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예를 들어, 윈도우의 사용자 이름이 "Default User"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USERPROFILE%이나 %LOCALAPPDATA%, %APPDATA% 등의 경로에 공백이 포함됩니다.

C:\temp> echo %USERPROFILE%
C:\Users\Default User

C:\temp> echo %LOCALAPPDATA%
C:\Users\Default User\AppData\Local

C:\temp> echo %APPDATA%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

이 상태에서 electronize로 빌드 시,

electronize build /target win-x64 /PublishReadyToRun false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하는데,

Error: EEXIST: file already exists, mkdir 'C:\Users\Defaul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oaded' of undefined
    at exi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27)
    at errorHandler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216:3)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bin\npm-cli.js:77:20
    at cb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npm.js:225:22)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npm.js:263:24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83:7
    at Array.forEach (<anonymous>)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82:13
    at f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node_modules\once\once.js:25:25)
    at afterExtras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173:20)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
  var doExit = npm.config.loaded ? npm.config.get('_exit') : true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oaded' of undefined
    at exi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27)
    at process.errorHandler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216:3)
    at process.emit (events.js:198:13)
    at process._fatalException (internal/bootstrap/node.js:496:27)
Install for electron-builder@latest failed with code 7
F:\cloud_drive\Dropbox\articles\elec_net\kestrel_razor_sample\ConsoleApp1\obj\desktop\win-x64>
... done

npm ERR! code ENOLOCAL
npm ERR! Could not install from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as it does not contain a package.json file.
npm ER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npm ERR!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logs\2021-01-27T05_21_25_321Z-debug.log
Install for electron-builder@latest failed with code 1

출력에 나온 log 파일을 보면 node.exe에 전달된 경로가 이렇게 해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info it worked if it ends with ok
1 verbose cli [ 'C:\\Program Files\\nodejs\\node.exe',
1 verbose cli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bin\\npm-cli.js',
1 verbose cli   'install',
1 verbose cli   'electron-builder@latest',
1 verbose cli   '--global',
1 verbose cli   '--prefix',
1 verbose cli   'C:\\Users\\Default',
1 verbose cli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1 verbose cli   '--loglevel',
1 verbose cli   'error',
1 verbose cli   '--json' ]
...[생략]...

원인을 유추해 보면, 저 경로는 "%APPDATA%" 경로에 포함된 공백이 명령행 인자에서 2개로 나눠져 인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려면 저렇게 실행하는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가령 node.exe를 실행할 때 전달하는 %APPDATA%에 대한 경로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인용 부호로 묶어 전달해야 합니다.

c:\temp> node.exe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생략]...

따라서 이러한 버그를 수정해 달라는 이슈를 생성하거나, 아니면 직접 소스 코드를 고쳐 빌드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한 가지 다행이라면, 이렇게 경로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8.3 형식의 경로를 사용해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11

가령, 이런 경우 electronize는 내부에서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21340"라는 경로를 아마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했을 것입니다.

string path = GetEnvrionmentVairable("APPDATA"); //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
string arg1 = path + "\npm-cache\_npx\16672";

따라서 환경 변수로 설정된 LOCALAPPDATA나, APPDATA에 대해 같은 경로로 대우받는 8.3 형식으로 명시하면 됩니다.

SET LOCALAPPDATA=C:\Users\DEFAULT~1\AppData\Local
SET APPDATA=C:\Users\DEFAULT~1\AppData\Roaming

이때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Default User"의 8.3 이름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 dir /X "%USERPROFILE%\.."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C02C-196F

 Directory of C:\Users

2021-01-27  오후 02:33    <DIR>                       .
2021-01-27  오후 02:33    <DIR>                       ..
2020-12-24  오후 08:17    <DIR>          DEFAUL~1     Default User
2021-01-22  오후 07:42    <DIR>          MSSQLS~1     MSSQLSERVER
2020-12-03  오전 11:02    <DIR>          RDVGRA~1     RDV GRAPHICS SERVICE
2021-01-22  오후 07:42    <DIR>          SQLTEL~1     SQLTELEMETRY
               0 File(s)              0 bytes
               6 Dir(s)  50,487,128,064 bytes free

명령행에서 이렇게 설정하고 다시 문제가 되었던 빌드 명령을 수행하면,

c:\temp> SET LOCALAPPDATA=C:\Users\DEFAULT~1\AppData\Local
c:\temp> SET APPDATA=C:\Users\DEFAULT~1\AppData\Roaming

c:\temp> electronize build /target win-x64 /PublishReadyToRun false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5-31 02시56분
How do I change the directory Windows uses for user profil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81210-00/?p=19893

How do I change the directory Windows uses for user profiles? revisited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530-00/?p=108262

ProfilesDirectory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customize/desktop/unattend/microsoft-windows-shell-setup-folderlocations-profilesdirectory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SYSTEMDRIVE%\Users" 디렉터리 위치를 바꾸는 것은 테스트 목적으로만 사용하라고 합니다. 이 경로가 바뀐 경우, 스토어 앱이 오동작할 수 있다고.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93정성태2/27/20252234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2993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510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336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071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499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083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2577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3238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527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285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2588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2839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3181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3423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3199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3252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3712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3143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3569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2984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2894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3297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3738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3467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3119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