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6.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 https://www.sysnet.pe.kr/2/0/1046

.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 https://www.sysnet.pe.kr/2/0/1352

.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0950

.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0959

.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810

오류 유형: 672. AllowPartiallyTrustedCallers 특성이 적용된 어셈블리의 struct 멤버 메서드를 재정의하면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2384

.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65

.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05

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576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일단, 이것은 정리 차원에서 쓰는 것이고 해결 방법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NET Profiler의 여러 이벤트 중 ClassLoadFinished 콜백은 ClassID를 인자로 받습니다.

HRESULT CDotnetProfiler::ClassLoadFinished(ClassID classId, HRESULT hrStatus)
{
    // ...[생략]...
}

그리고 이후 해당 클래스의 메서드가 최초 실행되면 JITCompilationStarted 콜백이 발생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JITCompilationStarted 단계에서 GetFunctionInfo로 현재 실행 중인 메서드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

HRESULT CDotnetProfiler::JITCompilationStarted(FunctionID functionId, BOOL fIsSafeToBlock)
{
    // ...[생략]...

    HRESULT hr = m_pICorProfilerInfo->GetFunctionInfo(functionId, &classId, &moduleId, &methodToken);
    if (hr != S_OK || methodToken == 0)
    {
        return S_OK;
    }

    // ...[생략]...
}

GetFunctionInfo의 두 번째 인자 값이 classId == 0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이전의 ClassLoadFinished 단계에서 알게 된 ClassID와 JITCompilationStarted 이벤트 단계에서 실행 중인 FunctionID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정상적으로 반환한 moduleId와 methodToken으로 다시 GetFunctionFromToken을 호출해 보면,

FunctionID funcId;
if (m_pICorProfilerInfo->GetFunctionFromToken(moduleId, methodToken, &funcId) == S_OK)
{
    // ...[생략]...
}

// hr == 0x8013135d : The given function is a generic and cannot be used with this method

0x8013135d 오류가 나오는데 이유는 해당 메서드가 Generic 타입에 속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GetFunctionInfo는 .NET 1.x 시절에 나온 것이므로 Generic이 추가된 .NET 2.x 이후에는 GetFunctionInfo2를 사용해 ClassID를 구할 수 있습니다.

ICorProfilerInfo2::GetFunctionInfo2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icorprofilerinfo2-getfunctioninfo2-method

문제는 GetFunctionInfo2의 두 번째 인자로 COR_PRF_FRAME_INFO를 요구한다는 것인데,

HRESULT GetFunctionInfo2(  
    [in]  FunctionID funcId,  
    [in]  COR_PRF_FRAME_INFO frameInfo,  
    [out] ClassID *pClassId,  
    [out] ModuleID *pModuleId,  
    [out] mdToken *pToken,  
    [in]  ULONG32 cTypeArgs,  
    [out] ULONG32 *pcTypeArgs,  
    [out] ClassID typeArgs[]);  

이 값을 Profil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FunctionEnter2가 유일합니다.

FunctionEnter2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functionenter2-function

따라서 사실상 JITCompilationStarted 이벤트에서는 ClassLoadFinished 단계의 ClassID와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다행이라면, 제 경우에는 ClassID를 편하게 사용한 것이긴 해도 Type Token 값으로 대체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IMetaDataImport를 통해 Type Token(mdTypeRef, mdTypeDef)을 구하는 식으로 우회할 수 있었습니다.

// JITCompilationStarted

IMetaDataImport* pMDImport = nullptr;

hr = m_pICorProfilerInfo->GetTokenAndMetaDataFromFunction(functionId,
    IID_IMetaDataImport,
    (IUnknown**)&pMDImport,
    &methodToken);

hr = pMDImport->GetMethodProps(methodToken, &typeToken, nullptr, 0, nullptr, nullptr, nullptr, nullptr, nullptr, nullptr);
if (hr != S_OK)
{
    break;
}

참고로, 이렇게 type token을 구한 후 이 정보를 바탕으로 ClassID를 구하는 시도를 해봤는데,

hr = m_pICorProfilerInfo4->GetClassFromToken(moduleId, typeDef, &classId);

// hr == 0x8013135c - The given function is a generic and cannot be used with this method.

역시나 Generic인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 어쩔 수 없군요, 그냥 ClassID 대신 Type Token까지 얻은 걸로 만족해야겠습니다. (혹시 FunctionID로부터 ClassID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83정성태4/10/201827888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11482정성태4/10/201820370VC++: 126. CUDA Core 수를 알아내는 방법
11481정성태4/10/201831994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22012.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17694.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19917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7398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8922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21193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9334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24537.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8486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21899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23909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6910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6466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15995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7089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9517.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22341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24940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7417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8210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9257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23960.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1456정성태2/17/201829680.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