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7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04

.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 https://www.sysnet.pe.kr/2/0/1815

.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 https://www.sysnet.pe.kr/2/0/12244

.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
; https://www.sysnet.pe.kr/2/0/12255

.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
; https://www.sysnet.pe.kr/2/0/12292

.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
; https://www.sysnet.pe.kr/2/0/12296

.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299

.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
; https://www.sysnet.pe.kr/2/0/12300

.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
; https://www.sysnet.pe.kr/2/0/12302

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303

.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 https://www.sysnet.pe.kr/2/0/1247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

지난 글에 이어,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
; https://www.sysnet.pe.kr/2/0/12292

이번에는 ETW Consumer를 Win32 API를 이용해 작성해 보겠습니다.




우선 세션을 먼저 생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StartTrace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ring sessionName = NativeMethods.KERNEL_LOGGER_NAME; // KERNEL_LOGGER_NAME == "NT Kernel Logger"

EventTraceProperties prop = new EventTraceProperties(true, sessionName, NativeMethods.SystemTraceControlGuid); // SystemTraceControlGuid == 9e814aad-3204-11d2-9a82-006008a86939

result = NativeMethods.StartTrace(out sessionHandle, sessionName, ref prop);

위의 코드는 (xperf -providers 출력 결과의) ETW Provider 중 "Windows Kernel Trace" (9e814aad-3204-11d2-9a82-006008a86939)를 사용하는 코드로 예를 든 것입니다. 주의할 것은, SystemTraceControlGuid의 경우 반드시 세션 이름을 "NT Kernel Logger"로 해야 한다는 건데, 이런 사실은 다음의 글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THE WORST API EVER MADE
; https://caseymuratori.com/blog_0025

Configuring and Starting the NT Kernel Logger Sess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etw/configuring-and-starting-the-nt-kernel-logger-session

(제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저 개인적으로도 ETW 관련 API의 이름이나 사용법이 체계적이지 않음을 100% 공감합니다. ^^;)

저렇게 세션을 생성했으면, (이전에 StartTrace라는 이름의 API를 호출했음에도) "Trace"를 "시작"하기 위해 OpenTrace API를 호출해야 합니다.

EventTraceLogfile logFile = new EventTraceLogfile();
logFile.LoggerName = sessionName;
logFile.EventRecordCallback = EventRecordCallback;

logFile.ProcessTraceMode = NativeMethods.PROCESS_TRACE_MODE_EVENT_RECORD | NativeMethods.PROCESS_TRACE_MODE_REAL_TIME
    | NativeMethods.PROCESS_TRACE_MODE_RAW_TIMESTAMP;
traceHandle = NativeMethods.OpenTrace(ref logFile);

static private void EventRecordCallback([In] ref EventRecord eventRecord)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 + eventRecord.EventHeader.ProcessId);
}

위의 코드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시 콜백을 실행하라고 등록하는데 원한다면 파일로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등록했다고 해서 trace로 인한 콜백이 호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콜백이 호출되려면 이후 ProcessTrace API를 호출해야 하는데, 이 함수는 호출 스레드를 블록시키기 때문에 보통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해 호출하는 식으로 구현합니다.

new Thread((ThreadStart)(
() =>
{
    ProcessTrace(traceHandle);
})).Start();

Console.WriteLine("Press ENTER key to exit...");
Console.ReadLine();

public static int ProcessTrace(ulong traceHandle)
{
    ulong[] handles = { traceHandle };
    int result = NativeMethods.ProcessTrace(handles, (uint)handles.Length, IntPtr.Zero, IntPtr.Zero);
    return result;
}

마지막으로, ProcessTrace의 blocking 상태를 해제하려면 CloseTrace를 호출하고,

NativeMethods.CloseTrace(traceHandle);

세션까지 완전히 종료하려면 ControlTrace 호출로 마무리를 합니다.

// https://www.sysnet.pe.kr/2/0/12292#control_trace
EtwInterop.CloseActiveSession(sessionName);




"Windows Kernel Trace"의 경우, 기본적인 사용법은 위와 같은 순서로 구현할 수 있지만 한 가지 설명해야 할 것이 더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EVENT_TRACE_PROPERTIES 구조체 문서를 확인해야 하는데,

EVENT_TRACE_PROPERTIES struc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evntrace/ns-evntrace-event_trace_properties

위의 글에 보면, "system logger" 유형인 경우 "EnableFlags"에 설정할 수 있는 값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 Enable flags for Kernel Events
//
#define EVENT_TRACE_FLAG_PROCESS            0x00000001  // process start & end
#define EVENT_TRACE_FLAG_THREAD             0x00000002  // thread start & end
#define EVENT_TRACE_FLAG_IMAGE_LOAD         0x00000004  // image load

#define EVENT_TRACE_FLAG_DISK_IO            0x00000100  // physical disk IO
#define EVENT_TRACE_FLAG_DISK_FILE_IO       0x00000200  // requires disk IO

#define EVENT_TRACE_FLAG_MEMORY_PAGE_FAULTS 0x00001000  // all page faults
#define EVENT_TRACE_FLAG_MEMORY_HARD_FAULTS 0x00002000  // hard faults only

#define EVENT_TRACE_FLAG_NETWORK_TCPIP      0x00010000  // tcpip send & receive

#define EVENT_TRACE_FLAG_REGISTRY           0x00020000  // registry calls
#define EVENT_TRACE_FLAG_DBGPRINT           0x00040000  // DbgPrint(ex) Calls

//
// Enable flags for Kernel Events on Vista and above
//
#define EVENT_TRACE_FLAG_PROCESS_COUNTERS   0x00000008  // process perf counters
#define EVENT_TRACE_FLAG_CSWITCH            0x00000010  // context switches
#define EVENT_TRACE_FLAG_DPC                0x00000020  // deferred procedure calls
#define EVENT_TRACE_FLAG_INTERRUPT          0x00000040  // interrupts
#define EVENT_TRACE_FLAG_SYSTEMCALL         0x00000080  // system calls

#define EVENT_TRACE_FLAG_DISK_IO_INIT       0x00000400  // physical disk IO initiation
#define EVENT_TRACE_FLAG_ALPC               0x00100000  // ALPC traces
#define EVENT_TRACE_FLAG_SPLIT_IO           0x00200000  // split io traces (VolumeManager)

#define EVENT_TRACE_FLAG_DRIVER             0x00800000  // driver delays
#define EVENT_TRACE_FLAG_PROFILE            0x01000000  // sample based profiling
#define EVENT_TRACE_FLAG_FILE_IO            0x02000000  // file IO
#define EVENT_TRACE_FLAG_FILE_IO_INIT       0x04000000  // file IO initiation

//
// Enable flags for Kernel Events on Win7 and above
//
#define EVENT_TRACE_FLAG_DISPATCHER         0x00000800  // scheduler (ReadyThread)
#define EVENT_TRACE_FLAG_VIRTUAL_ALLOC      0x00004000  // VM operations

//
// Enable flags for Kernel Events on Win8 and above
//
#define EVENT_TRACE_FLAG_VAMAP              0x00008000  // map/unmap (excluding images)
#define EVENT_TRACE_FLAG_NO_SYSCONFIG       0x10000000  // Do not do sys config rundown

//
// Enable flags for Kernel Events on Threshold and above
//
#define EVENT_TRACE_FLAG_JOB                0x00080000  // job start & end
#define EVENT_TRACE_FLAG_DEBUG_EVENTS       0x00400000  // debugger events (break/continue/...)

예를 들어, 이 중에서 EVENT_TRACE_FLAG_PROCESS 플래그는 프로세스의 생성/종료에 대한 이벤트를 받을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EventTraceProperties prop = new EventTraceProperties(true, sessionName, NativeMethods.SystemTraceControlGuid);
prop.SetFlags(NativeMethods.EVENT_TRACE_FLAG_PROCESS);

result = NativeMethods.StartTrace(out sessionHandle, sessionName, ref prop);

이후 (EXE) 프로세스 생성/종료마다 이벤트 콜백 함수가 실행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아래의 문서에도 나오지만,

Controlling Event Tracing Sess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etw/controlling-event-tracing-sessions

ETW 세션을 다루는 방식이 여러 가지이므로 자신이 사용하려는 Provider에 따라 저 문서를 보고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선택해 코딩을 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 EVENT_TRACE_FLAG_PROCESS를 설정한 "Windows Kernel Trace" 동작은 지난 글에서 설명한,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72

"Microsoft-Windows-Kernel-Audit-API-Calls" ETW provider를 통해서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번 글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43정성태9/26/20246416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3742정성태9/26/20246709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1]파일 다운로드1
13741정성태9/25/20245888디버깅 기술: 202. windbg - ASP.NET MVC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 분석 시 요령
13740정성태9/24/20245755기타: 86. RSA 공개키 등의 modulus 값에 0x00 선행 바이트가 있는 이유(ASN.1 인코딩)
13739정성태9/24/20245907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1]파일 다운로드1
13738정성태9/22/20245624C/C++: 174. C/C++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file descriptor, FILE*파일 다운로드1
13737정성태9/21/20245980개발 환경 구성: 727. Visual C++ - 리눅스 프로젝트를 위한 빌드 서버의 msbuild 구성
13736정성태9/20/20245978오류 유형: 923. Visual Studio Code - Could not establish connection to "...": Port forwarding is disabled.
13735정성태9/20/20246064개발 환경 구성: 726. ARM 플랫폼용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13734정성태9/19/20245759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13733정성태9/19/20246102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13732정성태9/17/20246139개발 환경 구성: 724. ARM + docker 환경에서 .NET 8 설치
13731정성태9/15/20246733개발 환경 구성: 723. C# / Visual C++ - Control Flow Guard (CFG) 활성화 [1]파일 다운로드2
13730정성태9/10/20246381오류 유형: 922. docker - RULE_APPEND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rule in chain DOCKER
13729정성태9/9/20247129C/C++: 173. Windows / C++ - AllocConsole로 할당한 콘솔과 CRT 함수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3728정성태9/7/20246944C/C++: 172. Windows - C 런타임에서 STARTUPINFO의 cbReserved2, lpReserved2 멤버를 사용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727정성태9/6/20247485개발 환경 구성: 722. ARM 플랫폼 빌드를 위한 미니 PC(?) - Khadas VIM4 [1]
13726정성태9/5/20247389C/C++: 171. C/C++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file descriptor와 HANDLE파일 다운로드1
13725정성태9/4/20246152디버깅 기술: 201. WinDbg - sos threads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request ThreadStore"
13724정성태9/3/20248009닷넷: 2296. Win32/C# - 자식 프로세스로 HANDLE 상속파일 다운로드1
13723정성태9/2/20248267C/C++: 170. Windows - STARTUPINFO의 cbReserved2, lpReserved2 멤버 사용자 정의파일 다운로드2
13722정성태9/2/20246004C/C++: 169. C/C++ - CRT(C Runtime) 함수에 의존성이 없는 프로젝트 생성
13721정성태8/30/20246033C/C++: 168. Visual C++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두 번째 이야기
13720정성태8/29/20246201VS.NET IDE: 193. C# - Visual Studio의 자식 프로세스 디버깅
13719정성태8/28/20246346Linux: 79. C++ - pthread_mutexattr_destroy가 없다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13718정성태8/27/20247431오류 유형: 921. Visual C++ -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float.h': No such file or directory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