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23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회사 동료의 컴퓨터가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Inaccessible Boot Device" 오류 메시지와 함께 블루 스크린(BSOD)이 뜨고 시스템 진단 화면으로 재부팅되어 넘어갑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시스템 초기화로 "Keep personal files and apps" 옵션을 선택해 복원하는 것으로 마무리했습니다.

Windows 10 tip: Repair your Windows 10 installation
; https://www.zdnet.com/article/windows-10-tip-repair-your-windows-10-installation/

Reinstall Windows 10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windows/reinstall-windows-10-d8369486-3e33-7d9c-dccc-859e2b022fc7




그 외에 만약 운이 좋다면 문제가 되었던 윈도우 업데이트를 제거하는 것으로 복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How to fix the Inaccessible Boot Device Error in Windows 10?
; https://www.auslogics.com/en/articles/fix-inaccessible-boot-device-error-win10/

복구 모드에서 명령행 화면으로 진입해 다음과 같이 dism 명령을 내리면,

Dism /image:D:\ /Get-Packages

업데이트 목록이 뜨는데 출력 결과가 그다지 직관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대체로 날짜 순으로 정렬되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스크롤을 이용해 지나간 출력 결과를 확인해 보면 중간에 마지막 업데이트가 Pending으로 표시된 것들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런 것들을 직접 골라내 "dism.exe /image:D:\ /remove-package ..." 명령어로 지우는 것은 꽤나 귀찮은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복구 모드의 메뉴를 보면 "고급 옵션" / "업데이트 제거"를 통해 "Windows에서 최근에 설치한 품질 또는 기능 업데이트 제거"를 제공하므로 위와 같이 명령행으로 하지 않아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애석하게도 동료의 PC에서는 업데이트 제거 선택 시 실패했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참고로, dism에서 revertpendingactions 옵션도 제공합니다.

Windows Update loop: Fix for Windows Vista, 7, 8
; https://neosmart.net/wiki/windows-update-loop/

dism /image:C:\ /cleanup-image /revertpendingactions




"Inaccessible Boot Device"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미있는 점이 있다면 실제로 해당 파티션의 부트 정보가 없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diskpart를 이용해 볼륨을 출력해 보면 정상적인 경우 다음과 같이 "Boot"라는 항목이 있기 마련인데,

C:\Windows\System32> 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10.0.18362.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HEMYTH9

DISKPART> list vol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Volume 0         System Rese  NTFS   Partition    500 MB  Healthy    System
  Volume 1     C                NTFS   Partition    600 GB  Healthy    Boot

문제가 발생한 PC는 저 "Info" 칼럼의 값이 모두 비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어떤 글에 보면 "bootsect /nt60 SYS" 명령어로 시스템 부트 영역을 직접 만들라고도 하지만 아쉽게도 이것 역시 복원이 안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96정성태3/18/201523268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7024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3976.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5592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30734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6591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7813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9590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7504.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4991.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6807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7411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31496.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8129.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6963.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7691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5679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30926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31791.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4899.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7552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7350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23200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41491.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5369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8889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