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21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회사 동료의 컴퓨터가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Inaccessible Boot Device" 오류 메시지와 함께 블루 스크린(BSOD)이 뜨고 시스템 진단 화면으로 재부팅되어 넘어갑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시스템 초기화로 "Keep personal files and apps" 옵션을 선택해 복원하는 것으로 마무리했습니다.

Windows 10 tip: Repair your Windows 10 installation
; https://www.zdnet.com/article/windows-10-tip-repair-your-windows-10-installation/

Reinstall Windows 10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windows/reinstall-windows-10-d8369486-3e33-7d9c-dccc-859e2b022fc7




그 외에 만약 운이 좋다면 문제가 되었던 윈도우 업데이트를 제거하는 것으로 복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How to fix the Inaccessible Boot Device Error in Windows 10?
; https://www.auslogics.com/en/articles/fix-inaccessible-boot-device-error-win10/

복구 모드에서 명령행 화면으로 진입해 다음과 같이 dism 명령을 내리면,

Dism /image:D:\ /Get-Packages

업데이트 목록이 뜨는데 출력 결과가 그다지 직관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대체로 날짜 순으로 정렬되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스크롤을 이용해 지나간 출력 결과를 확인해 보면 중간에 마지막 업데이트가 Pending으로 표시된 것들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런 것들을 직접 골라내 "dism.exe /image:D:\ /remove-package ..." 명령어로 지우는 것은 꽤나 귀찮은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복구 모드의 메뉴를 보면 "고급 옵션" / "업데이트 제거"를 통해 "Windows에서 최근에 설치한 품질 또는 기능 업데이트 제거"를 제공하므로 위와 같이 명령행으로 하지 않아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애석하게도 동료의 PC에서는 업데이트 제거 선택 시 실패했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참고로, dism에서 revertpendingactions 옵션도 제공합니다.

Windows Update loop: Fix for Windows Vista, 7, 8
; https://neosmart.net/wiki/windows-update-loop/

dism /image:C:\ /cleanup-image /revertpendingactions




"Inaccessible Boot Device"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미있는 점이 있다면 실제로 해당 파티션의 부트 정보가 없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diskpart를 이용해 볼륨을 출력해 보면 정상적인 경우 다음과 같이 "Boot"라는 항목이 있기 마련인데,

C:\Windows\System32> 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10.0.18362.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HEMYTH9

DISKPART> list vol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Volume 0         System Rese  NTFS   Partition    500 MB  Healthy    System
  Volume 1     C                NTFS   Partition    600 GB  Healthy    Boot

문제가 발생한 PC는 저 "Info" 칼럼의 값이 모두 비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어떤 글에 보면 "bootsect /nt60 SYS" 명령어로 시스템 부트 영역을 직접 만들라고도 하지만 아쉽게도 이것 역시 복원이 안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47정성태2/3/201526454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5568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7264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4281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5606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9424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22970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31240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3660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4421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30497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30431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31292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5821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32220.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3762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32574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31943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1829정성태12/16/201435545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2]파일 다운로드1
1828정성태12/15/201432187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4]파일 다운로드1
1827정성태12/12/201428410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1826정성태12/11/201432750.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80605.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29712.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6938.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2정성태12/3/201428236개발 환경 구성: 252. Xamarin 라이선스 관리 [8]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