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2527

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2528

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 https://www.sysnet.pe.kr/2/0/12529

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 https://www.sysnet.pe.kr/2/0/12530

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 https://www.sysnet.pe.kr/2/0/12532

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
; https://www.sysnet.pe.kr/2/0/12533

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 https://www.sysnet.pe.kr/2/0/12534

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

지난 글에서 살펴 본,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521


MSS를 실제 C# Socket과 Wireshark를 통해 ^^ 확인해 보겠습니다. C# 소스 코드는 테스트 용도이므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서버 - Oracle Cloud VM Ubuntu 20.04
using System;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cket server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erver.Bind(new IPEndPoint(IPAddress.Any, 15000));
        server.Listen(5);

        while (true)
        {
            Console.WriteLine("Accepting...");
            Socket client = server.Accept();

            do
            {
                string text = Console.ReadLine();

                if (string.IsNullOrEmpty(text) == true)
                {
                    break;
                }

                int readLen = int.Parse(text);
                byte[] buf = new byte[readLen];
                readLen = client.Receive(buf, 0, buf.Length, SocketFlags.None);
                Console.WriteLine($"read: {readLen}");
            } while (true);

            client.Close();
        }
    }
}

// 클라이언트 - 물리 머신 Ubuntu 20.04
using System;
using System.Net.Sockets;

unsafe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ocket clien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client.Connect("...serverip...", 15000);

            while (true)
            {
                string text = Console.ReadLine();

                if (string.IsNullOrEmpty(text) == true)
                {
                    break;
                }

                int sendSize = int.Parse(text);
                byte[] buffer = new byte[sendSize];

                client.Send(buffer, 0, buffer.Length, SocketFlags.None);
            }

            client.Close();
        }
    }
}

하는 일은 매우 간단합니다. 서버는 연결 하나를 받지만 recv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지정할 때까지 호출하지 않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 측도 마찬가지로 연결만 해두고 이후 send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지정할 때까지 호출하지 않습니다.

이제 서버를 띄워놓고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할 때 Wireshark로 패킷을 캡처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client_ip...	...svr_ip... TCP 74 32912 → 15000 [SYN] Seq=0 Win=64240 Len=0 MSS=1460 SACK_PERM=1 TSval=3363140511 TSecr=0 WS=128
...svr_ip... ...client_ip..  TCP 74 15000 → 32912 [SYN, ACK] Seq=0 Ack=1 Win=62636 Len=0 MSS=8960 SACK_PERM=1 TSval=1612454569 TSecr=3363140511 WS=128
...client_ip...	...svr_ip... TCP 66 32912 → 15000 [ACK] Seq=1 Ack=1 Win=64256 Len=0 TSval=3363140514 TSecr=1612454569

보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송할 때는 MSS=1460이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보낼 때는 8960이라고 나옵니다. 이전에 설명했듯이, 1460은 일반적인 설정의 MSS 값이고, 8960은 Jumbo Frame이 설정된 환경의 값입니다.

어쨌든, 클라이언트는 1460을, 서버는 8960을 보냈으므로,

TCP/IP performance tuning for Azure VMs
; 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virtual-network/virtual-network-tcpip-performance-tuning

This setting is agreed to in the TCP three-way handshake when a TCP session is set up between a source and a destination. Both sides send an MSS value, and the lower of the two is used for the TCP connection.


둘 중의 작은 값인 1460이 해당 TCP 통신에서의 MSS 값이 됩니다.




자, 그럼 이제 소스 코드에 작성한 대로 임의의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 볼 텐데요, 우선 협의된 MSS 값보다 1이 큰 데이터를 서버로 보냈을 때의 Wireshark 캡처는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client_ip... ...serverip... TCP 1514    32912 → 15000 [ACK] Seq=1 Ack=1 Win=64256 Len=1448 TSval=3445313658 TSecr=1693752398
..client_ip... ...serverip... TCP 79  32912 → 15000 [PSH, ACK] Seq=1449 Ack=1 Win=64256 Len=13 TSval=3445313658 TSecr=1693752398
...serverip... ..client_ip... TCP 66  15000 → 32912 [ACK] Seq=1 Ack=1462 Win=61184 Len=0 TSval=1694627715 TSecr=3445313658

예상했던 것처럼 2개의 패킷이 서버로 전송되긴 했지만, 크기가 1460이 아닌, 1448로 나와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그 이유는 TCP 헤더가 20바이트가 아닌, TSval, TSecr 정보에 해당하는 12 바이트를 더 점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저 상황에서의 TCP 데이터를 보면,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rc Port: 15000, Dst Port: 33544, Seq: 1, Ack: 1462, Len: 0
    Source Port: 15000
    Destination Port: 33544
    [Stream index: 3]
    [TCP Segment Len: 0]
    Sequence number: 1    (relative sequence number)
    Sequence number (raw): 2415159352
    [Next sequence number: 1    (relative sequence number)]
    Acknowledgment number: 1462    (relative ack number)
    Acknowledgment number (raw): 2123235886
    1000 .... = Header Length: 32 bytes (8)
    Flags: 0x010 (ACK)
    Window size value: 478
    [Calculated window size: 61184]
    [Window size scaling factor: 128]
    Checksum: 0x5672 [unverified]
    [Checksum Status: Unverified]
    Urgent pointer: 0
    Options: (12 bytes), No-Operation (NOP), No-Operation (NOP), Timestamps
        TCP Option - No-Operation (NOP)
            Kind: No-Operation (1)
        TCP Option - No-Operation (NOP)
            Kind: No-Operation (1)
        TCP Option - Timestamps: TSval 1694627715, TSecr 3445313658
            Kind: Time Stamp Option (8)
            Length: 10
            Timestamp value: 1694627715
            Timestamp echo reply: 3445313658
    [SEQ/ACK analysis]
        [This is an ACK to the segment in frame: 49156]
        [The RTT to ACK the segment was: 0.003061175 seconds]
        [iRTT: 0.003105376 seconds]
    [Timestamps]

헤더 크기가 32로 나옵니다. 따라서, IP MTU(1500) - IPHeader(20) - TCPHeader(32) = 1448이 TCP 데이터로 보낼 수 있는 최대 크기가 됩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에서 1448을 보내도록 다시 테스트를 해보면,

..client_ip...    ...serverip...  TCP 1514    33544 → 15000 [PSH, ACK] Seq=1462 Ack=1 Win=64256 Len=1448 TSval=3445823525 TSecr=1694627715
...serverip...  ..client_ip...    TCP 66  15000 → 33544 [ACK] Seq=1 Ack=2910 Win=59776 Len=0 TSval=1695137582 TSecr=3445823525

정확히 1개의 전송 패킷과, 1개의 ACK 패킷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일 패킷 전송/ACK인 경우 전송 측의 Seq=1462와 Ack 패킷의 Ack=2910의 번호 차이도 1,448만큼 나오는 것이 우연은 아닙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93정성태2/27/20252197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2946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489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304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022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469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056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2563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3217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487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241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2564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2815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3155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3374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3169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3222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3675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3123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3525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2954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2867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3280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3718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3444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3096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