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12.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59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네이티브에서는 CreateThread Win32 API로 얻은 HANDLE 개체를 이용해서 스레드를 제어할 수 있고, 닷넷에서는 그와 같은 역할을 System.Threading.Thread 타입을 이용해서 할 수 있습니다.

CreateThread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createthread

Thread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threading.thread

* 대부분의 닷넷 타입들이 static 메서드에 대해서만 "Thread Safety"한데, 
  Thread 타입의 경우 드물게 인스턴스 메서드에 대해서도 "Thread Safety"한 특징이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번 글에서 Thread 인스턴스에서는 Native Thread Id를 구해오는 것조차 쉽지 않음을 보여드렸는데요.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스레드의 Naitve/Managed 상태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NET에서 다른 스레드의 콜 스택 덤프"를 뜨는 방법을 찾는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1) - 다른 스레드의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02

그리고, 위의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그다음 글에서 언급을 했었는데요.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

bool suspend = false;
if ((new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uspended) != System.Threading.ThreadState.Suspended)
{
    newThread.Suspend();
    suspend = true;
}

DoCallStack();

if (suspend == true)
{
    newThread.Resume();
}

if 문을 실행했을 때와 Suspend를 실행한 시점이 하나의 동기화 단위로 묶이지 않기 때문에 상태가 엇갈릴 수 있음을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글은, 위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Native 스레드를 건드리면서 알게 된 정보를 공유해 보는 것입니다.




아실 지 모르지만, Win32 API에서의 Resume/Suspend 메서드는 호출 횟수가 카운팅이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esumeThread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resumethread

SuspendThread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suspendthread

즉, SuspendThread를 2번 호출했으면 ResumeThread를 2번 호출해주어야만 정상적으로 스레드가 Running 상태로 복귀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 그렇다면 닷넷 스레드 타입에서 Suspend/Resume를 해줄 것이 아니라 Native 차원에서 해주면 혹시 '동기화 단위'로 묶이지 않은 것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 이것은 완전히 빗나간 예측입니다. 닷넷은, CLR 위에서 돌아가는 것이니만큼 너무나 추상화를 잘해주어서 Managed 차원에서의 Suspend/Resume은 Native 차원에서의 Suspend/Resume과 완전히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간략하게 예제 코드로 테스트 해볼까요? ^^

우선, 이전 글에서 사용한 방법을 통해서 다른 스레드의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bool net45 = false;
Type type = Type.GetType("System.Reflection.ReflectionContext");
if (type != null)
{
    net45 = true;
}

Thread newThread = new Thread(Run);
newThread.Start();

FieldInfo fieldInfo = typeof(Thread).GetField("DONT_USE_InternalThread",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ntPtr objValue = (IntPtr)fieldInfo.GetValue(newThread);

// .NET 4.0에서는 offset 값이 16이었지만, .NET 4.5를 설치하면 15로 바뀜.
IntPtr teb = new IntPtr(Marshal.ReadInt32(objValue, ((net45 == true) ? 15 : 16) * 4));
int clientTid = Marshal.ReadInt32(teb, 0x6b8);

세상에나... 지난번에도 말씀드렸지만 offset 값을 쓰는 것이 저렇게 위험하답니다. ^^ (.NET 4.5에서는 옵셋값이 60바이트 위치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un 메서드는 다음과 같이 일단 무한 루프를 돌도록 만들었습니다.

static void Run()
{
    int idx = 0;
    while (true)
    {
        Interlocked.Increment(ref idx); // 동기화가 필요없지만... 그냥!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idx);
    }
}

자, 이제 스레드 상태를 알 수 있는 함수를 작성해야 하는데요. 우선, Managed 개체에서는 단순히 Thread.ThreadState 속성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해결이 되지만, Native 스레드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native thread id를 단서로 알아내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ivate static void CheckThreadState(int clientTid)
{
    foreach (ProcessThread thread in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
    {
        if (thread.Id == clientTid)
        {
            Console.WriteLine("[" + clientTid + " thread] : " + thread.ThreadState);
            break;
        }
    }
}

준비는 끝났고, 이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CheckThreadState(clientTid); 코드를 이용해서 상태를 확인하면 Native 스레드는 "Running"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SusnepdThread 2번에 ResumeThread 한 번을 호출하고 스레드 상태를 확인해 볼까요? ^^

threadHandle = OpenThread(ThreadAccess.SUSPEND_RESUME, false, (uint)clientTid);
if (threadHandle == IntPtr.Zero)
{
    break;
}

CheckThreadState(clientTid); // Running

SuspendThread(threadHandle); SuspendThread(threadHandle);
ResumeThread(threadHandle);

CheckThreadState(clientTid); // Wait

아하... Wait 상태인 것으로 봐서 Suspend/Resume 짝이 맞아야 한다는 것을 테스트로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ResumeThread를 한번 더 호출해 주고 CheckThreadState로 확인하면 Running으로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 상태에서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를 함께 출력해 볼까요?

Console.Write("System.Threading.Thread.ThreadState == " + newThread.ThreadState + ", "); // Running
CheckThreadState(clientTid); // Running

SuspendThread(threadHandle);
SuspendThread(threadHandle);
ResumeThread(threadHandle);

Console.Write("System.Threading.Thread.ThreadState == " + newThread.ThreadState + ", "); // Running
CheckThreadState(clientTid); // Wait

그렇습니다. Managed 스레드 상태는 Native 스레드 상태에 관계없이 언제나 Running 상태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즉, Native와 Managed 간에 상태가 완전히 독립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요? System.Threading.Thread.Suspend()를 호출한 경우, Managed 스레드 상태를 바꾸긴 하지만 실제로 그 실행을 중지시키려면 Native 스레드를 중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2개의 상태가 Suspended / Wait를 각각 가리키게 됩니다.

이 때문에 Native 스레드에서 SuspendThread를 호출해 주었다고 해도 콜스택을 뜨는 System.Diagnostics.StackTrace 함수에서 확인하는 Managed 스레드의 상태가 여전히 Running이므로 ThreadStateException 예외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정리해 보면... System.Diagnostics.StackTrace를 이용하여 다른 Managed 스레드의 콜스택을 안전하게 얻으려면 System.Threading.Thread 개체 차원에서도 Native와 마찬가지로 Suspend/Resume에 대한 카운트가 제공되어야만 합니다. (아쉽게도, 테스트 해본 결과 System.Threading.Thread는 Suspend/Resume에 대한 카운트 관리 기능은 없습니다.)

어쨌든 현재로써는, 제가 아는 한 다른 스레드의 콜 스택을 얻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ICorDebug를 사용하는 방법뿐이 없는 것 같습니다.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6/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06 12시24분
Suspend­Thread는 운영체제의 스케쥴러에게 비동기적으로 신호를 보낼 뿐, Suspend­Thread 함수가 반환된 시점에 대상 스레드가 중지했다고 가정해서는 안됩니다. 이를 위한 보조 함수로 GetThreadContext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함수는 반드시 중지된 스레드로부터 스레드 문맥 정보를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The SuspendThread function suspends a thread, but it does so asynchronously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50205-00/?p=44743

-----------------------------------------------------------------

아래의 글에서 SuspendThread의 동작에 대한 이야기가 살짝 나옵니다.

The case of the UI thread that hung in a kernel call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50411-00/?p=111066

The thread does not suspend immediately, but rather waits for the kernel to finish its work, and then before returning to user mode, the kernel does a Check­For­Kernel­Apc­Delivery to see if there were any requests waiting. It picks up the request to suspend, and that is when the thread actually suspends.

그러니까, 현재 커널 코드를 실행 중인 스레드가 user-mode로 복귀할 때 (Check­For­Kernel­Apc­Delivery 함수를 호출해) APC 큐를 살펴 보게 되고, 그 안에 "suspend" 하도록 만드는 작업이 있다면 그걸 실행하게 되면서 비로소 suspended 상태로 빠지는 것입니다.

참고로, 커널 실행 중인 코드를 suspend 상태로 만들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자칫 특정 kernel lock을 획득 중인 경우일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

Why you should never suspend a thread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031209-00/?p=41573

SuspendThread 사용은 Debugger를 위한 기능으로, 일반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내용의 글입니다. 일례로, 다음의 코드는 쉽게 hang에 빠지게 되는데요,

-------------------------------------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hreading;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private static extern void OutputDebugString(string lpOutputString);

    public static void Main()
    {
        Thread t = new Thread(new ThreadStart(Program.worker));
        t.Start();
        Console.WriteLine("Press Enter to suspend");
        Console.ReadLine();
        t.Suspend(); // .NET Framework에서만 동작 (.NET Core/5+에서는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read suspend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예외 발생)

        OutputDebugString("you can see this in dbgview");

        Console.WriteLine("But, you can't see this");
        Console.ReadLine();
        t.Resume();
    }
    static void worker()
    {
        for (; ; ) Console.Write("{0}\r", System.DateTime.Now);
    }
}
-------------------------------------

왜냐하면 worker를 수행하는 스레드가 끊임 없이 Console.Out 자원에 대해 lock/출력/unlock을 반복하게 되는데, 만약 unlock 시점이 아닌 상황에서 t.Suspend()로 스레드가 중지되면 Console.Out에 대한 lock이 잠긴 상태로 유지가 됩니다. 따라서, 바로 이후에 나오는 Console.WriteLine("But, you can't see this"); 코드가 worker를 수행하는 스레드가 잠갔던 Console.Out에 대한 lock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하게 돼 이는 무한 대기 현상을 발생시킵니다.

이외에도, Win32 Heap도 내부적으로는 lock을 이용한 thread-safe를 보장하는데, 만약 특정 스레드가 heap 할당 중에 - 즉, heap-lock을 소유한 상태에서 Suspend가 되었다면, 이후 다른 스레드들이 heap을 필요로 해 할당하게 되는 상황이 오면 줄줄이 무한 대기 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정성태

... [196]  197 
NoWriterDateCnt.TitleFile(s)
40정성태7/23/200321793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41김성현7/24/200320607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1. [답변]: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42정성태7/29/200318542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2. feedback 을 받기 위해서 답변 기능을 가능하게 해두었습니다.
39정성태7/17/200324311VS.NET IDE: 5. 원격 제어 3가지 방법
38정성태7/17/200320861.NET Framework: 8. IIS 서버 재설치와 ASP.NET 서비스의 문제점
36정성태7/17/200321532.NET Framework: 7. 시행착오 - WebService 참조 추가 오류
35정성태7/17/200322058.NET Framework: 6. Win2000에서의 .NET COM+ 자동 등록 오류 발생 해결
34정성태7/17/200320722VS.NET IDE: 4. VC++ 원격 디버깅파일 다운로드1
33정성태7/17/200320889VS.NET IDE: 3. Win2000 NAT 서비스
32정성태7/17/200322100COM 개체 관련: 9. _bstr_t, CComBSTR, string 클래스 사용 [1]
31정성태7/17/200319216COM 개체 관련: 8. IDL 구문에서 구조체를 pack 하는 방법
30정성태7/17/200336468VC++: 7. [STL] vector 사용법 및 reference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28정성태7/17/200320865스크립트: 3.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CHM 파일
29정성태7/17/200320337    답변글 스크립트: 3.1.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소스코드
27정성태7/17/200319251COM 개체 관련: 7. HTML Control에서 DELETE, 화살표 키 등이 안 먹는 문제
26정성태7/17/200320427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25정성태7/17/200318066COM 개체 관련: 5. C++ Attributes - Make COM Programming a Breeze with New Feature in Visual Studio .NET [2]파일 다운로드1
24정성태7/17/200321696.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5389.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19912.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18979.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20정성태2/15/200526004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1912.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19334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27306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16정성태7/17/200319623COM 개체 관련: 3. IE 툴밴드의 위치문제파일 다운로드1
... [196]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