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22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지난 글에서,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4) - ReuseUnicastPort를 이용한 포트 고갈 문제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435

AutoReusePortRangeStartPort / AutoReusePortRangeNumberOfPorts 값을 어떤 NetTcpSetting에서 바꿔야 할지 몰라 전체를 다 변경했었는데요. 보니까, netsh로 알아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령, 제 컴퓨터(Windows 10)에서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확인됩니다.

c:\temp> netsh interface tcp show supplemental

The TCP global default template is internet

TCP Supplemental Parameters
----------------------------------------------
Minimum RTO (msec)                  : 300
...[생략]...

Please use the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ports' and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subnets' commands to view active filters.

c:\temp> netsh interface tcp show supplemental help

Usage: show supplemental [[template=]automatic|datacenter|internet|compat|custom]

       template  - One of the following values:
                   datacenter, automatic, compat, internet, internetcustom, datacentercustom.

Remarks: Shows TCP supplemental parameters that affect filtered connections.
         When no parameters are specified, the TCP default global template
         is shown. If the template= parameter is specified then the specified
         template is shown.

그렇습니다. InternetCustom, DatacenterCustom, Internet, Datacenter 중에 제 컴퓨터에서는 Internet 설정으로 맞춰져 있는 것입니다. 테스트를 위해 Azure에 생성해 둔 VM(Windows Server 2016)에서도 확인을 해보니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c:\temp> netsh interface tcp show supplemental

The TCP global default template is automatic


Automatic mode picks between Internet and Datacenter templates based on
TCP connection parameters.

Please use the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ports' and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subnets' commands to view active filters.

아하... 그러니까 RTT 상황에 따라 Internet과 Datacenter 설정을 자동으로 선택해 준다는 것입니다.




프로그래밍을 염두에 둔다면 netsh 명령어의 출력에 의존할 수는 없습니다. 다른 방법이 없을까 싶어 찾아봤더니 다음의 글에 PowerShell을 이용한 방법이 나옵니다.

How does Windows decide which setting/template (Internet vs Datacenter) is applied to TCP connection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4619815/how-does-windows-decide-which-setting-template-internet-vs-datacenter-is-appli

Get-NetTransportFilter 명령어를 제가 실습했던 Windows 10, Windows Server 2016에 대해 각각 실행해 보니 netsh의 출력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Windows 10

PS C:\Users\testusr> Get-NetTransportFilter

SettingName       : Internet
Protocol          : TCP
LocalPortStart    : 0
LocalPortEnd      : 65535
RemotePortStart   : 0
RemotePortEnd     : 65535
DestinationPrefix : *

// Window Server 2016

PS C:\Users\testusr> Get-NetTransportFilter

SettingName       : Automatic
...[생략]...




당연히 이 값을 바꾸는 것도 가능할 텐데요, 이에 대한 것도 다음의 글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Set-NetTCPSetting still incomplete code in windows 10?
; https://www.neowin.net/forum/topic/1271672-set-nettcpsetting-still-incomplete-code-in-windows-10/

그래서 netsh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Server 2016

C:\Users\testusr> netsh int tcp set supplemental template=Internet
Ok.

C:\Users\testusr> netsh interface tcp show supplemental

The TCP global default template is internet

TCP Supplemental Parameters
----------------------------------------------
...[생략]...
Please use the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ports' and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subnets' commands to view active filters.

C:\Users\testusr> netsh int tcp set supplemental template=automatic
Ok.

C:\Users\testusr> netsh interface tcp show supplemental

The TCP global default template is automatic

Automatic mode picks between Internet and Datacenter templates based on
TCP connection parameters.

Please use the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ports' and
'netsh int tcp show supplementalsubnets' commands to view active filters.

하지만 아쉽게도 클라이언트 운영체제에서는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Users\testusr> netsh int tcp set supplemental template=automatic

Set supplemental command failed to set the global default template. The parameter is incorrect.

이런저런 면을 고려했을 때, 어쩌면 그냥 전체적으로 일괄 적용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87정성태11/29/201821824Graphics: 33.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9), (10) - OBJ File Format, Loading 3D Models파일 다운로드1
11786정성태11/29/201818771오류 유형: 505. OpenGL.NET 예제 실행 시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 발생
11785정성태11/21/201821048디버깅 기술: 120. windbg 분석 사례 - ODP.NET 사용 시 Finalizer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으로 인한 비정상 종료
11784정성태11/18/201820289Graphics: 32.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7), (8) - Matrices and Uniform Variables, Model, View & Projection Matrices파일 다운로드1
11783정성태11/18/201818503오류 유형: 504.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가 설치된 컴퓨터 간의 ping IP 주소 풀이 오류
11782정성태11/18/201817583Windows: 152.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
11781정성태11/17/201820960개발 환경 구성: 422. SFML.NET 라이브러리 설정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80정성태11/17/201821961오류 유형: 503. vcpkg install bzip2 빌드 에러 - "Error: Building package bzip2:x86-windows failed with: BUILD_FAILED"
11779정성태11/17/201822861개발 환경 구성: 421. vcpkg 업데이트 [1]
11778정성태11/14/201820183.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
11777정성태11/13/201820677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18726.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20483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18963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18601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20522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19541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11770정성태11/5/201828013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파일 다운로드1
11769정성태11/5/201818893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
11768정성태11/2/201819386.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11767정성태11/1/201820283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66정성태10/31/201822412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11765정성태10/26/201819258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
11764정성태10/26/201824167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
11763정성태10/25/201821130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
11762정성태10/25/201821547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