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608

.NET Framework: 727. ASP.NET의 HttpContext.Current 구현에 대응하는 ASP.NET Core의 IHttpContextAccessor/HttpContextAccessor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440

.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 https://www.sysnet.pe.kr/2/0/12467

.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0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전에 CallContext를 설명하면서,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608

덧글로 잠시 소개를 했는데요,

Implicit Async Context ("AsyncLocal")
; https://blog.stephencleary.com/2013/04/implicit-async-context-asynclocal.html

위의 글에서는 AsyncLocal 타입을 사용하지 않고 (.NET Core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순수 CallContext만을 이용해 await 호출 간의 문맥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드를 여기다 그대로 옮겨 볼까요? ^^ 근래의 현실적인 기준으로 볼 때, (.NET Core/5에서 다중 AppDomain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MarshalByRefObject 처리를 없애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Install-Package System.Collections.Immutable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Immutable;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using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

public static partial class MyStack
{
    private static readonly string name = Guid.NewGuid().ToString("N");

    private static ImmutableStack<string> CurrentContext
    {
        get
        {
            var ret = CallContext.LogicalGetData(name) as ImmutableStack<string>;
            return ret == null ? ImmutableStack.Create<string>() : ret;
        }

        set
        {
            CallContext.LogicalSetData(name, value);
        }
    }

    public static IDisposable Push([CallerMemberName] string context = "")
    {
        CurrentContext = CurrentContext.Push(context);
        return new PopWhenDisposed();
    }

    private static void Pop()
    {
        CurrentContext = CurrentContext.Pop();
    }

    private sealed class PopWhenDisposed : IDisposable
    {
        private bool disposed;

        public void Dispose()
        {
            if (disposed)
                return;
            Pop();
            disposed = true;
        }
    }

    public static string CurrentStack
    {
        get
        {
            return string.Join(" ", CurrentContext.Reverse());
        }
    }
}

이를 활용한 예제 코드는 변경 없이 원 글의 코드를 그대로 옮겨 봅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MyStack.Push("Main"))
        {
            Task.WhenAll(SomeWork("1"), SomeWork("2")).Wait();
        }

        Console.ReadKey();
    }

    static async Task SomeWork(string stackName)
    {
        using (MyStack.Push(stackName))
        {
            Log("<SomeWork>");
            await MoreWork("A");
            await MoreWork("B");
            Log("</SomeWork>");
        }
    }

    static async Task MoreWork(string stackName)
    {
        using (MyStack.Push(stackName))
        {
            Log("<MoreWork>");
            await Task.Delay(10);
            Log("</MoreWork>");
        }
    }

    static void Log(string message)
    {
        Console.WriteLine(MyStack.CurrentStack + ": " + message);
    }
}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Main 1: <SomeWork>
Main 1 A: <MoreWork>
Main 2: <SomeWork>
Main 2 A: <MoreWork>
Main 2 A: </MoreWork>
Main 1 A: </MoreWork>
Main 2 B: <MoreWork>
Main 1 B: <MoreWork>
Main 2 B: </MoreWork>
Main 2: </SomeWork>
Main 1 B: </MoreWork>
Main 1: </SomeWork>




그런데, 사실 해당 기능을 너무 어렵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입니다. 왜냐하면, CallContext는 스레드를 넘어가면서 shallow copy가 되는데, 달리 말하면 메서드에 인자를 넘기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굳이 Push/IDisposable/Pop을 사용할 필요 없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바꿔도 무방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

public static partial class MyStack
{
    private static readonly string idTitle = Guid.NewGuid().ToString("N");

    private static string CurrentTitle
    {
        get
        {
            object objValue = CallContext.LogicalGetData(idTitle);
            if (objValue == null)
            {
                return "";
            }

            return objValue as string;
        }

        set
        {
            CallContext.LogicalSetData(idTitle, value);
        }
    }

    public static void Push(string title)
    {
        CurrentTitle = CurrentTitle + " " + title;
    }

    public static string CurrentStack
    {
        get
        {
            return CurrentTitle;
        }
    }
}

또한 사용 측 코드도 using을 빼고 단순히 Push 메서드만 호출해 주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ack.Push("Main");
        Task.WhenAll(SomeWork("1"), SomeWork("2")).Wait();

        Console.ReadKey();
    }

    static async Task SomeWork(string stackName)
    {
        MyStack.Push(stackName);
        Log("<SomeWork>");
        await MoreWork("A");
        await MoreWork("B");
        Log("</SomeWork>");
    }

    static async Task MoreWork(string stackName)
    {
        MyStack.Push(stackName);
        Log("<MoreWork>");
        await Task.Delay(10);
        Log("</MoreWork>");
    }

    static void Log(string message)
    {
        Console.WriteLine(MyStack.CurrentStack + ": " + message);
    }
}

당연히 실행 결과는 이전과 다름없이 잘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이것을 AsyncLocal을 이용해 똑같이 동작하도록 코딩을 하면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 .NET Framework 4.6 이상, .NET Core/5에서도 사용 가능

using System.Threading;

public static partial class MyStack
{
    private static AsyncLocal<string> CurrentTitle = new AsyncLocal<string>();

    public static void Push(string title)
    {
        CurrentTitle.Value = CurrentTitle.Value + " " + title;
    }

    public static string CurrentStack
    {
        get
        {
            return CurrentTitle.Value;
        }
    }
}

AsyncLocal이 CallContext에 대한 단순한 래퍼에 불과하기 때문에 우리가 기대한 동작이 나오는 건데요, 결과만 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단지, CallContext 타입이 .NET Framework에서만 허용되고 .NET Core/5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향후에는 AsyncLocal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7-16 09시06분
ExecutionContext의 또 다른 활용 사례

Exploring the async/await State Machine – Stack Traces and Refactoring Pitfalls
; https://vkontech.com/exploring-the-async-await-state-machine-stack-traces-and-refactoring-pitfalls/
정성태
2021-10-18 01시39분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12정성태7/30/202217587.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1]파일 다운로드1
13111정성태7/29/202216995.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파일 다운로드1
13110정성태7/27/202216766.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파일 다운로드1
13109정성태7/27/202218280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
13108정성태7/26/202215687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14507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3106정성태7/24/202214089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16494.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20206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15556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15441.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13101정성태7/15/202228566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13100정성태7/15/202217226.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13099정성태7/14/202216737.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3098정성태7/13/202214357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1]
13097정성태7/12/202213407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13096정성태7/8/202217082.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13095정성태7/7/202214516Windows: 208. AD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13094정성태7/6/202214177오류 유형: 816. Golang - "short write" 오류 원인
13093정성태7/5/202214950.NET Framework: 2029. C# - HttpWebRequest로 localhost 접속 시 2초 이상 지연
13092정성태7/3/202216559.NET Framework: 2028. C# - HttpWebRequest의 POST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091정성태7/3/202215156.NET Framework: 2027. C# -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는 서버 소켓 생성 방법
13090정성태6/29/202214337오류 유형: 815. PyPI에 업로드한 패키지가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3089정성태6/28/202215021개발 환경 구성: 646. HOSTS 파일 변경 시 Edge 브라우저에 반영하는 방법
13088정성태6/27/202213442개발 환경 구성: 645.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환경의 폰트를 바꾸는 방법
13087정성태6/23/202217443스크립트: 41. 파이썬 - FastAPI / uvicorn 호스팅 환경에서 asyncio 사용하는 방법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