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948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7개 있습니다.)
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https://www.sysnet.pe.kr/2/0/942

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
; https://www.sysnet.pe.kr/2/0/1027

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 https://www.sysnet.pe.kr/2/0/1231

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32

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 https://www.sysnet.pe.kr/2/0/1242

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1764

.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2132

.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
; https://www.sysnet.pe.kr/2/0/12143

.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44

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 https://www.sysnet.pe.kr/2/0/12148

.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50

.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151

.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52

.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
; https://www.sysnet.pe.kr/2/0/12153

.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
; https://www.sysnet.pe.kr/2/0/12165

.NET Framework: 968. C# 9.0의 Function pointer를 이용한 함수 주소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09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지난번에 "Trampoline API Hooking" 방식을 알아봤는데요.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 https://www.sysnet.pe.kr/2/0/1231

이 방법의 단점은, 아쉽게도 x64 지원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래 저래 뜯어고치면 되겠지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실력이 안된다면 ^^ 차선책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선택될 수 있는 첫 번째가 그 누구도 아닌 '마이크로소프트' 스스로 개발한 후킹 라이브러리가 있으니, 바로 "Detours"가 그것입니다.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631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음... 그런데, 역시 단점이 없지 않습니다. 32비트/64비트 모두 지원하긴 하지만, 무료 버전은 32비트만 지원하고 64비트까지 지원하려면 반드시 유료 버전을 구매해야 합니다.

저 같은 평범한 개발자가 $9,999를 지불하기에는 좀 그러하니, 다음으로 생각해 볼 것이 무료 중에 제법 안정적인 라이브러리가 없나 찾아보게 됩니다.
다행히, 이번 달(2012-02)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잡지에서 소개된 "EasyHook"이 괜찮은 후보가 될 것 같습니다.

EasyHook - The reinvention of Windows API Hooking
; http://easyhook.codeplex.com/
; https://github.com/EasyHook/EasyHook/

LGPL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상용에도 쓸 수 있고 DLL로 링크해서 사용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다 만약 버그가 있다면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해 버그를 수정한 후 원 저작자에게 알리면 버그 패치된 버전이 나올 것이고, 다시 그 DLL을 링크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웨어'에 기사를 쓴 '권용휘' 님은 "Powered by EasyHook" 로고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했는데... 약간 오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원 저작자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는데요.

I don't remember if this is covered by the LGPL but I would appreciate some kind of "Powered By" Banner/Icon/Notice. You will find an example at the bottom of this page.


그래줬으면 감사하다는 것이지, 강제 사항은 아닙니다. 사실, 이걸 강제 사항으로 넣으면 또 이상할 수도 있는데요. 가령 예를 들어서, UI가 없는 Library 개발자라면 쓰지 말라는 것이나 다름없으니까요. 게다가 이렇게 라이브러리를 공개한 경우 '감시' 수단이 현실적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Q&A에서 원 저작자는,

Licensing question 
; http://easyhook.codeplex.com/discussions/236073

you just directly link with the c files it seems fine to me. But it is still a breach with the LGPL but I wouldn't mind in this particular case, as long as the product you are creating is not something like EasyHook.


소스 코드를 가져다 쓰는 것 조차도, EasyHook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면 자신은 괜찮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물론, 공식 문서화된 답변은 아니므로 이런 내용에 기대어 오버 해석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어쨌든, "Powered by" 로고에 대해서는 제가 질문을 올려놨는데 어떤 답이 오는지 한번 지켜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About "Powered By" logo. 
; http://easyhook.codeplex.com/discussions/330548




그건 그렇고, 이제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봐야겠지요. ^^

오늘 날짜 기준으로 안정화된 버전이라고 알려진 2.6을 다운로드/압축을 풀어놓고 자신의 C/C++ 프로젝트에서 EasyHook32.dll(또는 EasyHook64.dll)을 링크한 후, 기본 소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32Wrapper.h"

#include "..\Libraries\easyhook.h"

#if defined(_AMD64_)
#pragma comment(lib, "..\\Libraries\\EasyHook64.lib")
#else
#pragma comment(lib, "..\\Libraries\\EasyHook32.lib")
#endif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Hook(void)
{
    ...    
}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Unhook(void)
{
    ...
}

그럼, 지난번에 했던 CoGetClassObject 후킹을 EasyHook 버전으로 한번 바꿔볼까요? ^^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잡지에 실린 기사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어서 쉽게 다음과 같이 포팅을 할 수 있었습니다.

DWORD ACLEntries_CoGetClassObject[1] = { (DWORD)-1 }; 
HOOK_TRACE_INFO g_h_CoGetClassObject= {NULL}; 

HRESULT WINAPI New_CoGetClassObject(REFCLSID rclsid, DWORD dwClsContext, COSERVERINFO *pServerInfo, REFIID riid, LPVOID *ppv)
{
    if (CanBeActivated(rclsid) == FALSE)
    {
       return REGDB_E_CLASSNOTREG;
    }

    return CoGetClassObject(rclsid, dwClsContext, pServerInfo, riid, ppv);
}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Hook(void)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Ole32.dll");

    FARPROC farProc = ::GetProcAddress(hModule, "CoGetClassObject");
    if (farProc == NULL)
    {
        return;
    }

    LhInstallHook(farProc, New_CoGetClassObject,
        NULL, &g_h_CoGetClassObject);
    LhSetExclusiveACL(ACLEntries_CoGetClassObject, 1, &g_h_CoGetClassObject);
}

WIN32WRAPPER_API void fnWin32Wrapper_Unhook(void)
{
    LhUninstallAllHooks();
}

이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소스 코드가 훨씬 더 간결해졌다는 점을 들 수 있겠고, 무엇보다도 x64/x86 모두 동작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잘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쓰는 것은 너무너무 행복한 일입니다. ^^)

이번에도 역시, 첨부한 소스 코드는 "닷넷"에서 C/C++ DLL 함수를 불러서 처리하게 했고 다음과 같이 Hook/Unhook 버튼을 두어 실행 시에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easyhook_1.png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3-26 11시29분
라이선스에 대해 다음과 같은 덧글이 달렸군요. ^^

From: spazzarama

If there is no UI within the project at all then perhaps some credit within the readme / documentation of your application.
The LGPL states that you should "give prominent notice" that the library (EasyHook) is used within your application. Where you choose to put this is up to you I guess.
정성태
2016-05-12 01시30분
정성태
2020-06-01 10시31분
파이썬으로 만들어졌고 javascript로 onEnter/onLeave 핸들러를 작성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FridaTrace++ - quick & dirty API monitor
; http://www.hexacorn.com/blog/2020/05/31/fridatrace-quick-dirty-api-monitor/
정성태
2020-08-11 05시26분
[Lyn] https://github.com/microsoft/Detours

MS가 64bit까지 다 풀어버렷네요... 세월이 많이 지났구나
[guest]
2020-08-11 08시41분
@Lyn 님 연관 글에서 "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로 github 공개를 소개했습니다. ^^
정성태
2020-08-12 12시49분
[Lyn] @정성태 연관글을 못보고 지나쳤네요 ㅎㅎ
[guest]
2023-01-27 08시34분
Squalr/Squalr - Squalr Memory Editor - Game Hacking Tool Written in C#
; https://github.com/Squalr/Squalr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47정성태5/27/201126055.NET Framework: 217. Firebird ALinq Provider - 날짜 필드에 대한 낙관적 동시성 쿼리 오류
1046정성태5/26/201130685.NET Framework: 216.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5]
1045정성태5/24/201131778.NET Framework: 215. 닷넷 System.ComponentModel.LicenseManager를 이용한 라이선스 적용 [1]파일 다운로드1
1044정성태5/24/201132338오류 유형: 122. zlib 빌드 오류 - inflat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inflate_fast
1043정성태5/24/201131272.NET Framework: 214. 무료 Linq Provider - DbLinq를 이용한 Firebird 접근파일 다운로드1
1042정성태5/23/201137626개발 환경 구성: 122. PHP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1041정성태5/22/201128550.NET Framework: 213. Linq To SQL - ALinq Provider를 이용하여 Firebird 사용파일 다운로드1
1040정성태5/21/201138892개발 환경 구성: 121. .NET 개발자가 처음 설치해 본 Apache + PHP [2]
1039정성태5/17/201131584.NET Framework: 212. Firebird 데이터베이스와 ADO.NET [2]파일 다운로드1
1038정성태5/16/201133534개발 환경 구성: 120. .NET 프로그래머에게도 유용한 Firebird 무료 데이터베이스 [2]
1037정성태5/11/201128379개발 환경 구성: 119. Visual Studio Professional 이하 버전에서도 TFS의 정적 코드 분석 정책 연동이 가능할까? [3]
1036정성태5/7/201194222오류 유형: 121.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11]
1035정성태5/7/201128910오류 유형: 120. File cannot be opened. Ensure it is a valid Data Link file.
1034정성태5/2/201125982.NET Framework: 211. 파일 잠금 없이 .NET 어셈블리의 버전을 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033정성태5/1/201131710웹: 19. IIS Express - appcmd.exe를 이용한 applicationHost.config 변경 [2]
1032정성태5/1/201128343웹: 18. IIS Express를 NT 서비스로 변경
1031정성태4/30/201129498웹: 17. IIS Express - "IIS Installed Versions Manager Interface"의 IIISExpressProcessUtility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30정성태4/30/201151783개발 환경 구성: 118.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1029정성태4/28/201140896개발 환경 구성: 117. XCopy에서 파일/디렉터리 확인 질문 없애기 [2]
1028정성태4/27/201138278오류 유형: 119. Visual Studio 2010 SP1 설치 후 Windows Phone 개발자 도구로 인한 재설치 문제 [3]
1027정성태4/25/201127457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파일 다운로드1
1026정성태4/25/201145727디버깅 기술: 39. DebugDiag 1.1을 사용한 덤프 분석 [7]
1025정성태4/24/201127806개발 환경 구성: 116. IIS 7 관리자 - Active Directory Certification Authority로부터 SSL 사이트 인증서 받는 방법 [2]
1024정성태4/22/201129181오류 유형: 118. Windows 2008 서버에서 Event Viewer / PowerShell 실행 시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1]
1023정성태4/20/201130042.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1]
1022정성태4/19/201125618디버깅 기술: 38. .NET Disassembly 창에서의 F11(Step-into) 키 동작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