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예를 들어, 윈도우의 사용자 이름이 "Default User"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USERPROFILE%이나 %LOCALAPPDATA%, %APPDATA% 등의 경로에 공백이 포함됩니다.

C:\temp> echo %USERPROFILE%
C:\Users\Default User

C:\temp> echo %LOCALAPPDATA%
C:\Users\Default User\AppData\Local

C:\temp> echo %APPDATA%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

이 상태에서 electronize로 빌드 시,

electronize build /target win-x64 /PublishReadyToRun false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하는데,

Error: EEXIST: file already exists, mkdir 'C:\Users\Defaul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oaded' of undefined
    at exi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27)
    at errorHandler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216:3)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bin\npm-cli.js:77:20
    at cb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npm.js:225:22)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npm.js:263:24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83:7
    at Array.forEach (<anonymous>)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82:13
    at f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node_modules\once\once.js:25:25)
    at afterExtras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173:20)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
  var doExit = npm.config.loaded ? npm.config.get('_exit') : true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oaded' of undefined
    at exi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27)
    at process.errorHandler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216:3)
    at process.emit (events.js:198:13)
    at process._fatalException (internal/bootstrap/node.js:496:27)
Install for electron-builder@latest failed with code 7
F:\cloud_drive\Dropbox\articles\elec_net\kestrel_razor_sample\ConsoleApp1\obj\desktop\win-x64>
... done

npm ERR! code ENOLOCAL
npm ERR! Could not install from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as it does not contain a package.json file.
npm ER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npm ERR!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logs\2021-01-27T05_21_25_321Z-debug.log
Install for electron-builder@latest failed with code 1

출력에 나온 log 파일을 보면 node.exe에 전달된 경로가 이렇게 해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info it worked if it ends with ok
1 verbose cli [ 'C:\\Program Files\\nodejs\\node.exe',
1 verbose cli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bin\\npm-cli.js',
1 verbose cli   'install',
1 verbose cli   'electron-builder@latest',
1 verbose cli   '--global',
1 verbose cli   '--prefix',
1 verbose cli   'C:\\Users\\Default',
1 verbose cli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1 verbose cli   '--loglevel',
1 verbose cli   'error',
1 verbose cli   '--json' ]
...[생략]...

원인을 유추해 보면, 저 경로는 "%APPDATA%" 경로에 포함된 공백이 명령행 인자에서 2개로 나눠져 인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려면 저렇게 실행하는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가령 node.exe를 실행할 때 전달하는 %APPDATA%에 대한 경로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인용 부호로 묶어 전달해야 합니다.

c:\temp> node.exe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생략]...

따라서 이러한 버그를 수정해 달라는 이슈를 생성하거나, 아니면 직접 소스 코드를 고쳐 빌드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한 가지 다행이라면, 이렇게 경로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8.3 형식의 경로를 사용해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11

가령, 이런 경우 electronize는 내부에서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21340"라는 경로를 아마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했을 것입니다.

string path = GetEnvrionmentVairable("APPDATA"); //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
string arg1 = path + "\npm-cache\_npx\16672";

따라서 환경 변수로 설정된 LOCALAPPDATA나, APPDATA에 대해 같은 경로로 대우받는 8.3 형식으로 명시하면 됩니다.

SET LOCALAPPDATA=C:\Users\DEFAULT~1\AppData\Local
SET APPDATA=C:\Users\DEFAULT~1\AppData\Roaming

이때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Default User"의 8.3 이름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 dir /X "%USERPROFILE%\.."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C02C-196F

 Directory of C:\Users

2021-01-27  오후 02:33    <DIR>                       .
2021-01-27  오후 02:33    <DIR>                       ..
2020-12-24  오후 08:17    <DIR>          DEFAUL~1     Default User
2021-01-22  오후 07:42    <DIR>          MSSQLS~1     MSSQLSERVER
2020-12-03  오전 11:02    <DIR>          RDVGRA~1     RDV GRAPHICS SERVICE
2021-01-22  오후 07:42    <DIR>          SQLTEL~1     SQLTELEMETRY
               0 File(s)              0 bytes
               6 Dir(s)  50,487,128,064 bytes free

명령행에서 이렇게 설정하고 다시 문제가 되었던 빌드 명령을 수행하면,

c:\temp> SET LOCALAPPDATA=C:\Users\DEFAULT~1\AppData\Local
c:\temp> SET APPDATA=C:\Users\DEFAULT~1\AppData\Roaming

c:\temp> electronize build /target win-x64 /PublishReadyToRun false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5-31 02시56분
How do I change the directory Windows uses for user profil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81210-00/?p=19893

How do I change the directory Windows uses for user profiles? revisited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530-00/?p=108262

ProfilesDirectory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customize/desktop/unattend/microsoft-windows-shell-setup-folderlocations-profilesdirectory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SYSTEMDRIVE%\Users" 디렉터리 위치를 바꾸는 것은 테스트 목적으로만 사용하라고 합니다. 이 경로가 바뀐 경우, 스토어 앱이 오동작할 수 있다고.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14정성태8/2/202217299.NET Framework: 2039. C# - Task와 비교해 본 ValueTask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113정성태7/31/202216821.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13112정성태7/30/202217672.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1]파일 다운로드1
13111정성태7/29/202217080.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파일 다운로드1
13110정성태7/27/202216804.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파일 다운로드1
13109정성태7/27/202218317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
13108정성태7/26/202215725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14549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3106정성태7/24/202214129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16565.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20275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15596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15468.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13101정성태7/15/202228611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13100정성태7/15/202217286.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13099정성태7/14/202216765.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3098정성태7/13/202214416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1]
13097정성태7/12/202213479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13096정성태7/8/202217119.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13095정성태7/7/202214559Windows: 208. AD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13094정성태7/6/202214235오류 유형: 816. Golang - "short write" 오류 원인
13093정성태7/5/202214995.NET Framework: 2029. C# - HttpWebRequest로 localhost 접속 시 2초 이상 지연
13092정성태7/3/202216621.NET Framework: 2028. C# - HttpWebRequest의 POST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091정성태7/3/202215202.NET Framework: 2027. C# -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는 서버 소켓 생성 방법
13090정성태6/29/202214397오류 유형: 815. PyPI에 업로드한 패키지가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3089정성태6/28/202215079개발 환경 구성: 646. HOSTS 파일 변경 시 Edge 브라우저에 반영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