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2

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3

VS.NET IDE: 166.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83

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705

VS.NET IDE: 182. Visual Studio - 32비트로만 빌드된 ActiveX와 작업해야 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3322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아시다시피, Visual Studio 2019 이하 버전에서는 x64 환경에 대한 디자이너 문제가 있습니다.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2

그리고 지난번 문제도 그렇고요,

wpf x64로 만든 메인 프로그램에서 dll로 된 UserControl 속성이 디자인 타임에 잘 안보이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3/0/5526

그런데, 가만 생각해 보니 이에 대한 다른 해결책이 있긴 합니다. 그러니까, 비주얼 스튜디오 디자인 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그냥 AnyCPU (Prefer 32bit) 옵션을 켜 놓고 작업하다가, 빌드 대상물에 대해서만 그 옵션을 끄면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결국 문제가 되는 것은, 디자인 타임에서 x86으로 실행되는 devenv.exe와 x64로 빌드된 DLL의 플랫폼 충돌이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해결책이 아주 간단합니다. 이를 위해 해줘야 할 것은, 단지 "Build Events"의 "Post-Build Event"에 corflags.exe(참고: 사용예)를 이용해 "Prefer 32bit" 옵션을 빼도록 실행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10.0A\bin\NETFX 4.8 Tools\CorFlags.exe" /32BITPREF- $(TargetPath)

경로가 좀 어지러우니, corflags.exe를 현재 프로젝트에 복사해 추가한 다음 아래와 같이 설정해도 무방합니다.

"$(ProjectDir)CorFlags.exe" /32BITPREF- $(TargetPath)

혹은, csproj 자체를 편집해도 되고!

...[생략]...

<PropertyGroup>
    <PostBuildEvent>"$(ProjectDir)CorFlags.exe" /32BITPREF- $(TargetPath)</PostBuildEvent>
</PropertyGroup>

...[생략]...

끝입니다. 저렇게 설정해 주면 이제 디자이너는 AnyCPU로 설정된 DLL을 로드하므로 문제가 없고, 빌드 결과물은 x64로 실행될 것이므로 또한 문제가 없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한 후 디버깅으로 실행해도 Visual Studio는 정상적으로 BP까지 걸어가며 동작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이 방법은 Visual Studio 2022 이후 x86 환경에 대한 디자이너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83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96정성태12/19/201820455개발 환경 구성: 424. vcpkg - "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 오류를 무시하는 방법
11795정성태12/19/201823978Windows: 154. PowerShell - Zone 별로 DNS 레코드 유형 정보 조회 [1]
11794정성태12/16/201819846오류 유형: 508. Get-AzureWebsite : Request to a downlevel service failed.
11793정성태12/16/201822692개발 환경 구성: 423.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1]
11792정성태12/11/201820891Graphics: 34.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1) - Per-Pixel 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1791정성태12/11/201821093VS.NET IDE: 130. C/C++ 프로젝트의 시작 프로그램으로 .NET Core EXE를 지정하는 경우 닷넷 디버깅이 안 되는 문제 [1]
11790정성태12/11/201820428오류 유형: 507. Could not save daemon configuration to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 Access to the path 'C:\ProgramData\Docker\config' is denied.
11789정성태12/10/201835045Windows: 153. C# - USB 장치의 연결 및 해제 알림을 위한 WM_DEVICECHANGE 메시지 처리 [2]파일 다운로드2
11788정성태12/4/201820663오류 유형: 506. SqlClient - Value was either too large or too small for an Int32.Couldn't store <2151292191> in ... Column
11787정성태11/29/201824478Graphics: 33.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9), (10) - OBJ File Format, Loading 3D Models파일 다운로드1
11786정성태11/29/201821551오류 유형: 505. OpenGL.NET 예제 실행 시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 발생
11785정성태11/21/201822891디버깅 기술: 120. windbg 분석 사례 - ODP.NET 사용 시 Finalizer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으로 인한 비정상 종료
11784정성태11/18/201821857Graphics: 32.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7), (8) - Matrices and Uniform Variables, Model, View & Projection Matrices파일 다운로드1
11783정성태11/18/201821107오류 유형: 504.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가 설치된 컴퓨터 간의 ping IP 주소 풀이 오류
11782정성태11/18/201819286Windows: 152.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
11781정성태11/17/201823744개발 환경 구성: 422. SFML.NET 라이브러리 설정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80정성태11/17/201824315오류 유형: 503. vcpkg install bzip2 빌드 에러 - "Error: Building package bzip2:x86-windows failed with: BUILD_FAILED"
11779정성태11/17/201824910개발 환경 구성: 421. vcpkg 업데이트 [1]
11778정성태11/14/201821676.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
11777정성태11/13/201823183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21495.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21915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21598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21689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22502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21458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