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7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04

.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 https://www.sysnet.pe.kr/2/0/1815

.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 https://www.sysnet.pe.kr/2/0/12244

.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
; https://www.sysnet.pe.kr/2/0/12255

.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
; https://www.sysnet.pe.kr/2/0/12292

.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
; https://www.sysnet.pe.kr/2/0/12296

.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299

.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
; https://www.sysnet.pe.kr/2/0/12300

.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
; https://www.sysnet.pe.kr/2/0/12302

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303

.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 https://www.sysnet.pe.kr/2/0/1247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물론, ETW consumer를 직접 만들어도 되지만,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299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 https://www.sysnet.pe.kr/2/0/12244

일반적인 목적이라면 그냥 잘 만들어진 도구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

goldshtn / etrace
; https://github.com/goldshtn/etrace

예를 들어, 이전 글에 소개했던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는 용도로 실행하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명령행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etrace --clr Exception --event ExceptionCatch/Start --pid 12144

여기서 미스터리한 옵션 값은 "--clr"과 "--event"인데요. 우선 "--clr" 옵션에 줄 수 있는 값은 etrace 자체에서 제공하므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C:\temp\etrace\bin\Debug> etrace --list CLR

Supported CLR keywords (use with --clr):

        None
        GC
        GCHandle
        Binder
        Loader
        Jit
        NGen
        StartEnumeration
        StopEnumeration
        Security
        AppDomainResourceManagement
        JitTracing
        Interop
        Contention
        Exception
        Threading
        JittedMethodILToNativeMap
        OverrideAndSuppressNGenEvents
        SupressNGen
        Type
        GCHeapDump
        GCSampledObjectAllocationHigh
        GCHeapSurvivalAndMovement
        GCHeapCollect
        GCHeapAndTypeNames
        GCHeapSnapshot
        GCSampledObjectAllocationLow
        GCAllObjectAllocation
        PerfTrack
        Stack
        ThreadTransfer
        Debugger
        Monitoring
        Codesymbols
        Default
        All

문제는 "--event" 이후에 올 문자열 조건인데요,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manifest 파일을 열어 봐야 합니다.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LR-ETW.man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ETW.man

이 파일에 보면 "CLR Exception events"라는 목록이 나오는데,

...[생략]...
<!-- CLR Exception events -->
<event value="80"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opcode="win:Start" task="Exception" symbol="ExceptionThrown"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ThrownEventMessage)"/>
<event value="80" version="1" level="win:Error" template="Exception" keywords="ExceptionKeyword MonitoringKeyword" opcode="win:Start" task="Exception" symbol="ExceptionThrown_V1"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Thrown_V1EventMessage)"/>
<event value="250"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template="ExceptionHandling"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art" task="ExceptionCatch" symbol="ExceptionCatchStart"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EventMessage)"/>
<event value="251"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op" task="ExceptionCatch" symbol="ExceptionCatchStop"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NoneEventMessage)"/>
<event value="252"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template="ExceptionHandling"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art" task="ExceptionFinally" symbol="ExceptionFinallyStart"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EventMessage)"/>
<event value="253"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op" task="ExceptionFinally" symbol="ExceptionFinallyStop"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NoneEventMessage)"/>
<event value="254"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template="ExceptionHandling"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art" task="ExceptionFilter" symbol="ExceptionFilterStart"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EventMessage)"/>
<event value="255"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op" task="ExceptionFilter" symbol="ExceptionFilterStop"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NoneEventMessage)"/>
<event value="256" version="0" level="win:Informational" keywords="ExceptionKeyword" opcode="win:Stop" task="Exception" symbol="ExceptionThrownStop" message="$(string.RuntimePublisher.ExceptionExceptionHandlingNoneEventMessage)"/>
...[생략]...

보는 바와 같이 "task"에 해당하는 것이 "--clr"의 옵션 값이고, "symbol"에 해당하는 것이 "--event"의 옵션" 값 중 일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task="ExceptionCatch"의 문자열을 그대로 --clr 옵션에 지정
    --clr ExceptionCatch

symbol="ExceptionCatchStart"의 문자열 중 task의 문자열을 기준으로 --event 옵션에 지정
    --event ExceptionCatch/Start




자, 그럼 좀 더 내려가서 해당 manifest 파일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사실 모든 ETW Provider들이 저렇게 별도의 manifest 파일을 유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그냥 바이너리 파일의 리소스로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일일이 그런 정보를 찾아내야 한다는 것은 좀 말이 안 되긴 합니다. 다행히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해결책이 나옵니다. ^^

Retrieve ETW Provider Manifest for a registered provider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804293/retrieve-etw-provider-manifest-for-a-registered-provider

그래서 원하는 ETW의 Provider 이름이나 GUID 값을 알고 있다면 perfview.exe(https://github.com/microsoft/perfview/releases/)의 도움으로 알아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PerfView /noGui userCommand DumpRegisteredManifest {e13c0d23-ccbc-4e12-931b-d9cc2eee27e4} 

PerfView /noGui userCommand DumpRegisteredManifest Microsoft-Windows-DotNETRuntime

그럼 동일한 폴더에 manifest 파일 정보를 담은 xml 파일이 생성되므로 그것을 참조해 etrace의 옵션 값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0/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NoWriterDateCnt.TitleFile(s)
43정성태12/23/200318450기타: 3. XP/2003 개인 방화벽 설정파일 다운로드1
40정성태7/23/200321942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41김성현7/24/200320777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1. [답변]: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42정성태7/29/20031871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2. feedback 을 받기 위해서 답변 기능을 가능하게 해두었습니다.
39정성태7/17/200324455VS.NET IDE: 5. 원격 제어 3가지 방법
38정성태7/17/200320993.NET Framework: 8. IIS 서버 재설치와 ASP.NET 서비스의 문제점
36정성태7/17/200321675.NET Framework: 7. 시행착오 - WebService 참조 추가 오류
35정성태7/17/200322230.NET Framework: 6. Win2000에서의 .NET COM+ 자동 등록 오류 발생 해결
34정성태7/17/200320910VS.NET IDE: 4. VC++ 원격 디버깅파일 다운로드1
33정성태7/17/200321060VS.NET IDE: 3. Win2000 NAT 서비스
32정성태7/17/200322292COM 개체 관련: 9. _bstr_t, CComBSTR, string 클래스 사용 [1]
31정성태7/17/200319334COM 개체 관련: 8. IDL 구문에서 구조체를 pack 하는 방법
30정성태7/17/200336578VC++: 7. [STL] vector 사용법 및 reference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28정성태7/17/200320989스크립트: 3.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CHM 파일
29정성태7/17/200320504    답변글 스크립트: 3.1.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소스코드
27정성태7/17/200319456COM 개체 관련: 7. HTML Control에서 DELETE, 화살표 키 등이 안 먹는 문제
26정성태7/17/200320600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25정성태7/17/200318222COM 개체 관련: 5. C++ Attributes - Make COM Programming a Breeze with New Feature in Visual Studio .NET [2]파일 다운로드1
24정성태7/17/200321842.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5538.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20075.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19134.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20정성태2/15/200526184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2141.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19526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27471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 [196]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