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11

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559

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053

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68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보통 Command Prompt의 경우 다음과 같이 "Defaults"와 "Properties" 메뉴를 통해,

cmd_fonts_diff_0.png

속성 설정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알 수 없으나) "Defaults"로 변경하면 이후 전체 CMD 창에 반영이 되는 반면, "Properties"로 변경하면 현재의 CMD 창에만 반영이 되는데요. 재미있는 것은, 그 2개의 메뉴에서 보이는 폰트 목록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Defaults 메뉴로 선택한 Font 탭]
cmd_fonts_diff_1.png

[Properties 메뉴로 선택한 Font 탭]
cmd_fonts_diff_2.png

이거저거 해본 결과, 현재 CMD 창의 Code page가 949인 경우 저런 차이점이 발생했습니다.

C:\temp> chcp
Active code page: 949

이것을 437로 바꾸고 다시 테스트를 하면,

C:\temp> chcp 437
Active code page: 437

이제 "Properties"의 폰트 목록이 "Defaults"와 일치하게 나옵니다.




왜 저런 차이가 발생하는지 아직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따라서, 현재 코드 페이지가 949인 상태에서는 (Consolas처럼) 437에서만 보이는 폰트는 설정할 수 없습니다. 혹시나 "Defaults"로 변경해 전체 CMD 창에 적용되도록 시도했지만 949 상태의 cmd 창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cmd 창이 뜰 때부터 437 코드 페이지를 가지고 있어야 할 텐데요, 다음의 Q&A에 있는 글에 따라,

Change CodePage in CMD permanently?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32545/change-codepage-in-cmd-permanently

레지스트리 값을 설정해 두면,

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Command Processor
이름: Autorun
값: chcp 437
타입: REG_SZ

이후 실행되는 cmd.exe 창은 기본적으로 "chcp 437"이 실행된 상태로 뜨게 됩니다. 그런 다음 "Properties"를 이용해 "Consolas"로 바꿔주고 다시 cmd.exe 창을 띄우면 이후 정상적으로 Consolas 폰트가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 "Properties" / "Defaults" 메뉴 설정은 HKCU\Console 하위의 보관 단위 및 단축키 파일의 구분으로 보관하는 듯합니다. 혹시 자세한 정보를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을 설정한 경우,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559#utf8

cmd 창의 기본 code page가 65001이 되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설정 없이 "Defaults"에 설정한 값에 따라 적용됩니다.

또한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32545/change-codepage-in-cmd-permanently'>Change CodePage in CMD permanently?" 글의 "REG ADD HKCU\Console\%SystemRoot^%_system32_cmd.exe /v CodePage /t REG_DWORD /d 437" 해결책은 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6-26 03시04분
[ㅇㅇ] 우와 예전부터 궁금했던 내용인데 이렇게 깊게 설명한 글은 처음 보네요. 덕분에 궁금증이 많이 풀렸습니다!
추가로 제가 알아본 내용도 공유해볼게용 ㅎ

저 같은 경우에는 VS Debug console에서 폰트를 변경하고 싶어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대한 내용은 많이 없더라구요.
그런데 마지막에 언급하신 "REG ADD HKCU\..." 명령어의 경우 저는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수동으로 변경하니 적용이 되는 것을 확인했는데요,
(제 컴에서 확인해보니 올려주신 경로가 살짝 다른 것 같긴 합니다)

중요한 점은 해당 경로에 존재하는 다른 콘솔들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한 것 같더라구요 (!)
그래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CodePage와 FaceName 값을 추가하고 적용 완료하였습니다~~ ㅎㅎ
[guest]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68정성태10/31/200421976.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19182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0366.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19362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3049.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3147.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2정성태10/3/200422134기타: 7. DB 트랜잭션에서 Lock이 걸릴 수 있는 전형적인 예.
61정성태10/3/200421692.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0367.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3479.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19961.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55정성태10/3/200420703COM 개체 관련: 11. 내가 생각해 보는 COM의 현재 위치
54정성태8/30/200426360VC++: 10. 내가 생각해 보는 MFC OCX와 ATL DLL에 선택 기준
53정성태11/20/200525707VC++: 9. CFtpFileFind/FtpFileFind가 일부 Unix FTP 서버에서 목록을 제대로 못 가져오는 문제
184정성태11/23/200519364    답변글 VC++: 9.1. FTP 관련 토픽파일 다운로드1
51정성태6/24/200424292VC++: 8. BSTR 메모리 할당 및 해제(MSDN Library 발췌) [1]
50정성태6/16/200417655기타: 6. 1차 데스크톱 컴퓨터 사양
49정성태6/16/200418140기타: 5. 53만 원대 Second PC 마련. ^^
48정성태3/2/200420006.NET Framework: 9. 윈도우즈 발전사를 모아 둔 사이트. [1]
47정성태11/14/200518511VS.NET IDE: 7. 한글 OS에서 Internet Explorer 6.0 with SP1의 UI 언어 바꾸는 방법
45정성태1/26/200417876기타: 4. MCAD 시험
44정성태1/26/200418650VS.NET IDE: 6. 터미널 서비스 포트 변경 ( 서버 및 클라이언트 )
46정성태1/26/200423725    답변글 VS.NET IDE: 6.1. Windows 2003 터미널 서비스 라이센스 서버 없이 접속
114정성태11/14/200515146    답변글 VS.NET IDE: 6.2. [터미널 서버 라이센스] : 활성화 시 오류
43정성태12/23/200318354기타: 3. XP/2003 개인 방화벽 설정파일 다운로드1
40정성태7/23/200321825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