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39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19.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 https://www.sysnet.pe.kr/2/0/11227

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7

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 https://www.sysnet.pe.kr/2/0/11331

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 https://www.sysnet.pe.kr/2/0/12084

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 https://www.sysnet.pe.kr/2/0/12087

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472

개발 환경 구성: 621.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 https://www.sysnet.pe.kr/2/0/12899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windbg를 사용하다 보면 x86/x64 구분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pykd 확장만 해도,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 https://www.sysnet.pe.kr/2/0/11227

x86과 x64 DLL로 나뉘기 때문에 로컬에 다음과 같이 구분해서 저장하게 되는데,

  • c:\temp\x64\pykd.dll
  • c:\temp\x86\pykd.dll

이로 인해 해당 확장을 로드할 때마다 일일이 경로를 적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load c:\temp\x64\pykd.dll

물론, 기본 확장 경로에 x64와 x86이 구분되는 경로가 있으므로 그곳을 활용하면 ".load pykd.dll"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게 좀 불편한 면이 있습니다. 가령 %PROGRAMFILES% 하위에 있는 경로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해 복사가 좀 불편한 면이 있고, %PATH%의 경우는 x86/x64 구분이 없으므로 어느 한쪽 플랫폼으로 맞춰 놓으면 이후 다른 플랫폼을 위한 windbg 실행 시 마찬가지의 불편함이 생깁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indbg의 명령행 옵션 중 "-c"를 이용해 단축 아이콘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x64인 경우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dbg.exe" -c ".extpath+ c:\wext\x64"

// x86인 경우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86\windbg.exe" -c ".extpath+ c:\wext\x86"




그런데, 하다 보면 명령어를 더 실행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관리가 편한 스크립트 파일을 하나 만들어 두면 좋은데요, 다음과 같이 만들어 두고,

$$ c:\wext\dbgscript.x64.txt // windbg 스크립트에 주석은 '$$'로 시작

.extpath+ d:\wext\x64
.loadby sos clr

$$ c:\wext\dbgscript.x86.txt // windbg 스크립트에 주석은 '$$'로 시작

.extpath+ d:\wext\x86
.loadby sos clr

windbg 실행을 위한 단축 아이콘에 -c 옵션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x64인 경우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dbg.exe" -c "$$>a< d:\\settings\\dbgscript.x64.txt"

// x86인 경우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86\windbg.exe" -c "$$>a< d:\\settings\\dbgscript.x86.txt"

$<, $><, $$<, $$><, $$ >a< (Run Script File)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a---run-script-file-




그런데, 간혹 이런 스크립트 파일 내에 포함할 수 없는 windbg 명령어가 있습니다. 가령 ".cls" 같은 경우인데요,

0:000> .cls
          ^ Syntax error in '.cls'

분명히 windbg 내에서 실행하면 잘 동작하지만 스크립트 파일에 포함하면 "syntax error"가 발생합니다. 이에 대해 다음의 Q&A 글이 이유를 잘 설명하고 있는데요,

Syntax error with WinDBG command line -c ".cls;g"
; https://microsoft.public.windbg.narkive.com/c4O7ZlIy/syntax-error-with-windbg-command-line-c-cls-g

.cls is a WinDBG GUI command, not a debugger engine command. So, it's
stripped out by the GUI code and not passed along to DbgEng. The list of
other commands like this is here:

즉, 스크립트 파일의 실행 환경은 windbg에 국한되지 않은 (UI를 갖지 않는) 디버거 엔진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825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384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358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133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417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5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4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24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50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63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3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3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4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5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2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103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760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312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85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41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59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64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24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3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773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71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