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을 제거하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Warning 26003.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Support Files cannot be uninstalled because the following products are installed:
SQL Server 2019 RC1 XEvent
SQL Server 2019 RC1 Common Files
SQL Server 2019 RC1 Database Engine Shared


검색해 보니 ^^ 해답이 나오는군요.

Can't uninstall Microsoft SQL Server 2016 RC3
; https://dba.stackexchange.com/questions/137709/cant-uninstall-microsoft-sql-server-2016-rc3

방법은 간단합니다. 오류 메시지에 나온 3가지 제품에 대해 다음의 레지스트리 키 하위에서 검색해 보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GUID 값을 부모 키로 각각의 제품이 위치하므로 다음과 같이 msiexec를 개별 실행해,

msiexec /x "{guid}"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가 제거해야 할 제품들은 이렇고,

SQL Server 2019 RC1 XEvent == {458327F9-433A-4C63-92E1-F8BF2075CA4C}
SQL Server 2019 RC1 Common Files == {CBFC0492-9C0D-4CEE-BBCA-0FF382C655B8}
SQL Server 2019 RC1 Database Engine Shared == {E5C9C25B-4C87-4147-94EC-74B4CB326CF6}

명령행에서 이렇게 실행해 주면 됩니다.

msiexec /x "{458327F9-433A-4C63-92E1-F8BF2075CA4C}"
msiexec /x "{CBFC0492-9C0D-4CEE-BBCA-0FF382C655B8}"
msiexec /x "{E5C9C25B-4C87-4147-94EC-74B4CB326CF6}"




그런데, 마지막 제품 하나가 에러 코드도 없는 메시지와 함께 제거가 안되는군요. ^^;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Windows Installer package. A program run as part of the setup did not finish as expected. Contact your support personnel or package vendor.

다행히 이벤트 로그를 보면 좀 더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siInstaller
Date: 2020-06-29 오후 9:11:35
Event ID: 11722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TESTPC\testusr
Computer: TESTPC
Description:
Product: SQL Server 2019 RC1 Database Engine Shared -- Error 1722.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Windows Installer package. A program run as part of the setup did not finish as expected. Contact your support personnel or package vendor. Action UninstallService.754C9258_CE8E_4420_9B81_7AD051B1479F, location: C:\Program Files\Microsoft\AzureAttestService\AzureAttestServiceInstaller.exe, command: -Uninstall


실제로, 오류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을 직접 실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AzureAttestService> AzureAttestServiceInstaller.exe -Uninstall
Program failed:
        Error message : fail to open service handle
        HResult : -2147023836

Program failed:
        Error message : onecore\windows\attest\attestservice\installer\attestserviceinstaller.cpp(39)\AzureAttestServiceInstaller.exe!00007FF6DC054488: (caller: 00007FF6DC0546DD) Exception(1) tid(1e98) 80070424 The specified service does not exist as an installed service.
    Msg:[fail to open service handle]

        HResult : -2147023836

그렇다면 ^^ 그냥 일부러 설치를 해주면 될 일입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AzureAttestService> AzureAttestServiceInstaller.exe -Install "C:\Program Files\Microsoft\AzureAttestService\AzureAttestService.dll"

이후, 다시 msiexec /x "{E5C9C25B-4C87-4147-94EC-74B4CB326CF6}" 제거를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완료가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9/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02정성태9/26/201820199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6061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6068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24030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4972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21726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4568.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30491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24080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5861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6816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22989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6387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5376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20072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24134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22945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11685정성태9/6/201822770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84정성태9/6/201825498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1683정성태9/5/201823563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11682정성태9/5/201822524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5016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6936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5195.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23514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20830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