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예를 들어, 윈도우의 사용자 이름이 "Default User"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USERPROFILE%이나 %LOCALAPPDATA%, %APPDATA% 등의 경로에 공백이 포함됩니다.

C:\temp> echo %USERPROFILE%
C:\Users\Default User

C:\temp> echo %LOCALAPPDATA%
C:\Users\Default User\AppData\Local

C:\temp> echo %APPDATA%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

이 상태에서 electronize로 빌드 시,

electronize build /target win-x64 /PublishReadyToRun false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하는데,

Error: EEXIST: file already exists, mkdir 'C:\Users\Defaul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oaded' of undefined
    at exi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27)
    at errorHandler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216:3)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bin\npm-cli.js:77:20
    at cb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npm.js:225:22)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npm.js:263:24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83:7
    at Array.forEach (<anonymous>)
    a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82:13
    at f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node_modules\once\once.js:25:25)
    at afterExtras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config\core.js:173:20)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
  var doExit = npm.config.loaded ? npm.config.get('_exit') : true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oaded' of undefined
    at exit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98:27)
    at process.errorHandler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lib\utils\error-handler.js:216:3)
    at process.emit (events.js:198:13)
    at process._fatalException (internal/bootstrap/node.js:496:27)
Install for electron-builder@latest failed with code 7
F:\cloud_drive\Dropbox\articles\elec_net\kestrel_razor_sample\ConsoleApp1\obj\desktop\win-x64>
... done

npm ERR! code ENOLOCAL
npm ERR! Could not install from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as it does not contain a package.json file.
npm ER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npm ERR!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logs\2021-01-27T05_21_25_321Z-debug.log
Install for electron-builder@latest failed with code 1

출력에 나온 log 파일을 보면 node.exe에 전달된 경로가 이렇게 해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info it worked if it ends with ok
1 verbose cli [ 'C:\\Program Files\\nodejs\\node.exe',
1 verbose cli   'C:\\Program Files\\nodejs\\node_modules\\npm\\bin\\npm-cli.js',
1 verbose cli   'install',
1 verbose cli   'electron-builder@latest',
1 verbose cli   '--global',
1 verbose cli   '--prefix',
1 verbose cli   'C:\\Users\\Default',
1 verbose cli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1 verbose cli   '--loglevel',
1 verbose cli   'error',
1 verbose cli   '--json' ]
...[생략]...

원인을 유추해 보면, 저 경로는 "%APPDATA%" 경로에 포함된 공백이 명령행 인자에서 2개로 나눠져 인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려면 저렇게 실행하는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가령 node.exe를 실행할 때 전달하는 %APPDATA%에 대한 경로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인용 부호로 묶어 전달해야 합니다.

c:\temp> node.exe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16672" ...[생략]...

따라서 이러한 버그를 수정해 달라는 이슈를 생성하거나, 아니면 직접 소스 코드를 고쳐 빌드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한 가지 다행이라면, 이렇게 경로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8.3 형식의 경로를 사용해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11

가령, 이런 경우 electronize는 내부에서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npm-cache\_npx\21340"라는 경로를 아마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했을 것입니다.

string path = GetEnvrionmentVairable("APPDATA"); // C:\Users\Default User\AppData\Roaming
string arg1 = path + "\npm-cache\_npx\16672";

따라서 환경 변수로 설정된 LOCALAPPDATA나, APPDATA에 대해 같은 경로로 대우받는 8.3 형식으로 명시하면 됩니다.

SET LOCALAPPDATA=C:\Users\DEFAULT~1\AppData\Local
SET APPDATA=C:\Users\DEFAULT~1\AppData\Roaming

이때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Default User"의 8.3 이름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 dir /X "%USERPROFILE%\.."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C02C-196F

 Directory of C:\Users

2021-01-27  오후 02:33    <DIR>                       .
2021-01-27  오후 02:33    <DIR>                       ..
2020-12-24  오후 08:17    <DIR>          DEFAUL~1     Default User
2021-01-22  오후 07:42    <DIR>          MSSQLS~1     MSSQLSERVER
2020-12-03  오전 11:02    <DIR>          RDVGRA~1     RDV GRAPHICS SERVICE
2021-01-22  오후 07:42    <DIR>          SQLTEL~1     SQLTELEMETRY
               0 File(s)              0 bytes
               6 Dir(s)  50,487,128,064 bytes free

명령행에서 이렇게 설정하고 다시 문제가 되었던 빌드 명령을 수행하면,

c:\temp> SET LOCALAPPDATA=C:\Users\DEFAULT~1\AppData\Local
c:\temp> SET APPDATA=C:\Users\DEFAULT~1\AppData\Roaming

c:\temp> electronize build /target win-x64 /PublishReadyToRun false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5-31 02시56분
How do I change the directory Windows uses for user profil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81210-00/?p=19893

How do I change the directory Windows uses for user profiles? revisited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530-00/?p=108262

ProfilesDirectory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customize/desktop/unattend/microsoft-windows-shell-setup-folderlocations-profilesdirectory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SYSTEMDRIVE%\Users" 디렉터리 위치를 바꾸는 것은 테스트 목적으로만 사용하라고 합니다. 이 경로가 바뀐 경우, 스토어 앱이 오동작할 수 있다고.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62정성태6/27/201918331Math: 6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61정성태6/27/201917893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9005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11959정성태6/27/201920151Graphics: 35. matplotlib와 PLplot의 한글 처리
11958정성태6/25/201924690Linux: 18. C# - .NET Core Console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6]
11957정성태6/24/201923010Windows: 160. WMI 쿼리를 명령행에서 간단하게 수행하는 wmic.exe [2]
11956정성태6/24/201921559Linux: 17.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1]
11955정성태6/20/201919826Math: 60.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54정성태6/20/201918567오류 유형: 550. scp - sudo: no tty present and no askpass program specified
11953정성태6/20/201916796오류 유형: 549. The library 'libhostpolicy.so' requi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was not found in '...'
11952정성태6/20/201917494Linux: 16. 우분투, Centos의 Netbios 호스트 이름 풀이 방법
11951정성태6/20/201920645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0871.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16201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18613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0344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1344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19113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25460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18688.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4895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7588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7854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16593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19169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25482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