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08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51.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72

.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
; https://www.sysnet.pe.kr/2/0/12260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

ETW를 이용해 ThreadPool을 감시하는 것은 1) Worker 스레드를 위한 ThreadPoolWorkerThreadStart, ThreadPoolWorkerThreadStop 이벤트와 2) I/O 스레드를 위한 IOThreadCreationStart, IOThreadCreationStop 이벤트를 구독하면 됩니다.

using (var session = new TraceEventSession(sessionName, null))
{
    var restarted = session.EnableProvider(
        ClrTraceEventParser.ProviderGuid, TraceEventLevel.Verbose,
        (ulong)(ClrTraceEventParser.Keywords.Threading));

    Console.CancelKeyPress += delegate (object sender, ConsoleCancelEventArgs e) { session.Dispose(); };

    using (TraceLogEventSource traceLogSource = TraceLog.CreateFromTraceEventSession(session))
    {
        traceLogSource.Clr.ThreadPoolWorkerThreadStart += delegate (ThreadPoolWorkerThreadTraceData data)
        {
            if (data.ProcessID != _processId)
            {
                return;
            }

            Console.WriteLine($"[{data.TimeStamp}] {data.ThreadID} Worker Start");
        };

        traceLogSource.Clr.ThreadPoolWorkerThreadStop += delegate (ThreadPoolWorkerThreadTraceData data)
        {
            if (data.ProcessID != _processId)
            {
                return;
            }

            Console.WriteLine($"[{data.TimeStamp}] {data.ThreadID} Worker Stop");
        };

        traceLogSource.Clr.IOThreadCreationStart += delegate (IOThreadTraceData data)
        {
            if (data.ProcessID != _processId)
            {
                return;
            }

            Console.WriteLine($"[{data.TimeStamp}] {data.ThreadID} IO Start");
        };

        traceLogSource.Clr.IOThreadCreationStop += delegate (IOThreadTraceData data)
        {
            if (data.ProcessID != _processId)
            {
                return;
            }

            Console.WriteLine($"[{data.TimeStamp}] {data.ThreadID} IO Stop");
        };

        traceLogSource.Process();
    }

    // ...[생략]...}
}

테스트할 수 있는 예제로 다음과 같이 Worker 스레드와 I/O 스레드를 사용하는 코드를 넣고,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TestApp
{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ebug.Assert(ThreadPool.SetMinThreads(2, 1));
            Debug.Assert(ThreadPool.SetMaxThreads(4, 4)); // 4개로 제한

            Thread.Sleep(5000);
            Console.WriteLine(Process.GetCurrentProcess().Id);

            for (int i = 0; i < 4; i++) 
            {
                ThreadPool.QueueUserWorkItem(async (arg) =>
                {
                    // 이 코드는 닷넷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테스트한 것입니다. (참고: 닷넷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AppDomain.GetCurrentThreadId의 반환값)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WorkerThread: " + arg);
                    await ReadFileAsync();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WorkerThread: " + arg + ": End");
                }, i);
            }

            Console.ReadLine();
        }

        static async Task ReadFileAsync()
        {
            string filePath = 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filePath, FileMode.Open, FileAccess.Read, FileShare.ReadWrite, 4096, true);
            byte[] buf = new byte[1024];
            await fs.ReadAsync(buf, 0, buf.Length);

            fs.Dispos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Done");
        }
    }
}

실행해 보면,

[2020-07-08 오전 9:04:02] 44576 3 WorkerThread: 0
[2020-07-08 오전 9:04:02] 27876 6 WorkerThread: 3
[2020-07-08 오전 9:04:02] 24556 5 WorkerThread: 2
[2020-07-08 오전 9:04:02] 11376 4 WorkerThread: 1
[2020-07-08 오전 9:04:02] 24556 5 Done
[2020-07-08 오전 9:04:02] 11376 4 Done
[2020-07-08 오전 9:04:02] 11376 4 WorkerThread: 0: End
[2020-07-08 오전 9:04:02] 11376 4 Done
[2020-07-08 오전 9:04:02] 11376 4 WorkerThread: 2: End
[2020-07-08 오전 9:04:02] 27876 6 Done
[2020-07-08 오전 9:04:02] 27876 6 WorkerThread: 3: End
[2020-07-08 오전 9:04:02] 24556 5 WorkerThread: 1: End

위의 상황에 대한 ETW 모니터링 결과가 다소 실망스럽습니다.

[2020-07-08 오전 9:04:02] 44576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04:02] 11376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04:02] 24556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04:02] 27876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04:02] 11376 IO Start
[2020-07-08 오전 9:04:02] 24556 IO Start
[2020-07-08 오전 9:04:02] 44576 IO Start
[2020-07-08 오전 9:04:17] 55484 IO Stop
[2020-07-08 오전 9:04:17] 53212 IO Stop
[2020-07-08 오전 9:04:22] 44576 Worker Stop
[2020-07-08 오전 9:04:22] 24556 Worker Stop
[2020-07-08 오전 9:04:22] 27876 Worker Stop
[2020-07-08 오전 9:04:22] 11376 Worker Stop

보는 바와 같이 IO Start/Stop의 짝이 안 맞을뿐더러, 테스트 코드를 약간 바꿔서,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Debug.Assert(ThreadPool.SetMinThreads(2, 1));
    Debug.Assert(ThreadPool.SetMaxThreads(4, 4)); // 4개로 제한

    Thread.Sleep(5000);
    Console.WriteLine(Process.GetCurrentProcess().Id);

    for (int i = 0; i < 4; i++) 
    {
        ThreadPool.QueueUserWorkItem(async (arg) =>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WorkerThread: " + arg);
            ReadFil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WorkerThread: " + arg + ": End");
        }, i);
    }

    Console.ReadLine();
}

static void ReadFile()
{
    string filePath = 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filePath, FileMode.Open, FileAccess.Read, FileShare.ReadWrite, 4096, true);
    byte[] buf = new byte[1024];

    fs.BeginRead(buf, 0, buf.Length, (obj) =>
    {
        IAsyncResult result = obj as IAsyncResult;
        fs.EndRead(result);

        fs.Dispos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Done");
    }, fs);
}

실행해 보면, BeginRead의 콜백 메서드가 출력한 I/O 스레드의 thread id가,

[2020-07-08 오전 9:18:13] 9180 5 WorkerThread: 1
[2020-07-08 오전 9:18:13] 38904 6 WorkerThread: 2
[2020-07-08 오전 9:18:13] 20752 4 WorkerThread: 3
[2020-07-08 오전 9:18:13] 53232 3 WorkerThread: 0
[2020-07-08 오전 9:18:13] 38904 6 WorkerThread: 2: End
[2020-07-08 오전 9:18:13] 20752 4 WorkerThread: 3: End
[2020-07-08 오전 9:18:13] 9180 5 WorkerThread: 1: End
[2020-07-08 오전 9:18:13] 53232 3 WorkerThread: 0: End
[2020-07-08 오전 9:18:13] 20752 4 Done
[2020-07-08 오전 9:18:13] 20752 4 Done
[2020-07-08 오전 9:18:13] 53232 3 Done
[2020-07-08 오전 9:18:13] 9180 5 Done

ETW 모니터링의 IO Stop 이벤트에서는 연결이 안 됩니다.

[2020-07-08 오전 9:18:13] 53232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18:13] 9180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18:13] 38904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18:13] 20752 Worker Start
[2020-07-08 오전 9:18:13] 9180 IO Start
[2020-07-08 오전 9:18:13] 20752 IO Start
[2020-07-08 오전 9:18:13] 38904 IO Start
[2020-07-08 오전 9:18:13] 53232 IO Start
[2020-07-08 오전 9:18:28] 3664 IO Stop
[2020-07-08 오전 9:18:28] 13716 IO Stop
[2020-07-08 오전 9:18:28] 3980 IO Stop
[2020-07-08 오전 9:18:33] 38904 Worker Stop
[2020-07-08 오전 9:18:33] 9180 Worker Stop
[2020-07-08 오전 9:18:33] 53232 Worker Stop
[2020-07-08 오전 9:18:33] 20752 Worker Stop

위의 결과만으로는, IO Start와 IO Stop의 정보를 연결할 단서가 없어 모니터링으로써의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도 일단 이번에는 여기까지라도 알아두고.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7/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65정성태5/1/201427597.NET Framework: 433. C# - 간단한 HyperLogLog 자료 구조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664정성태4/28/201425141오류 유형: 227. Process Explorer의 프로세스 뷰가 트리 형식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
1663정성태4/28/201421436오류 유형: 226. Visual Studio - We were unable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cause it is configured for user
1662정성태4/28/201426164개발 환경 구성: 220. supportedRuntime 설정을 위한 app.config Transformation [1]
1661정성태4/26/201422291.NET Framework: 432. WPF - System.Windows.Data Error: 47 : XmlDataProvider has inline XML that does not explicitly set its XmlNamespace (xmlns="").
1660정성태4/25/201430378VC++: 77. C++ 숫자형 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출력 사례 모음
1659정성태4/17/201430671.NET Framework: 43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5]
1658정성태4/17/201422011.NET Framework: 430. C#에서 사용자 정의 예약어가 가능할까요? [1]
1657정성태4/10/201442750.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656정성태3/19/201425755오류 유형: 225. regsvcs 등록 시 0x80040153 오류
1655정성태3/19/201426167Windows: 92. Thumbs.db 파일이 삭제 안 되는 문제
1654정성태3/19/201428167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4]
1653정성태3/13/201422796.NET Framework: 428. .NET Reflection으로 다차원/Jagged 배열을 구분하는 방법
1652정성태3/12/201423410VC++: 76. Direct Show를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의 필터 그래프를 graphedt.exe에서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651정성태3/11/201427758.NET Framework: 427. C# 컴파일러는 변수를 초기화시키지 않을까요?
1650정성태3/6/201428610VC++: 75. Visual C++ 컴파일 오류 - Cannot use __try in functions that require object unwinding [1]파일 다운로드1
1649정성태3/5/201422827기타: 44. BTN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648정성태3/5/201423289개발 환경 구성: 218. 스토어 앱 인증 실패 - no privacy statement
1647정성태3/3/201424734오류 유형: 224. 스카이드라이브 비정상 종료 - Error 0x80040A41: No error description available
1646정성태3/3/201434091오류 유형: 223. Microsoft-Windows-DistributedCOM 10016 이벤트 로그 에러 [1]
1645정성태3/1/201423655기타: 43. 마이크로소프트 MVP들이 모여 전국 세미나를 엽니다.
1644정성태2/26/201430862.NET Framework: 426. m3u8 스트리밍 파일을 윈도우 8.1 Store App에서 재생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643정성태2/25/201426482오류 유형: 222. 윈도우 8 Store App - APPX1204 SignTool Error: An unexpected internal error has occurred [1]
1642정성태2/25/201431554Windows: 91. 한글이 포함된 사용자 프로파일 경로 변경 [2]
1641정성태2/24/201427863기타: 42. 클래스 설명 [5]
1640정성태2/24/201448932.NET Framework: 425. C# - VLC(ActiveX) 컨트롤을 레지스트리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