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6

.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2498

.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2499

.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505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지난 글에서,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6

기본적인 Kestrel 호스팅을 다뤘는데요. 이번에는, 해당 예제로부터 살을 좀 덧붙여보겠습니다. (제목에 충실하기 위해, applicationhost.config의 내용을 바꿔야 하는 IIS Express 호스팅 환경은 다루지 않습니다.)

우선, 위의 글에 실린 기본 예제로 실행하면 http, https 호스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서버 소켓이 localhost로만 바인딩되어 있기 때문에 IP를 통해 접속을 못한다는, 즉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데요. 이런 제약은 다음의 ConfigureKestrel 메서드 호출로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전에도 다룬 적이 있습니다.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81

// 비주얼 스튜디오의 경우 "프로파일" 설정을 "IIS Express"가 아닌 "ConsoleApp1"로 바꾸고 실행
// .NET Core 3.1

public static IHostBuilder CreateHostBuilder(string[] args) =>
    Host.CreateDefaultBuilder(args)
        .ConfigureWebHostDefaults(webBuilder =>
        {
            webBuilder.ConfigureKestrel(options =>
            {
                options.ListenAnyIP(16000);
            });

            webBuilder.UseStartup<Startup>();
        });

/* 출력 결과
      Overriding address(es) 'https://localhost:5001, http://localhost:5000'. Binding to endpoints defined in UseKestrel() instead.
info: Microsoft.Hosting.Lifetime[0]
      Now listening on: http://[::]:16000
...[생략]...
*/

위와 같이 바꾸면, 출력 결과에도 나오지만 Kestrel 기본 호스팅 코드가 설정한 (또는 비주얼 스튜디오의 경우 launchSettings.json을 이용해 재정의 가능한) http/5000, https/5001에 대한 설정은 이제 무시하고 http/16000으로만 서비스를 합니다. 따라서, https 서비스도 함께 하고 싶다면 이에 대한 것도 추가를 해야 합니다.

Configure endpoints for the ASP.NET Core Kestrel web serv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fundamentals/servers/kestrel/endpoints

public static IHostBuilder CreateHostBuilder(string[] args) =>
    Host.CreateDefaultBuilder(args)
        .ConfigureWebHostDefaults(webBuilder =>
        {
            webBuilder.ConfigureKestrel(options =>
            {
                options.ListenAnyIP(16000);
                options.ListenAnyIP(16001, (httpsOpt) =>
                {
                    httpsOpt.UseHttps();
                });
            });

            webBuilder.UseStartup<Startup>();
        });

(https와 관련한 인증서 설정은 ListenOptions.UseHttps을 참고하세요.)

또한 https 접속만 가능하게 하려는 경우 http로부터의 우회 설정등이 필요할 텐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고,

Enforce HTTPS in ASP.NET Co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security/enforcing-ssl

이 글에서 설명한 것 외에 가능한 options 설정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Configure options for the ASP.NET Core Kestrel web serv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fundamentals/servers/kestrel/options




다시 말하지만, 이 설정들은 모두 Kestrel 호스팅 환경에서만 유효하고 나중에 실 서비스를 IIS에 얹으면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1-27 09시51분
.NET 6에서 Kestrel 포트를 설정하는 몇가지(너무 많은?) 방법 | Bryan Hogan
; https://forum.dotnetdev.kr/t/net-6-kestrel-bryan-hogan/2681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89정성태7/5/201026559.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348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186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2390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3934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6888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28766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1603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1031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3694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3480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0229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19669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1395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28267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27608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4183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5191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6660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28948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2824.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58712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0604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1203.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26284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0173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