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OpCodes.Box와 관련해 IL 형식으로 직접 코딩 시 유의할 점

C# 코드에서 object에 값 형식을 전달하는 코드를 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token = new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LogOutput(token); // boxing
        Console.WriteLine("End-of-Test4");
    }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 출력 결과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End-of-Test4
*/

token 인스턴스가 자연스럽게 object에 대입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과정을 IL 코드로 보면 box 코드가 관여합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maxstack  1
    .locals init ([0] valuetype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token)
    IL_0000:  nop
    IL_0001:  ldloca.s   token
    IL_0003:  initobj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9:  ldloc.0
    IL_000a:  box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f:  call       void Program::LogOutput(object)
    IL_0014:  nop
    IL_0015:  ldstr      "End-of-Test4"
    IL_001a: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IL_001f:  nop
    IL_0020:  ret
} // end of method Program::Main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cil managed
{
    // ...[생략]...
}

위의 경우 box 연산자와 함께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문자열 형식을 전달하는데, 이것은 IL 언어에서 문법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만약 바이트를 직접 출력하는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해야 합니다.

0x8c, 0x01000011

// box IL 코드 == 0x8c
//
// 0x01000011 ==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타입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토큰값




그런데, 여기서 실수를 해 box 연산자를 누락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위의 IL 소스 코드에서 box 라인만 주석 처리해,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 ...[생략]...
    IL_0009:  ldloc.0
    // IL_000a:  box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f:  call       void Program::LogOutput(object)
    IL_0014:  nop
    IL_0015:  ldstr      "End-of-Test4"
    IL_001a: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 ...[생략]...
}

ilasm.exe로 exe를 생성/실행하면 화면에는 "(null)"이라는 출력이 나옵니다. 그나마 동작을 하는 듯하지만, 이것은 사실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번엔 의도와는 다르게 출력이 되었어도 운이 좋게 프로그램이 종료하지는 않았는데요, 이 코드에서 다음과 같이 직접 정의한 구조체로 바꿔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token = new MyStruct();
        LogOutput(token);
        Console.WriteLine("End-of-Test4");
    }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Age;
    public string Name;
}

이번에는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하면서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유형의 오류들이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2018-09-23 오전 11:22:53
Event ID:      1023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Application: console.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internal error in the .NET Runtime at IP 00007FF83A503E30 (00007FF83A500000) with exit code 80131506.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2018-09-23 오전 11:22:53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console.exe, version: 0.0.0.0, time stamp: 0x5f8660ca
Faulting module name: clr.dll, version: 4.8.4250.0, time stamp: 0x5f2a059c
Exception code: 0xc0000005
Fault offset: 0x0000000000003e30
Faulting process id: 0x6060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6a1d0ebe4a979
Faulting application path: C:\temp\bin\Debug\console.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dll
Report Id: a4412515-d89d-462a-9df6-1f428b6ad155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18-09-23 오전 11:22:55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Fault bucket 1335692000105475064, type 4
Event Name: APPCRASH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console.exe
P2: 0.0.0.0
P3: 5f8660ca
P4: clr.dll
P5: 4.8.4250.0
P6: 5f2a059c
P7: c0000005
P8: 0000000000003e30
P9: 
P10: 

Attached files: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4D67.tmp.WERInternalMetadata.xml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console.exe_cc693ced9f02ff1fad4971022e1a719ec05145_c6eba193_bcbd42d7-ebe2-4c60-9a33-8dbc2d5cc5ee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a4412515-d89d-462a-9df6-1f428b6ad155
Report Status: 268435456
Hashed bucket: eedc651829064f20028954cc1b9e2bf8
Cab Guid: 0

재현을 하진 못했지만, 어떤 때는 해당 코드를 가진 메서드의 실행 시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값 형식을 object로 넘길 때는 box 연산을 반드시 잊지 않고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06정성태11/10/201425133.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1805정성태11/5/201421976.NET Framework: 476. Visual Studio에서 Mono용 Profiler 개발 [3]파일 다운로드1
1804정성태11/5/201428215.NET Framework: 47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803정성태11/4/201420318오류 유형: 261. Windows Server Backup 오류 - Error in backup of E:\$Extend\$RmMetadata\$TxfLog
1802정성태11/4/201422246오류 유형: 260. 이벤트 로그 - Windows Error Reporting / AEAPPINVW8
1801정성태11/4/201427592오류 유형: 259. 이벤트 로그 - Windows Error Reporting / IPX Assertion / KorIME.exe [1]
1800정성태11/4/201418248오류 유형: 258. 이벤트 로그 - Starting a SMART disk polling operation in Automatic mode.
1799정성태11/4/201423064오류 유형: 257. 이벤트 로그 - The WMI Performance Adapter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8정성태11/4/201431855오류 유형: 256. 이벤트 로그 - The WinHTTP Web Proxy Auto-Discovery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
1797정성태11/4/201417547오류 유형: 255. 이벤트 로그 - The Adobe Flash Player Update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6정성태10/30/201424533개발 환경 구성: 249. Visual Studio 2013에서 Mono 컴파일하는 방법
1795정성태10/29/201427045개발 환경 구성: 248. Lync 2013 서버 설치 방법
1794정성태10/29/201422499개발 환경 구성: 247. "Microsoft Office 365 Enterprise E3" 서비스에 대한 간략 소개
1793정성태10/27/201423134.NET Framework: 474. C# - chromiumembedded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792정성태10/27/201423283.NET Framework: 473. WebClient 객체에 쿠키(Cookie)를 사용하는 방법
1791정성태10/22/201423004VC++: 83. G++ - 템플릿 클래스의 iterator 코드 사용에서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5]
1790정성태10/22/201418534오류 유형: 254. NETLOGON Service is paused on [... AD Server...]
1789정성태10/22/201421206오류 유형: 253. 이벤트 로그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
1788정성태10/22/201423232VC++: 82.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2]
1787정성태10/22/201431403오류 유형: 252. COM 개체 등록시 0x8002801C 오류가 발생한다면?
1786정성태10/22/201432706디버깅 기술: 65.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85정성태10/22/201421939오류 유형: 251. 이벤트 로그 - Load control template file /_controltemplates/TaxonomyPicker.ascx failed [1]
1784정성태10/22/201430026.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83정성태10/21/201423474VC++: 81. 프로그래밍에서 borrowing의 개념
1782정성태10/21/201420206오류 유형: 250. 이벤트 로그 - Application Server job failed for service instance Microsoft.Office.Server.Search.Administration.SearchServiceInstance
1781정성태10/21/201420637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