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541

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 https://www.sysnet.pe.kr/2/0/12546

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48

개발 환경 구성: 547.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52

개발 환경 구성: 623. Visual Studio 2022 빌드 환경을 위한 github Actions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2904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지난 글에 이어,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48

이번에는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에 패키지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위한 action과,

VsixPublisher Github Action
; https://github.com/marketplace/actions/vsix-publisher

자세한 사용법을 이미 웹 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Github Actions for Visual Studio Extension developers
; https://cezarypiatek.github.io/post/develop-vsextension-with-github-actions/#how-to-publish-extension-to-the-marketplace

마켓플레이스 등록을 위해 당연히 PAT(Personal Access Token)가 필요한데 https://dev.azure.com을 들어가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이 토큰을 구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s://code.visualstudio.com/api/working-with-extensions/publishing-extension]
vs_pat_token_1.png

해당 토큰의 Expiration은 기본값이 30일인데, 최대 1년까지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편의상 변경해주고 권한은 "Marketplace"의 "Manage"를 설정해 줍니다. (처음 출력되는 기본 Scope 목록에는 "Marketplace"가 없으므로 하단의 "Show all scopes" 링크를 눌러야 합니다.)

vs_pat_token_2.png

이렇게 해서 생성한 token 값을 github repo의 Settings를 통해 "Encrypted secrets"에 등록해 줍니다. (여기서는 VSGALLERY_API_KEY 이름으로 등록했다고 가정합니다.)

자, 그럼 끝났군요. ^^ 다음과 같은 action 스크립트만 yml에 추가하는 것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 name: Publish extension to Marketplace
  uses: cezarypiatek/VsixPublisherAction@0.2
  with:
    extension-file: ./XmlCodeGenerator/bin/${{env.BUILD_CONFIGURATION}}/XmlCodeGenerator.vsix
    publish-manifest-file: ./XmlCodeGenerator/publishManifest.json
    personal-access-code: ${{ secrets.VSGALLERY_API_KEY }}        

만약 기존에 vsix 파일을 marketplace.visualstudio.com을 이용해 수동으로 직접 등록했다면 아마도 publishManifest.json 파일을 한 번도 작성한 적이 없을 것입니다. 제 경우에는 대충 아래의 문서에 따라,

publishManifest file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extensibility/walkthrough-publishing-a-visual-studio-extension-via-command-line?view=vs-2019#publishmanifest-file

다음과 같이 작성했습니다.

{
    "$schema": "http://json.schemastore.org/vsix-publish",
    "categories": [
        "coding"
    ],
    "identity": {
        "internalName": "XmlCodeGenerator"
    },
    "overview": "overview.md",
    "priceCategory": "free",
    "publisher": "SeongTaeJeong",
    "private": false,
    "qna": true,
    "repo": "https://github.com/stjeong/XmlCodeGenerator"
}

아무튼, 이렇게까지 준비를 마쳤으면 정상적으로 vsix가 등록될 것입니다. 실제 사용 예를 다음의 yml 파일에 적용했으니 참고하시고,

XmlCodeGenerator/.github/workflows/git-releases.yml
; https://github.com/stjeong/XmlCodeGenerator/blob/master/.github/workflows/git-releases.yml

이 와중에 경험한 오류 유형도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 https://www.sysnet.pe.kr/2/0/12549




유의할 점이 하나 있다면, Personal Access Token의 만료가 (최대) 1년 단위이기 때문에 매해 secrets.VSGALLERY_API_KEY를 갱신시켜줘야 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nuget api key와는 달리 Azure Devops의 PAT는 날짜 만료를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료로 인해 secrets.VSGALLERY_API_KEY까지 업데이트하기 보다는 PAT 관리 화면에서 해당 키를 "Edit" 화면으로 들어가 미리 만료 기간을 뒤로 미루는 식으로 편집해 두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물론, 이런 것은 보안 정책 상 권장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습니다.)

또한, nuget 패키지 등록과는 달리 cezarypiatek/VsixPublisherAction은 이미 같은 버전의 패키지가 marketplace.visualstudio.com에 등록되어 있다면 기존 버전을 엎어서 등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는 점!




참고로, "VS Code" 확장을 배포하는 action도 있습니다.

Publish VS Code Extension ? GitHub Action
; https://github.com/marketplace/actions/publish-vs-code-extension

이것을 사용해 "Visual Studio" 확장을 배포하려고 시도하면,

- name: Publish to Visual Studio Marketplace
  uses: HaaLeo/publish-vscode-extension@v0
  with:
    pat: ${{ secrets.VSGALLERY_API_KEY }}
    registryUrl: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
    extensionFile: ./XmlCodeGenerator/bin/${{env.BUILD_CONFIGURATION}}/XmlCodeGenerator.vsix
    packagePath: ''

manifest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Run HaaLeo/publish-vscode-extension@v0
  with:
    pat: ***
    registryUrl: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
    extensionFile: ./XmlCodeGenerator/bin/Release/XmlCodeGenerator.vsix
    yarn: false
    dryRun: false
  env:
    SOLUTION_FILE_PATH: .
    BUILD_CONFIGURATION: Release
Specifically, running GitHub Action HaaLeo/publish-vscode-extension@v0.3.1.
Package the Extension
  The extension was already packaged. Skip packaging.
Publish the Extension
Error: Error: Manifest not found
    at ZipFile.onEnd (D:\a\_actions\HaaLeo\publish-vscode-extension\v0\dist\index.js:73671:35)
    at Object.onceWrapper (events.js:299:28)
    at ZipFile.emit (events.js:210:5)
    at Immediate.<anonymous> (D:\a\_actions\HaaLeo\publish-vscode-extension\v0\dist\index.js:6726:12)
    at processImmediate (internal/timers.js:439:21)

왜냐하면, VSCode 확장의 manifest 파일은 package.json이고 Visual Studio 확장의 manifest 파일은 (스키마도 약간 다른) publishManifest.json이기 때문에 저런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해본 것은 아니지만, 아마도 package.json을 따로 만들어 준다 해도 VSCode와 Visual Studio는 갤러리 차원에서 구분이 될 것이므로 publish-vscode-extension action을 사용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17정성태4/30/202565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472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1685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4정성태4/11/20251987디버깅 기술: 220. windbg 분석 사례 - x86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4)
13913정성태4/10/20251215오류 유형: 950. Process Explorer -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뜰 때 "Error writing dump file: Access is denied." 오류
13912정성태4/9/2025874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11정성태4/8/20251116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3910정성태4/8/20251266디버깅 기술: 219. WinDbg - 명령어 내에서 환경 변수 사용법
13909정성태4/7/20251775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184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7정성태3/29/20251995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2270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2308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1916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1536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1748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2138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2362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3899정성태3/7/20251834스크립트: 71. 파이썬 - asyncio의 ContextVar 전달
13898정성태3/5/20252158오류 유형: 948.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13897정성태3/5/20252387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6정성태3/5/20252204Windows: 279.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13895정성태3/4/20252248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13894정성태2/28/20252287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13893정성태2/27/20252225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