합니다. (혹은, WinTypes.dll, combase.dll, ole32.dll 등에 정의한 _TEB 사용)

0:000> dt _TEB32
ntdll!_TEB32
   +0x000 NtTib            : _NT_TIB32
   +0x01c EnvironmentPointer : Uint4B
   +0x020 ClientId         : _CLIENT_ID32
   +0x028 ActiveRpcHandle  : Uint4B
   +0x02c ThreadLocalStoragePointer : Uint4B
   +0x030 ProcessEnvironmentBlock : Uint4B
...[생략]...
   +0xfe0 ResourceRetValue : Uint4B
   +0xfe4 ReservedForWdf   : Uint4B
   +0xfe8 ReservedForCrt   : Uint8B
   +0xff0 EffectiveContainerId : _GUID

한 가지 더 아쉬운 점이 있다면 _TEB32 구조체는 Windows Server 2012부터 ntdll.dll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Windows Server 2008 R2의 경우에는 ole32.dll에 정의된 (_TEB32가 아닌) _TEB를 참조해야 합니다.

0:002> dt ole32!_TEB
ole32!_TEB
   +0x000 NtTib            : _NT_TIB
   +0x01c EnvironmentPointer : Ptr32 Void
   +0x020 ClientId         : _CLIENT_ID
   +0x028 ActiveRpcHandle  : Ptr32 Void
   +0x02c ThreadLocalStoragePointer : Ptr32 Void
   +0x030 ProcessEnvironmentBlock : Ptr32 _PEB
...[생략]...
   +0xfcc TxnScopeEnterCallback : Ptr32 Void
   +0xfd0 TxnScopeExitCallback : Ptr32 Void
   +0xfd4 TxnScopeContext  : Ptr32 Void
   +0xfd8 LockCount        : Uint4B
   +0xfdc SpareUlong0      : Uint4B




꽤나 복잡하군요. ^^; 이외에도 "dt ntdll32!_TEB"와 같이 "ntdll32"에서도 구하는 것이 가능한데 현재 제가 가진 운영체제에서 재현이 안 되므로 생략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09정성태4/5/202317626.NET Framework: 2107. .NET 6+ FileStream의 구조 변화
13308정성태4/4/202317276스크립트: 47. 파이썬의 time.time() 실숫값을 GoLang / C#에서 사용하는 방법 [1]
13307정성태4/4/202315224.NET Framework: 2106. C# - .NET Core/5+ 환경의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에서 HINSTANCE 구하는 방법
13306정성태4/3/202315498Windows: 243. Win32 - 윈도우(cbWndExtra) 및 윈도우 클래스(cbClsExtra) 저장소 사용 방법
13305정성태4/1/202317629Windows: 242. Win32 - 시간 만료를 갖는 MessageBox 대화창 구현 (쉬운 버전) [1]파일 다운로드1
13304정성태3/31/202317714VS.NET IDE: 181. Visual Studio - C/C++ 프로젝트에 application manifest 적용하는 방법
13303정성태3/30/202315451Windows: 241. 환경 변수 %PATH%에 DLL을 찾는 규칙
13302정성태3/30/202316803Windows: 240. RDP 환경에서 바뀌는 %TEMP% 디렉터리 경로
13301정성태3/29/202317129Windows: 239. C/C++ - Windows 10 Version 1607부터 지원하는 /DEPENDENTLOADFLAG 옵션 [1]파일 다운로드1
13300정성태3/28/202316455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
13299정성태3/27/202316304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
13298정성태3/27/202315308Windows: 236. Win32 - MessageBeep 소리가 안 들린다면?
13297정성태3/26/202317574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13296정성태3/25/202316712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1]파일 다운로드1
13295정성태3/24/202316550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94정성태3/22/202316476.NET Framework: 2105.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 두 번째
13293정성태3/22/202315594오류 유형: 853. dumpbin - warning LNK4048: Invalid format file; ignored
13292정성태3/21/202316197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파일 다운로드1
13291정성태3/20/202316224.NET Framework: 2104. C# Windows Forms - WndProc 재정의와 IMessageFilter 사용 시의 차이점
13290정성태3/19/202317307.NET Framework: 2103. C# -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FindText 대화창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289정성태3/18/202315402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8정성태3/17/202316182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7정성태3/16/202316439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6정성태3/15/202317006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13285정성태3/14/202315763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84정성태3/13/202314849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