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78.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93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따끈따끈한 도서가 나왔는데요,

C#으로 이해하는 암호학 
; http://www.upaper.net/alexylee/1134590

덧셈 암호와 곱셈 암호를 mod 연산자 수식으로 설명한 부분이 재미있습니다. ^^

우선 알파벳 26글자에 대한 덧셈 암호를 보면,

C: 암호문
P: 평문
K: 키

C = (P + K) mod 26

P = (C + K-1) mod 26

로 표현이 됩니다. 덧셈 암호에서 키(K)에 해당하는 값이 있다면 그것의 역원을 더해 항등원 0이 나와야 하므로, 단순하게 K-1 = -K가 됩니다. 가령 K = 6일 때,

0 = (K + K-1) mod 26
0 = 6 + (-6) mod 26

결과가 나오고, 당연하겠지만 mod 26의 집합 Z26 = { 0, 1, 2, ..., 25 }에서 (현실적으로는 0을 제외한) 모든 요소에 대해 키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이제 곱셈 암호를 볼까요?

C = (P * K) mod 26
P = (C * K-1) mod 26

선택된 키(K) 값에 대해 곱셈의 항등원인 1이 나오려면 1/K 값을 역원으로 선택하면 됩니다. 그렇긴 한데 일반적인 곱셈 연산이라면 1/K 값도 허용이 되겠지만, mod 연산에서는 실숫값이 허용이 안 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P = 1, K = 3이라고 할 때,

3 = (1 * 3) mod 26
1 = (3 * (1/3)) mod 26

(C * K-1)의 결괏값이 정수가 될 것이기 때문에 mod 연산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P = 9, K = 3인 경우에는,

1 = (9 * 3) mod 26
? = (1 * (1/3)) mod 26

보는 바와 같이 mod 연산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곱셈의 역원이 mod 연산에서 꼭 1/K 값일 필요는 없다는 점입니다. 결국, 곱셈의 항등원이 1만 나오면 되기 때문에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수가 있으면 되는데,

1 = (K * K-1) mod 26

가령 K = 3이라고 할 때, 집합 Z26 = { 0, 1, 2, ..., 25 }에서 찾아 보면, 9가 역원으로 될 수 있습니다.

1 = (3 * 9) mod 26

따라서, P = 7일 때, K = 3, K-1 = 9로 mod 연산을 하면,

21 = (7 * 3) mod 26
7 = (21 * 9) mod 26

암/복호화 연산이 자연스럽게 이뤄집니다.

여기서 더욱 재미있는 것은, 곱셈 연산의 특성상 0이 나오면 복호화를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가령, P = 13, K = 2라고 하면,

0 = (13 * 2) mod 26
0 = (0 * K-1) mod 26

(사실 2에 대한 mod 26 연산의 역원도 존재하지 않지만) 어떤 inv(K) 값이 와도 결과가 0이 되므로 복호화 연산이 가능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곱셈 암호의 경우 (덧셈 암호와는 달리) 집합 Z26 = { 0, 1, 2, ..., 25 }에서 키로 선택되려면 mod 26의 결과가 0이 나오면 안 된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이를 달리 말하면, 26과 서로소인 수만 키로써 자격이 있게 됩니다. 따라서 위에서 예를 든 { 2, 13 } 쌍을 비롯해 { 4, 13 }, { 6, 13 }, { 8, 13 }, { 10, 13 }, { 12, 13 }, { 13, 12 }, { 14, 13 }, { 16, 13 }, { 18, 13 }, { 20, 13 }, { 22, 13 }, { 24, 13 }의 쌍들은 모두 mod 26에 대해 0이 나오므로 { 2, 4, 6, 8, 10, 12, 13, 14, 16, 18, 20, 22, 24 }는 키값으로 선택될 수 없습니다.

이것을 다르게 생각해 보면, 만약 "mod n"의 연산에서 'n' 값이 소수라면 당연히 집합 Zn = { 0, 1, 2, ..., n - 1 }의 (0과 현실적으로 1을 제외한) 모든 값들이 키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에 기반을 둬서 RSA의 암호화에 해당하는 mod 계산을 볼까요?

[암호화]
C = Pk mod N

[복호화]
Cinv(k) ≡ P mod N

(덧셈 암호, 곱셈 암호로 바라보던 시각을 적용해 보면) RSA는 지수 암호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수 암호"라는 단어는 안 쓰는 것 같습니다. ^^)

다시 역으로 달리 생각해 보면, 곱셈 암호를 (쉽게 복호화 키를 알아낼 수 있어 부적절하지만) 비대칭 암호화의 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글의 예제에서 보면 공개키로 (3, 26) 쌍을 사용하고 개인키로 (9, 26) 쌍을 사용해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른 것입니다.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 책에 나오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e-book을 구매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로, 이 글에 실은 수식은 책에도 나오지만 다음과 같은 웹상의 자료에도 있어 인용을 해봤습니다.

치환암호
; http://wiki.hash.kr/index.php/%EC%B9%98%ED%99%98%EC%95%94%ED%98%B8

그리고 기왕에 언급이 되었으니 다음의 정리된 글들도 한 번쯤 보시고. ^^

RSAParameters 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

RSAParameters와 RSA
; https://www.sysnet.pe.kr/2/0/11140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https://www.sysnet.pe.kr/2/0/1300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925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9정성태9/14/200619212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462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65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413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37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78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49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41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86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73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18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17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607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517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59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08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82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6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43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5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86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19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41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79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5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33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