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7개 있습니다.)
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https://www.sysnet.pe.kr/2/0/942

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
; https://www.sysnet.pe.kr/2/0/1027

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 https://www.sysnet.pe.kr/2/0/1231

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32

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 https://www.sysnet.pe.kr/2/0/1242

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1764

.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2132

.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
; https://www.sysnet.pe.kr/2/0/12143

.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44

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 https://www.sysnet.pe.kr/2/0/12148

.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50

.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151

.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52

.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
; https://www.sysnet.pe.kr/2/0/12153

.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65

.NET Framework: 968. C# 9.0의 Function pointer를 이용한 함수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09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

지난 글에,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https://www.sysnet.pe.kr/2/0/942

codeproject의 글 하나를 소개했는데요.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 http://www.codeproject.com/KB/dotnet/CLRMethodInjection.aspx

우선,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글에서의 코드를 정리해 DetourFunc 프로젝트에 반영했으니,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2132

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일반 닷넷 메서드의 호출을 가로챌 수 있습니다.

// Install-Package DetourFunc -Version 1.0.7

using DetourFunc;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_)
    {
        Action<bool> oldAction = TestMethod;
        Action<bool> newAction = NewMethod;

        Console.WriteLine($"oldFunc == {oldAction.Method.MethodHandle.GetFunctionPointer().ToInt64():x}");
        Console.WriteLine($"newFunc == {newAction.Method.MethodHandle.GetFunctionPointer().ToInt64():x}");
        Console.WriteLine();

        TestMethod(true);
        NetMethodReplacer.ReplaceMethod(oldAction.Method, newAction.Method);
        TestMethod(true);
    }

    [MethodImpl(MethodImplOptions.NoInlining)]
    static void TestMethod(bool showMessage)
    {
        if (showMessage == true)
        {
            Console.WriteLine("TestMethod");
        }
    }

    [MethodImpl(MethodImplOptions.NoInlining)]
    static void NewMethod(bool showMessage)
    {
        if (showMessage == true)
        {
            Console.WriteLine("NewMethod");
        }
    }
}

/* 출력 결과
oldFunc == 7ffe48320488
newFunc == 7ffe48320490

TestMethod
NewMethod
*/

보는 바와 같이 TestMethod의 동작이 NewMethod로 치환되었습니다.




그런데 새롭게 바뀐 JIT 컴파일 방식으로 인해,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33

Runtime Method Replacer의 동작에 결함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습니다.

for (int i = 0; i < 10000; i++)
{
    TestMethod(false);
}

NetMethodReplacer.ReplaceMethod(oldAction.Method, newAction.Method);
TestMethod(true);

/* 출력 결과
TestMethod
*/

그러니까, NetMethodReplacer.ReplaceMethod 호출 이전에 Fixup Precode가 call에서 jmp로 바뀌도록 TestMethod를 충분히 불러주면 이후 ReplaceMethod를 해도 효력이 없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NetMethodReplacer.ReplaceMethod 메서드는 대상 코드를 치환하기 위해 MethodDesc의 8바이트 위치에 값을 써 PreStubWorker 단계에서 MethodDesc::GetMethodEntryPoint 함수가 그 값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데, Fixup Precode가 Method의 Body로 향하는 jmp 문으로 일단 바뀌게 되면 이후부터는 MethodDesc의 8바이트 위치에 값을 써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etMethodReplacer.ReplaceMethod 메서드를 이용한다면 대상 메서드의 어셈블리가 로드되는 - 즉, 메서드들이 호출되지 않았을 - 초기 시점에 안전하게 치환 작업을 마무리해야만 합니다.




그나저나... 혹시 몇 번의 호출만에 call이 jmp로 바뀌게 되는 걸까요? 예전에 테스트했을 때는,

.NET Core 2.1 - Tiered Compilation 도입
; https://www.sysnet.pe.kr/2/0/11539

30번 정도였는데 이번에도 비슷할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드를 만들어 검증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ction action = TestMethod;

        IntPtr oldPtr = action.Method.MethodHandle.GetFunctionPointer();
        byte oldOPCode = Marshal.ReadByte(oldPtr); // call로 시작하므로 0xe8

        int count = 0;
        while (true)
        {
            TestMethod();
            count++;

            if (oldOPCode != Marshal.ReadByte(oldPtr)) // jmp는 0xe9
            {
                break;
            }
        }

        Console.WriteLine(count);
    }

    static void TestMethod()
    {
        Console.WriteLine("TEST");
    }
}

/* 출력 결과
TEST
TEST
2
*/

그렇습니다. 단 두 번째의 호출에서 call에서 jmp 문으로 바뀝니다. 그러니까, 마이크로소프트는 단 한 번만 호출되는 메서드의 수가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통계를 가지고 있는 듯하군요.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3/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59정성태10/5/201529267.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5864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2946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4704.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3482.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3246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22059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7541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6703.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6021.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60451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29153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847정성태9/8/201526819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46정성태9/8/201523200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10845정성태9/3/201524746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10844정성태9/2/201525343.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파일 다운로드1
10843정성태9/1/201525646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
10842정성태9/1/201523049.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
10841정성태8/31/201533084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
10839정성태8/22/201531911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5]
10838정성태8/22/201542385오류 유형: 304. Windows 10에서 VPN 연결이 실패한다면? [3]
10837정성태8/21/201520708오류 유형: 303. Your computer is low on memory. Save your files and close these programs...
10836정성태8/21/201523156오류 유형: 302. 설치 파일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오류가 뜬다면?
10835정성태8/21/201530765웹: 31. 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명령행에서 띄우는 방법 [1]
10834정성태8/19/201523894.NET Framework: 526. 닷넷 - 값 형식을 new 없이 생성하면 0으로 초기화되지 않는다?
10833정성태8/18/201528128.NET Framework: 525. C# - 닷넷에서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