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75. .NET Core를 직접 호스팅해 (runtimeconfig.json 없이) EXE만 배포해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427

.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471

.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83

.NET Framework: 2096. .NET Core/5+ - PublishSingleFile 유형에 대한 runtimeconfig.json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265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Framework-dependent 방식으로 배포하는 경우, runtimeconfig.json에 담긴 내용에 따라 dotnet 호스팅의 런타임이 결정됩니다.

기본적으로 "Target framework"을 .NET Core 2.0으로 설정했으면 빌드 후 runtimeconfig.json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runtimeOptions": {
    "tfm": "netcoreapp2.0",
    "framework": {
      "name": "Microsoft.NETCore.App",
      "version": "2.0.0"
    }
  }
}

하지만, 이 응용 프로그램을 .NET 5.0만 설치된 환경에서 실행하면 이런 식의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C:\temp> dotnet ConsoleApp1.dll
It was not possible to find any compatible framework version
The framework 'Microsoft.NETCore.App', version '2.0.0' was not found.
  - The following frameworks were found:
      5.0.1 at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

You can resolve the problem by installing the specified framework and/or SDK.

The specified framework can be found at:
  - https://aka.ms/dotnet-core-applaunch?framework=Microsoft.NETCore.App&framework_v

이를 극복하려면 텍스트 파일인 runtimeconfig.json의 framework.version 속성을 그에 맞게 편집해야 합니다.

{
  "runtimeOptions": {
    "tfm": "netcoreapp2.0",
    "framework": {
      "name": "Microsoft.NETCore.App",
      "version": "5.0.0"
    }
  }
}

이러한 버전 실행 정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문서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Select the .NET Core version to use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core/versions/selection

A few usage examples demonstrate the behavior, if you target 3.0:

(O) 3.0 is specified. 3.0.3 is the highest patch version installed. 3.0.3 is used.
(X) 3.0 is specified. No 3.0.* versions are installed. 2.1.1 is the highest runtime installed.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O) 3.0 is specified. No 3.0.* versions are installed. 3.1.0 is the highest runtime version installed. 3.1.0 is used.
(X) 2.0 is specified. No 2.x versions are installed. 3.0.0 is the highest runtime installed.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그런데, .NET Framework의 경우 .NET 2.0으로 만든 바이너리도 supportedRuntime만 잘 지정해 주면 .NET 4.0에서도 자연스럽게 실행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xml version="1.0"?>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아쉽게도 초기 .NET Core에는 그런 설정이 없었지만 .NET Core 3.0 이후부터 rollForward 옵션이 추가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설정해 둔 경우,

{
  "runtimeOptions": {
    "tfm": "netcoreapp2.0",
    "rollForward": "Major",
    "framework": {
      "name": "Microsoft.NETCore.App",
      "version": "3.0.0"
    }
  }
}

Major 버전이 다른 .NET 5 환경만 설치된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향후 .NET 6이 나왔을 때에도 아무런 변경 없이 기존 프로그램이 잘 실행될 것입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ep-dive into .NET Core primitives, part 3: runtimeconfig.json in depth
; https://natemcmaster.com/blog/2019/01/09/netcore-primitives-3/

(그 외에, "applyPatches", "rollForwardOnNoCandidateFx" 옵션도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 기회에 dotnet-core-uninstall 도구를 소개합니다. ^^

Announcing the .NET Core Uninstall Tool 1.0!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announcing-the-net-core-uninstall-tool-1-0/

(윈도우의 경우 msi 설치 후) 제거할 수 있는 .NET Core 버전을 "list" 옵션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temp> dotnet-core-uninstall list

This tool can not uninstall versions of the runtime or SDK that are?
    - SDKs installed using Visual Studio 2019 Update 3 or later.
    - SDKs and runtimes installed via zip/scripts.
    - Runtimes installed with SDKs (these should be removed by removing that SDK). 
The versions that can be uninstalled with this tool are:

.NET Core SDKs:
  1.1.14  x86

  1.1.14  x64    [Used by Visual Studio. Specify individually or use ?-force to remove]

.NET Core Runtimes:

ASP.NET Core Runtimes:

.NET Core Runtime & Hosting Bundles:

그런데, 메시지에 나오는 것처럼 사실 만능은 아니라서 Visual Studio, zip/script 또는 SDK와 함께 설치된 런타임은 제거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로 위의 실행 결과를 보인 환경에서 "dotnet --list-runtimes" 명령어로는 더 많은 버전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temp>dotnet --list-runtimes
Microsoft.AspNetCore.All 2.1.23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AspNetCore.All]
Microsoft.AspNetCore.App 2.1.23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AspNetCore.App]
Microsoft.AspNetCore.App 3.1.9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AspNetCore.App]
Microsoft.AspNetCore.App 5.0.0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Asp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1.0.16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1.1.13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2.1.23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3.1.9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5.0.0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
Microsoft.WindowsDesktop.App 3.1.9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WindowsDesktop.App]
Microsoft.WindowsDesktop.App 5.0.0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WindowsDesktop.App]

결국, dotnet-core-uninstall 도구가 그다지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3-07 09시25분
dotnet 명령으로 사용하고 싶은 dotnet 버전을 지정
; https://docs.google.com/document/d/e/2PACX-1vQRuOMYIvzl_6hElLya0aA3TyCfw6GsqWZG5Ub8P3heh4M5wUyhohV9kN_oILoGMwcz6wjRLROYgQXI/pub

--------------------

rollForward 옵션을 csproj에서도 지원하고,

Rolling Forward to Major Versions in .NET
; https://weblog.west-wind.com/posts/2023/Oct/02/Rolling-Forward-to-Major-Versions-in-NET

<RollForward>LatestMajor</RollForward>

dotnet 실행 파일에서도 --roll-forward 옵션을 지원합니다.

Options for running an application (--roll-forward <SETT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tools/dotnet#options-for-running-an-application

$ dotnet --roll-forward LatestMajor ConsoleApp1.dll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31정성태1/1/201528534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27574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1829정성태12/16/201431342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2]파일 다운로드1
1828정성태12/15/201427809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4]파일 다운로드1
1827정성태12/12/201424163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1826정성태12/11/201428630.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75801.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25851.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2811.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2정성태12/3/201425449개발 환경 구성: 252. Xamarin 라이선스 관리 [8]
1821정성태12/1/201431888VS.NET IDE: 96. Visual Studio에서 /* ~ */ 주석을 위한 단축키(매크로)
1820정성태11/23/201420613.NET Framework: 485.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819정성태11/22/201420603오류 유형: 264. MSBuild 에러 - warning MSB3052: The parameter to the compiler is invalid,
1818정성태11/22/201423013개발 환경 구성: 251. NUMA 노드 수에 따른 IIS Worker Process(w3wp.exe) 설정 [1]
1817정성태11/22/201426167VS.NET IDE: 95. Macros for Visual Studio 2013 [1]
1816정성태11/20/201420861.NET Framework: 484.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1815정성태11/18/201418858.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2]
1814정성태11/18/201420392오류 유형: 263.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It may not be installed.
1813정성태11/18/201422229오류 유형: 262. Build Events에 robocopy 작업이 있는 경우 "VCEnd exited with code 3" 오류 발생
1812정성태11/17/201419676.NET Framework: 482. ETW 자동 생성 코드의 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811정성태11/16/201421003.NET Framework: 481. Mono 내부의 문자열 처리 방식은 UTF-8
1810정성태11/15/201457676.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4]
1809정성태11/11/201422900.NET Framework: 479. Mono Profiler를 Unity의 Plugin으로 사용하는 방법
1808정성태11/11/201423219.NET Framework: 478.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2]
1807정성태11/10/201429364개발 환경 구성: 250. 서버용 Socket에서 사용하는 포트가 충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806정성태11/10/201425137.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