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900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18

.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

.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

.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491

.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925

.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26

.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
; https://www.sysnet.pe.kr/2/0/11140

.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598

.NET Framework: 2093. C# - PKCS#8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45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39

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742

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
; https://www.sysnet.pe.kr/2/0/13747

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49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데브피아 질문이 있군요.

RSA 암호화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17&MAEULNO=8&no=142654&ref=142654&page=1

질문의 요지는, RSAParameters에서 공개키와 개인키를 구분해서 저장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선, RSA에서 암호화를 하기 위해서는 '공개키'를 사용한다는 것과 복호화를 하기 위해서는 '개인키'를 사용한다는 개념은 알고 계셔야 겠지요.

이를 바탕으로, 여러분이 RSA 암호화를 구현하고 싶다면 우선 (공개키를 포함한) 개인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RSAParameters privateKey = RSA.Create().ExportParameters(true);

만약, ExportParameters에 false를 주면 공개키만을 반환해 주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자, 그럼 이렇게 반환된 개인키로부터 공개키는 어떻게 가져올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 다음과 같이 개인키로부터 Modulus와 Exponent 값만 취해서 별도의 RSAParameters 타입으로 구성해 주면 됩니다.

RSAParameters publicKey = new RSAParameters();
publicKey.Modulus = privateKey.Modulus;
publicKey.Exponent = privateKey.Exponent;

공개키는 말 그대로 공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면 되는데 다음과 같이 XML 문자열로 변환해서 배포할 수 있습니다.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rsa.ImportParameters(publicKey);
string publicKeyText = rsa.ToXmlString(false);

publicKeyText 값:

<RSAKeyValue><Modulus>3GujGHHw7hecMfuyU9W1mkAA1FqOolhSaKl8jF4wuJW26rwr7P/QjljwD
+Tyav2DVDJ0tW93VgzZV3rjMq2FDpjyEUOOMfiGptSeYtQica+6rLb5g+n0ZYh8lI7VGwiy4/OTAHc/
OBBmb8VNvG6yKwxeRcX2v5mrkjHjQcXMoc8=</Modulus><Exponent>AQAB</Exponent></RSAKeyValue>

개인키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XML 문자열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rsa.ImportParameters(privateKey);
string privateKeyText = rsa.ToXmlString(true);

privateKeyText 값:

<RSAKeyValue><Modulus>3GujGHHw7hecMfuyU9W1mkAA1FqOolhSaKl8jF4wuJW26rwr7P/QjljwD
+Tyav2DVDJ0tW93VgzZV3rjMq2FDpjyEUOOMfiGptSeYtQica+6rLb5g+n0ZYh8lI7VGwiy4/OTAHc/
OBBmb8VNvG6yKwxeRcX2v5mrkjHjQcXMoc8=</Modulus><Exponent>AQAB</Exponent><P>+BTv/
DqzhEecQqJ7PT4bWQWDzCpr6/itZtyaN1cqi9V+c5wmDKc/szB2mGTVeUJ5NuPIixtwcL4yoeQr26aV1w==</
P><Q>43SuMl9XyVjXw/Vvvgq5s3LR0oVzQpw5YcaWHgHWCwIF6+kTdtwsgaL4e3QjCq9dxPPJm0DkwAIndRGwvS9kyQ==</
Q><DP>Jyy/PNhUMsZQIaGgzmn5TZR2XI4yXp/1WfHqFGUaXdyHzF/TDlp2z6gOgkAiCbT6iTVtHLJnjhYqzq/GUTg8Hw==</
DP><DQ>1bjxZYuI5TyBoTOhx6Q0UZV16qZSYyiAEouSyqdXBAjmn4DmNS009Kq5aOb7djLJnSKlMSiMyI49nRb+RwWdYQ==</
DQ><InverseQ>HIWjouZtBwUJqg6VCxrXQBvpd+3OdLqx8ScGR1tpGVxT9MijkVlmXbkEe7cYFZlw7iToEBfQrcmy6AWEpXl1NA==</
InverseQ><D>vAZxpSulK2Umj5i2oT8fYAqS6pKpM6GGAtP5c7/xbbQAyjJkghIidRs3BUf25v
+E5PD5j8AbG2Nwj2g7oQJWCe0UyX6pWsbUAaiv6dIop664q5UDVSulJXlAV3eV/vT6/ohMTFej7h1LQ/8crPd2wv8p+NYAIh+H719A/NqjOTE=</
D></RSAKeyValue>

물론, 개인키를 Import 한 다음에 ToXmlString에서 false 인자를 주면 공개키만 export 하게 됩니다.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rsa.ImportParameters(privateKey);
string publicKeyText = rsa.ToXmlString(false);

자... 이렇게 해서 공개키 문자열을 보관하고 있는 측에서는 XML 문자열로부터 공개키를 다시 Import 할 수 있고 암호화를 해주면 됩니다.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rsa.FromXmlString(publicKeyText);
rsa.Encrypt(...DataToEncrypt..., false);

개인키에 대한 XML을 보관하고 있는 측에서도 역시 개인키를 동일하게 Import하고 복호화 해 줄 수 있습니다.

RSACryptoServiceProvider rsa = new RSACryptoServiceProvider();
rsa.FromXmlString(privateKeyText);
rsa.Decrypt(...DataToDecrypt..., false);

설명이 끝난 것 같군요.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참고로, 이 내용은 모두 다음의 MSDN 문서에 있는 것입니다. ^^

RSACryptoServiceProvider 클래스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security.cryptography.rsacryptoserviceprovider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8-06 10시09분
Javascript와 .NET 간의 RSA 암호화 데이터 교환 방법을 구현한 코드 예제가 있군요. ^^

로그인 RSA 암호화 asp.net
; http://blog.naver.com/103hana/10166459171

저도 언제 한번 이와 관련해서 글을 쓰려고 했는데 ^^ 그럴 필요가 없어졌군요. 참고로, 위의 글에 나온 js 소스 코드는 다음의 경로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RSA and ECC in JavaScript
; http://www-cs-students.stanford.edu/~tjw/jsbn/

URL 경로로 판단해 보건데... 아무래도 오래 지속될 것 같진 않으므로 위의 페이지 자체를 mhtml로 변환해서 소스 코드와 함께 이 글에 첨부해 두었으니 참고하세요. ^^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96정성태11/2/200928308오류 유형: 89. Windows 7 백업 오류 - 0x80070057
795정성태11/2/200925665오류 유형: 88. TFS 2010 (beat2) 설치 오류 -TF255272
793정성태10/19/200927645.NET Framework: 166. WPF - XAML 요소의 네임스페이스와 CLR 타입 매핑
792정성태10/17/200927882웹: 13. IIS 7.5 에서 SQL Express 연결 시 오류
791정성태10/17/200931677웹: 12. 요청 페이지에 대해 빈 화면만 보이는 경우 [1]
789정성태10/13/200927384COM 개체 관련: 22. BB FlashBack SDK와 ActiveX 버전 관리 [7]
786정성태10/9/200923624개발 환경 구성: 52. 테스트를 위한 평가판 운영체제 구하기
785정성태10/8/200930237.NET Framework: 165.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2)파일 다운로드1
783정성태10/7/200928003.NET Framework: 164. WPF -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82정성태10/6/200929866개발 환경 구성: 51. Windows 7 - 다중 원격 접속(Remote Desktop) 허용
781정성태9/30/200926882.NET Framework: 163.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2]파일 다운로드1
780정성태9/28/200930979Windows: 48. Windows 7/2008에서 ping을 위한 echo 요청 열기 [2]
779정성태9/24/200922317.NET Framework: 162.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778정성태9/23/200923765오류 유형: 87. 시스템 시간 변경 후 Session이 맺어진 WCF 클라이언트의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76정성태9/17/200923002개발 환경 구성: 50. Reference assembly
775정성태9/13/200939717VC++: 37. XmlCodeGenerator를 C/C++ 코드 생성에 적용 [2]파일 다운로드1
773정성태9/5/200930234오류 유형 : 85. DEP 비호환 ActiveX 오류
772정성태9/2/200926816.NET Framework: 161.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771정성태8/28/200920853.NET Framework: 160. WPF - 입력 포커스 외곽선 없애는 방법
770정성태8/26/200923155.NET Framework: 159. WCF - 같은 컴퓨터에서만 WCF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설정
769정성태8/25/200926198개발 환경 구성: 49. GAC와 같은 Namespace Extension에 의해서 보여지는 폴더의 원본 확인 방법
768정성태8/24/200925657오류 유형: 85. WCF 연결 오류: MessageSecurityException
767정성태8/23/200933908.NET Framework: 158. 닷넷 프로파일러 - IL 코드 재작성 [14]
766정성태8/23/200934788.NET Framework: 157. C# 4.0 - dynamic 키워드 [4]파일 다운로드1
765정성태8/22/200928557.NET Framework: 156. XamDataGrid의 UnboundField 사용파일 다운로드1
764정성태8/21/200922880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3]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