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 https://www.sysnet.pe.kr/2/0/12210

.NET Framework: 928.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2) - 런타임에 바인딩 리디렉션
; https://www.sysnet.pe.kr/2/0/12271

.NET Framework: 929. (StrongName의 버전 구분이 필요 없는) .NET Core 어셈블리 바인딩 규칙
; https://www.sysnet.pe.kr/2/0/12272

.NET Framework: 930. 개발자를 위한 닷넷 어셈블리 바인딩 - DEVPATH 환경 변수
; https://www.sysnet.pe.kr/2/0/12276

개발 환경 구성: 498. DEVPATH 환경 변수의 사용 예 - .NET Reflector의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277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2) - 런타임에 바인딩 리디렉션

지난 글에서,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 https://www.sysnet.pe.kr/2/0/12210

어셈블리의 버전 불일치에 대한 해결책을 app.config을 이용해 우회했는데요. 이것을 런타임에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이벤트를 이용해 개발자가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

private static Assembly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AssemblyName asmName = new AssemblyName(args.Name);

    string path = Path.GetDirectoryName(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string dllPath = Path.Combine(path, $"{asmName.Name}.dll");

    Console.WriteLine("Resolving path: " + dllPath);
    return Assembly.LoadFile(dllPath);
}

AssemblyResolve 이벤트는 대개 특정 어셈블리를 로딩하지 못했을 때 개발자가 직접 로드하는 식으로 구현하는데요, 그 구현의 특성상 버전을 무시한 로딩을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코드는 "Version=1.0.0.0", "Version=1.5.0.0"의 ClassLibrary1.dll 요청에 대해 동일하게 2.0.0.0 파일로 처리를 합니다.

// ClassLibrary1, Version=2.0.0.0
using System;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static int Version = 5;

        public void Test()
        {
            Console.WriteLine(ClassLibrary1.Class1.Version ++);
        }
    }
}

// ConsoleApp1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Reflection;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Domain.CurrentDomain.AssemblyResolve +=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

            // new ClassLibrary1.Class1().Test();
            LoadAtRuntime("Version=1.0.0.0");
            LoadAtRuntime("Version=1.5.0.0");
        }

        private static Assembly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AssemblyName asmName = new AssemblyName(args.Name);

            string path = Path.GetDirectoryName(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string dllPath = Path.Combine(path, $"{asmName.Name}.dll");

            Console.WriteLine("Resolving path: " + dllPath);
            return Assembly.LoadFile(dllPath);
        }

        private static void LoadAtRuntime(string versionText)
        {
            string clName = $"ClassLibrary1, {versionText},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0086c02b325d69fe";
            Assembly asm = Assembly.Load(clName);
            Console.WriteLine(asm.FullName);

            object objInstance = Activator.CreateInstance(asm.GetType("ClassLibrary1.Class1"));
            dynamic clInst = objInstance;
            clInst.Test();
        }
    }
}

실행해 보면, 동일한 DLL로 처리되었기 때문에 ClassLibrary1의 static 변수의 값이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solving path: C:\temp\ConsoleApp1\bin\Debug\ClassLibrary1.dll
ClassLibrary1,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0086c02b325d69fe
5
Resolving path: C:\temp\ConsoleApp1\bin\Debug\ClassLibrary1.dll
ClassLibrary1,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0086c02b325d69fe
6




유의할 점이 있다면, Assembly 정보를 byte []로 로드해 반환하는 경우,

private static Assembly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AssemblyName asmName = new AssemblyName(args.Name);

    string path = Path.GetDirectoryName(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string dllPath = Path.Combine(path, $"{asmName.Name}.dll");

    Console.WriteLine("Resolving path: " + dllPath);

    byte[] buf = File.ReadAllBytes(dllPath);
    return Assembly.Load(buf);
}

이를 구분할 수 있는 파일 Identity가 없는 Assembly이기 때문에 매번 반환하는 Assembly를 다르게 취급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위와 같이 File.ReadAllBytes + Assembly.Load로 처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Version"의 값이 개별적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esolving path: C:\temp\ConsoleApp1\bin\Debug\ClassLibrary1.dll
ClassLibrary1,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0086c02b325d69fe
5
Resolving path: C:\temp\ConsoleApp1\bin\Debug\ClassLibrary1.dll
ClassLibrary1,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0086c02b325d69fe
5

따라서, byte[]로 다뤄야 하는 어셈블리가 있다면 AssemblyLoad 이벤트에서는 기존에 로드된 어셈블리를 찾아보는 작업을 추가해야 합니다.

private static Assembly CurrentDomain_AssemblyResolve(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AssemblyName asmName = new AssemblyName(args.Name);

    Assembly everLoaded = EverLoaded(asmName);
    if (everLoaded != null)
    {
        return everLoaded;
    }

    string path = Path.GetDirectoryName(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string dllPath = Path.Combine(path, $"{asmName.Name}.dll");

    Console.WriteLine("Resolving path: " + dllPath);

    byte[] buf = File.ReadAllBytes(dllPath);
    return Assembly.Load(buf);
}

static Assembly EverLoaded(AssemblyName asmName)
{
    foreach (Assembly asm in AppDomain.CurrentDomain.GetAssemblies())
    {
        AssemblyName targetName = asm.GetName();
        if (targetName.Name == asmName.Name &&
            targetName.GetPublicKeyToken().SequenceEqual(asmName.GetPublicKeyToken()) == true)
        {
            return asm;
        }
    }

    return null;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외에도 다음의 글을 보면,

How the Runtime Locates Assembli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deployment/how-the-runtime-locates-assemblies

바인딩에 관한 여러 가지 방법이 나옵니다. 그중에서 게시자 정책 파일(Publisher Policy File)의 경우,

How the Runtime Locates Assemblies - Publisher Policy Fi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deployment/how-the-runtime-locates-assemblies#publisher-policy-file

Introduction to Publisher Policy File
; https://www.c-sharpcorner.com/UploadFile/satisharveti/introduction-to-publisher-policy-file/

해당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측에서 바인딩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측에서 바인딩을 변경하는 전용 어셈블리를 함께 배포하는 식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app.config에서 했던 것처럼 바인딩을 우회하는 config 파일을 만든 후,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runtime>
        <assemblyBinding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dependentAssembly>
                <assemblyIdentity name="ClassLibrary1" publicKeyToken="0086c02b325d69fe" culture="neutral" />
                <bindingRedirect oldVersion="0.0.0.0-2.0.0.0" newVersion="2.0.0.0" />
            </dependentAssembly>
    </runtime>
</configuration>

al.exe를 이용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config의 내용을 담은 DLL로 변환합니다.

Al.exe /link:ClassLibrary1.dll.config /out:policy.1.0.ClassLibrary1.dll /keyfile:..\..\my.key /v:1.0.0.0

이 과정에서 특이하게 어셈블리 서명에 사용된 키 파일을 사용하는데, 따라서 원 저작자를 제외하고는 게시자 정책 파일을 만들 수 없다는 차별점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특정 어셈블리를 개발한 측에서 그것의 업데이트를 배포할 때 기존 프로그램들이 새롭게 업데이트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도록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927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249.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89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89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584.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697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992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531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347.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84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415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966.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528.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874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915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619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539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332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86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200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675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505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577.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7073.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663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908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