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cker Desktop for Windows" - EXPOSE 포트가 LISTENING 되지 않는 문제

재미있는 현상이군요. ^^; "EXPOSE 80"을 포함한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가 분명히 32770으로 포트 매핑이 되어 있는데,

C:\temp>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f71a5003400e        webapplication1:dev   "tail -f /dev/null"   About a minute ago   Up 59 seconds       0.0.0.0:32770->80/tcp   WebApplication1_1

게다가 container 내부에서는 80 포트가 동작하고 있습니다.

c:\temp> docker exec f71a5003400e curl GET http://localhost:80
    ...[생략]...
</body>
</html>

그런데, 호스트 측에는 해당 포트가 열려 있지 않으니,

C:\temp> netstat -ano | findstr 32770

C:\temp>

당연히 웹 브라우저에서는 "http://localhost:32770"으로 접속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Hmmm… can't reach this page
localhost refused to connect.
Search Bing for localhost
ERR_CONNECTION_REFUSED

무슨 조화인지 모르겠군요. ^^; "Docker Desktop for Windows"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재시작해 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재부팅을 했더니 정상적으로 돌아왔습니다. ^^ (은근 불안정한 요소가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0/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07정성태1/2/202413347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11891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15262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14641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12884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13592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12828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13646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14460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13607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12095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12900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12671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13643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12667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11318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12803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13489정성태12/19/202312213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13488정성태12/18/202311527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3487정성태12/16/202313800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1]
13486정성태12/15/202311512개발 환경 구성: 695. Nuget config 파일에 값 설정/삭제 방법
13485정성태12/15/202311113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13484정성태12/14/202313123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13483정성태12/14/202312466닷넷: 2184.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2정성태12/13/202314649닷넷: 2183. C# - eFriend Expert OCX 예제를 .NET Core/5+ Console App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481정성태12/13/202313501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