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145.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https://www.sysnet.pe.kr/2/0/1212

오류 유형: 301.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826

오류 유형: 738.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721

오류 유형: 960.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네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944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에 참여한 PC에 로그인 하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일부 Virtual Machine은 관리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위의 가상 머신에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저 상태를 자연스럽게 해결하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Trust Relationship Between Workstation and Domain Fails
; http://support.microsoft.com/kb/162797/en-us

어쩔 수 없더군요. 저 역시 해당 컴퓨터에 "Local Administrator"로 로그인한 다음 도메인에서 탈퇴시키고 (시스템 재부팅없이) 다시 도메인에 가입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우회했습니다.

그나저나 재미있는 것은, 도메인 탈퇴 시에 도메인의 관리자 계정을 물어오는데 그때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자연스럽게 계정 확인이 되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15정성태4/9/201133492.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1014정성태4/7/2011111003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
1013정성태4/7/201128844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
1012정성태4/6/201138113.NET Framework: 208.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1]
1011정성태3/31/201140100오류 유형: 114. 인증서 갱신 오류 - The request contains no certificate template information.
1010정성태3/30/201131000개발 환경 구성: 113.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4]
1009정성태3/29/201143284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4]
1008정성태3/27/201135401.NET Framework: 207.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2]
1007정성태3/16/201136293개발 환경 구성: 111. Excel - XML 파일 연동 [5]파일 다운로드1
1006정성태3/15/201129898.NET Framework: 206. XML/XSD - 외래키처럼 참조 제한 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05정성태3/11/201139893개발 환경 구성: 110.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2]
1004정성태3/3/201129079개발 환경 구성: 109. SharePoint Health Analyzer 디스크 부족 경고 제어
1003정성태3/3/201130163오류 유형: 113. SQL Server - DB Attach 시 Parameter name: nColIndex 오류 발생
1002정성태3/2/201128443Team Foundation Server: 44. TFS 설치 후, Team Portal의 Dashboard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1001정성태3/2/201132736Team Foundation Server: 43. TFS 2010 + SharePoint 2010 설치
1000정성태3/1/201137718오류 유형: 112. Remote FX RDP 연결 시 오류 유형 2가지 [5]
999정성태2/28/201150829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4460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42164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60451.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40528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32661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33364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53474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8112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4528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